1 오혜영, "현장상담자들이 인식한 학업중단청소년의 특성과 개입방향" 한국청소년학회 20 (20): 153-179, 2013
2 오혜영, "학업중단에서 학업복귀까지의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19 (19): 125-154, 2011
3 이주연, "학업중단에 영향을 미치는 보호요인과 위험요인 간의 ‘힘겨루기’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교육학회 53 (53): 89-118, 2015
4 정재민, "학업중단 청소년의 특성과 예방을 위한 실천전략 개발 질적연구"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30) : 65-81, 2012
5 최지연, "학업중단 청소년의 특성 및 지원 방안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23 (23): 103-132, 2016
6 문화진, "학업중단 청소년의 진로 불안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의 매개효과: 일반 청소년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445-464, 2019
7 조성연, "학업중단 청소년" 한국아동학회 30 (30): 391-403, 2009
8 김은실, "학업중단 위기청소년의 학업중단 예방을 위한 또래관계 증진 프로그램 효과" 교육연구원 31 (31): 167-191, 2015
9 이은자, "학업중단 위기청소년의 코칭캠프 프로그램 경험 연구" 한국코칭학회 11 (11): 69-99, 2018
10 김은실, "학업중단 위기 초등학생의 학업중단 예방을 위한 또래관계증진프로그램의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673-700, 2016
1 오혜영, "현장상담자들이 인식한 학업중단청소년의 특성과 개입방향" 한국청소년학회 20 (20): 153-179, 2013
2 오혜영, "학업중단에서 학업복귀까지의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19 (19): 125-154, 2011
3 이주연, "학업중단에 영향을 미치는 보호요인과 위험요인 간의 ‘힘겨루기’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교육학회 53 (53): 89-118, 2015
4 정재민, "학업중단 청소년의 특성과 예방을 위한 실천전략 개발 질적연구"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30) : 65-81, 2012
5 최지연, "학업중단 청소년의 특성 및 지원 방안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23 (23): 103-132, 2016
6 문화진, "학업중단 청소년의 진로 불안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의 매개효과: 일반 청소년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445-464, 2019
7 조성연, "학업중단 청소년" 한국아동학회 30 (30): 391-403, 2009
8 김은실, "학업중단 위기청소년의 학업중단 예방을 위한 또래관계 증진 프로그램 효과" 교육연구원 31 (31): 167-191, 2015
9 이은자, "학업중단 위기청소년의 코칭캠프 프로그램 경험 연구" 한국코칭학회 11 (11): 69-99, 2018
10 김은실, "학업중단 위기 초등학생의 학업중단 예방을 위한 또래관계증진프로그램의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673-700, 2016
11 김상현, "학업중단 경험이 있는 고등학교 복교생의 학교생활에 대한 연구" 한국교육사회학회 24 (24): 31-60, 2014
12 유진이, "학교중도탈락 청소년의 심리적 지도방안" 한국청소년학회 16 (16): 229-257, 2009
13 김종우, "학교상담현장에서 인식하는 학업중단숙려제의 실제: 근거이론 접근을 중심으로" 한국상담학회 19 (19): 107-124, 2018
14 심현아, "학교 밖 청소년의 진로장애가 진로탐색행동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 우울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529-550, 2020
15 임유화, "특성화고 학생의 잠재적 학업 중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3
16 이재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사회적기업 연구동향분석: 2000년~2017년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사단법인 사회적기업학회 11 (11): 183-236, 2018
17 조남옥,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상담학연구』의 연구동향과 지식구조 탐색" 한국상담학회 18 (18): 1-19, 2017
18 연준모,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창의력교육연구」의 연구동향 및 지식구조 탐색" 한국창의력교육학회 18 (18): 1-22, 2018
19 안연선,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교육심리연구'의 지식구조 탐색" 한국교육심리학회 34 (34): 393-419, 2020
20 아영아, "청소년의 학업중단의도와 영향요인들 간의 경로분석"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44) : 75-97, 2018
21 김로라, "청소년의 학업중단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 및 보호요인에 관한 연구 - 부산지역 중ㆍ고등학생을 중심으로 -" 한국청소년학회 23 (23): 53-81, 2016
22 이정숙, "청소년의 학업중단에서 학업복귀의 변화과정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한국콘텐츠학회 17 (17): 386-398, 2017
23 서보준,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가 학업중단의도에 미치는 영향: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15 (15): 179-200, 2018
24 이경민, "청소년의 위험요인 및 보호요인이 학업중단의식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 및 행복감의 매개효과"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7 (7): 105-132, 2018
25 이민희, "청소년기관 위탁 대안학교 청소년의 진로탐색에 관한 연구 - 직업역량 개발을 중심으로 -"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7 (7): 57-67, 2009
26 김범구, "청소년 학업중단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한국청소년학회 19 (19): 315-337, 2012
27 장신재, "청소년 연구의 동향 : 2010년∼2018년의 ‘청소년학연구’지를 중심으로" 한국융합학회 10 (10): 307-314, 2019
28 김동하, "청소년 무단결석의 종단적 변화궤적 유형과 예측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71 (71): 176-194, 2019
29 정세환, "중학생의 긍정심리자본과 학업중단의도의 관계에서 진로의사결정의 매개효과" 한국교육행정학회 37 (37): 59-85, 2019
30 김영희, "중․고등학교 학업중단 청소년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1991년-2011년" 한국상담학회 13 (13): 1013-1028, 2012
