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비동질적 가계로 이루어진 거시 경제 모형의 이론적 정책적 함의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6330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Mankiw-Rotemberg-Summers (1985)의 연구에 따르면 거시 경제 집계 변수 (총 소비, 총 노동 시간, 평균 임금 및 이자율) 시계열 자료를 근거로 대표적 개인의 최적화 조건을 추정하면 우리의 선험적 직관과 배치되는 효용 파라미터 값들이 얻어짐을 보인 바 있다. 이에 Mankiw et al. 은 실제 관측되는 고용, 소비, 생산성, 임금 등을 완전 경쟁 시장의 최적화 행동의 결과로 해석하기 어렵다고 주장하고, 이러한 데이터와 균형 모형 (market clearing model) 간의 괴리가 임금 경직성 등으로 말미암아 단기에는 고용이 노동 공급곡선에서 이탈하여 전적으로 노동 수요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이라고 해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의 결론 -- 즉 노동 및 소비의 최적화 조건과 데이터의 괴리는 시장의 불균형에서 비롯됨 -- 이 다소 성급한 것일 수도 있는 가능성을 보였다. 비동질적 가계 모형 경제에서 노동 시장 및 재화시장에 아무런 경직성이 없었고 매기 모든 시장이 청산 됨에도 불구, 집계의 문제로 인해 가상적인 대표 개인의 최적화 조건과 집계 변수사이에 괴리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유사한 맥락에서 Hall (1997), Chari Kehoe, McGrattan (2005) 또는 Gali, Gertler, Lopez-Salido, Vellez (2005) 등 이 보고한 노동 시장 갭 (labor market wedge or gap) 또한 시장 불균형이나 외생적인 효용 충격이라기보다 비동질 가계 모형과 대표적 개인 사이에 발생하는 집계의 오류로 해석이 가능하다.
      번역하기

      Mankiw-Rotemberg-Summers (1985)의 연구에 따르면 거시 경제 집계 변수 (총 소비, 총 노동 시간, 평균 임금 및 이자율) 시계열 자료를 근거로 대표적 개인의 최적화 조건을 추정하면 우리의 선험적 직...

      Mankiw-Rotemberg-Summers (1985)의 연구에 따르면 거시 경제 집계 변수 (총 소비, 총 노동 시간, 평균 임금 및 이자율) 시계열 자료를 근거로 대표적 개인의 최적화 조건을 추정하면 우리의 선험적 직관과 배치되는 효용 파라미터 값들이 얻어짐을 보인 바 있다. 이에 Mankiw et al. 은 실제 관측되는 고용, 소비, 생산성, 임금 등을 완전 경쟁 시장의 최적화 행동의 결과로 해석하기 어렵다고 주장하고, 이러한 데이터와 균형 모형 (market clearing model) 간의 괴리가 임금 경직성 등으로 말미암아 단기에는 고용이 노동 공급곡선에서 이탈하여 전적으로 노동 수요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이라고 해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의 결론 -- 즉 노동 및 소비의 최적화 조건과 데이터의 괴리는 시장의 불균형에서 비롯됨 -- 이 다소 성급한 것일 수도 있는 가능성을 보였다. 비동질적 가계 모형 경제에서 노동 시장 및 재화시장에 아무런 경직성이 없었고 매기 모든 시장이 청산 됨에도 불구, 집계의 문제로 인해 가상적인 대표 개인의 최적화 조건과 집계 변수사이에 괴리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유사한 맥락에서 Hall (1997), Chari Kehoe, McGrattan (2005) 또는 Gali, Gertler, Lopez-Salido, Vellez (2005) 등 이 보고한 노동 시장 갭 (labor market wedge or gap) 또한 시장 불균형이나 외생적인 효용 충격이라기보다 비동질 가계 모형과 대표적 개인 사이에 발생하는 집계의 오류로 해석이 가능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ccounting for observed fluctuations in aggregate employment, consumption, and real wage using the optimality conditions of a representative household requires preferences that are incompatible with economic priors. In order to reconcile theory with data, we construct a model with heterogeneous agents whose decisions are difficult to aggregate because of incomplete capital markets and the indivisible nature of labor supply. If we were to explain the model-generated aggregate time series using decisions of a stand-in household, such a household must have a non-concave or unstable utility as is often found with the aggregate U.S. data.
      번역하기

      Accounting for observed fluctuations in aggregate employment, consumption, and real wage using the optimality conditions of a representative household requires preferences that are incompatible with economic priors. In order to reconcile theory with d...

      Accounting for observed fluctuations in aggregate employment, consumption, and real wage using the optimality conditions of a representative household requires preferences that are incompatible with economic priors. In order to reconcile theory with data, we construct a model with heterogeneous agents whose decisions are difficult to aggregate because of incomplete capital markets and the indivisible nature of labor supply. If we were to explain the model-generated aggregate time series using decisions of a stand-in household, such a household must have a non-concave or unstable utility as is often found with the aggregate U.S. data.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