31 류화라, "정신건강 심리적 특성이 청소년의 공격성과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 매개효과"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11 (11): 1731-1746, 2020
32 권재기, "전국 고등학교 학생의 학업중단에 대한 종단적 분석 : 학업중단 변화양상에 따른 유형탐색, 학교폭력 및 상담의 변화추이를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회 (59) : 209-234, 2017
33 강석영, "잠재적 학업중단청소년을 위한 개입프로그램 개발" 한국열린교육학회 19 (19): 89-125, 2011
34 양수경, "의사결정나무분석 방법을 이용한 학업중단 변별 요인 탐색" 한국교육개발원 38 (38): 65-91, 2011
35 이수상, "언어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활용한 학술논문의 내용분석" 한국정보관리학회 31 (31): 49-68, 2014
36 감정기, "사회복지학 연구동향에 관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 「한국사회복지학」 게재논문(1979 - 2015)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복지학회 68 (68): 185-211, 2016
37 정선영, "델파이 조사를 활용한 학업중단숙려 상담 모델 개발"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 (20): 1-33, 2018
38 조인동, "데이터 마이닝과 소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중심 학술 키워드 추천 방법론" 엘지씨엔에스 11 (11): 87-99, 2012
39 오동록, "국내 학업중단 청소년의 비행행위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학업중단 청소년의 삶과 의식에 대한 종단조사 2017을 중심으로" 한국교정복지학회 (62) : 51-76, 2019
40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youth guidance" Department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Youth Policy
41 Jelena Ogresta, "Why Do We Drop Out? Typology of Dropping Out of High School" SAGE Publications 1-21, 2020
42 B. G. Kim, "Types and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of School Dropouts :A Latent Class Analysis Approach" Myongji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13
43 B. W. Kim, "The reason for the suspension is 41 percent of students' relationship with their old friends. The Democratic Party of Korea's Rep"
44 K. H. KO, "The Problem of School Dropout and Intervention of Counseling" 24 (24): 117-136, 2003
45 S. A. Shin, "The Effect of Crisis Factors on Career Level and Career Preparat ion Behavior of Abandoned Youth"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t Jeju National University 2011
46 Ministry of Education, "Statistical Yearbook of Education"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013
47 G. Y. Kwak, "Social network analysis" Cheongnam 2017
48 Y. H. Kim, "Social media analytics" Park Young-sa 2007
49 Jiming Hu, "Research patterns and trends of Recommendation System in China using co-word analysis" Elsevier BV 51 (51): 329-339, 2015
50 E. S. Moon,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School Adjust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26 (26): 147-162, 2005
51 Michael G. Vaughn, "Preliminary validation of the dropout risk inventory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Elsevier BV 111 : 104855-, 2020
52 Michel Janosz, "Predicting different types of school dropouts: A typological approach with two longitudinal samples"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APA) 92 (92): 171-190, 2000
53 S. S. Lee, "Network analysis methodology" Nonhyung 2012
54 Ministry of Education, "Joint prevention of school dropouts and strengthening the self-reliance capacity of out-of-school youths: Out-of-school youth support measures"
55 V. D. Blondel, "Fast unfolding of communities in large network" 2 : 1-12, 2008
56 Henry Small, "Co-citation in the scientific literature: A new measur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documents" Wiley 24 (24): 265-269, 1973
57 Rashmi H. Assudani, "Catching the chameleon: understanding the elusive term “knowledge”" Emerald 9 (9): 31-44, 2005
58 M. Kim, "An Analysis Study on the Factors of the dropout phenomenon on the school voluntarily"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2001
59 E. J. Lee, "A study on school dropout experience of adolescents" Baekseok University 2015
60 C. K. Yoon, "A Study on the Panel Survey and policy support for school dropouts" Korea Youth Policy Institute Research reports 1-484, 2015
61 Ministry of Education,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raining Program for the Promotion of Understanding of Alternative Education and the Strengthening of Teachers' Competency" Central Teachers Training Institute 2018
62 이현주, "10대 미혼모가 경험한 학업 중단과 의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2 (42): 57-83,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