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스마트폰 중독 상담의 기독교적 담론지형과 쟁점연구 = A Study on the Topology and Issues of Christian Discourse in Smartphone Addiction Counsel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4212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tatus of smartphone dependence and addiction that became serious after COVID-19, and conducted a meta-analysis focusing on papers studied on smartphone addiction counseling in Christian approach. The papers to be studied were selected through a specific selection process for domestic papers published between 2000 and 202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a future direction to solve the problem of smartphone addiction, which is a serious problem for Christians, by considering the counseling efforts and studies of Christian approach by meta-analysis focusing on the discourse terrain and issues of smartphone addiction counseling studied in Korea.
      According to the analyzed results, first of all, only 20 smartphone addiction counseling papers are related to Christianity compared to 134 smartphone addiction counseling papers, so the papers studied in the Christian approach were not quantitatively sufficient compared to those studied in the general field. Second, studies on smartphone addiction counseling in the Christian approach mainly measured individual-related variables such as mental health, stress, and depression. Third, research on the prevention and intervention plan of smartphone addiction in Christian approach was conducted with a relatively small percentage(9.1%) of the total papers. Finally, the subjects of the study on smartphone addiction counseling conducted in the Christian approach were mainly Christian adolescents and young people. It can be seen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studies for adult groups living in various media environments after COVID-19, an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preventive educational programs.
      번역하기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tatus of smartphone dependence and addiction that became serious after COVID-19, and conducted a meta-analysis focusing on papers studied on smartphone addiction counseling in Christian approach. The papers to be studied w...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tatus of smartphone dependence and addiction that became serious after COVID-19, and conducted a meta-analysis focusing on papers studied on smartphone addiction counseling in Christian approach. The papers to be studied were selected through a specific selection process for domestic papers published between 2000 and 202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a future direction to solve the problem of smartphone addiction, which is a serious problem for Christians, by considering the counseling efforts and studies of Christian approach by meta-analysis focusing on the discourse terrain and issues of smartphone addiction counseling studied in Korea.
      According to the analyzed results, first of all, only 20 smartphone addiction counseling papers are related to Christianity compared to 134 smartphone addiction counseling papers, so the papers studied in the Christian approach were not quantitatively sufficient compared to those studied in the general field. Second, studies on smartphone addiction counseling in the Christian approach mainly measured individual-related variables such as mental health, stress, and depression. Third, research on the prevention and intervention plan of smartphone addiction in Christian approach was conducted with a relatively small percentage(9.1%) of the total papers. Finally, the subjects of the study on smartphone addiction counseling conducted in the Christian approach were mainly Christian adolescents and young people. It can be seen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studies for adult groups living in various media environments after COVID-19, an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preventive educational program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 이후 심각해진 스마트폰 과의존 및 중독에 관한 실태와 현황을 조사하여, 기독교 접근에서 스마트폰 중독 상담에 관해 연구되어진 논문들을 중심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고자 하였고, 기독교접근에서 상담의 개입에 관하여 총체적으로 검토하고 정리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 논문들은 2000년부터 2021년 사이에 발표된 국내 논문들을 대상으로 구체적인 선정과정을 거쳐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기독교 분야에서 연구된 스마트폰 중독 상담의 담론지형과 쟁점들, 경향 및 영향력에 대해 선행적으로 연구된 논문들을 중심으로 메타 분석함으로써 기독교 접근의 상담적인 노력과 연구들을 고찰하여 기독교인에게 있어서도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스마트폰 중독의 문제를 해결하는 미래적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된 결과에 따르면, 먼저, 전체 스마트폰 중독 상담 134건, 스마트폰 중독 상담치료 34건에 비해 기독교와 관련한 스마트폰 중독 상담은 20건으로 분석된 것으로 보아 기독교접근에서 스마트폰 중독 상담에 관해 연구된 논문들은 일반영역에서 연구된 논문에 비해 정량적으로 부족할 뿐 아니라, 기독교 신앙과 상담의 적용에서 다양한 주제를 다루지 못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기독교 접근의 스마트폰 중독 상담에 관한 연구들은 주로 정신건강, 스트레스, 우울 등의 개인관련 변인을 측정하였다. 셋째, 기독교 접근의 스마트폰 중독 예방 및 개입 방안에 관한 연구는 전체 대상논문 중 1편으로 9.1%로 비교적 적은비율의 연구가 수행되었다. 마지막으로, 기독교접근에서 진행된 스마트폰 중독 상담에 관한 연구의 대상들은 주로 기독 청소년과 청년이었다. 코로나19이후 다양한 미디어 환경에서 살아가고 있는 성인그룹을 위한 다양한 연구들과 예방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검증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 이후 심각해진 스마트폰 과의존 및 중독에 관한 실태와 현황을 조사하여, 기독교 접근에서 스마트폰 중독 상담에 관해 연구되어진 논문들을 중심으로 메타분석을 실...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 이후 심각해진 스마트폰 과의존 및 중독에 관한 실태와 현황을 조사하여, 기독교 접근에서 스마트폰 중독 상담에 관해 연구되어진 논문들을 중심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고자 하였고, 기독교접근에서 상담의 개입에 관하여 총체적으로 검토하고 정리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 논문들은 2000년부터 2021년 사이에 발표된 국내 논문들을 대상으로 구체적인 선정과정을 거쳐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기독교 분야에서 연구된 스마트폰 중독 상담의 담론지형과 쟁점들, 경향 및 영향력에 대해 선행적으로 연구된 논문들을 중심으로 메타 분석함으로써 기독교 접근의 상담적인 노력과 연구들을 고찰하여 기독교인에게 있어서도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스마트폰 중독의 문제를 해결하는 미래적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된 결과에 따르면, 먼저, 전체 스마트폰 중독 상담 134건, 스마트폰 중독 상담치료 34건에 비해 기독교와 관련한 스마트폰 중독 상담은 20건으로 분석된 것으로 보아 기독교접근에서 스마트폰 중독 상담에 관해 연구된 논문들은 일반영역에서 연구된 논문에 비해 정량적으로 부족할 뿐 아니라, 기독교 신앙과 상담의 적용에서 다양한 주제를 다루지 못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기독교 접근의 스마트폰 중독 상담에 관한 연구들은 주로 정신건강, 스트레스, 우울 등의 개인관련 변인을 측정하였다. 셋째, 기독교 접근의 스마트폰 중독 예방 및 개입 방안에 관한 연구는 전체 대상논문 중 1편으로 9.1%로 비교적 적은비율의 연구가 수행되었다. 마지막으로, 기독교접근에서 진행된 스마트폰 중독 상담에 관한 연구의 대상들은 주로 기독 청소년과 청년이었다. 코로나19이후 다양한 미디어 환경에서 살아가고 있는 성인그룹을 위한 다양한 연구들과 예방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검증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태량 ; 김경화, "해결중심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스마트폰 중독 청소년의 자기통제력, 자아존중감, 우울에 미치는 영향" 인문사회 21 11 (11): 607-620, 2020

      2 김해영, "팬데믹과 목회상담학적 대응" 한국실천신학회 (74) : 503-532, 2021

      3 최솔 ; 이수인,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교회교육 현황 연구 : 교회학교 교사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실천신학회 (78) : 443-468, 2022

      4 고정화 ; 유형근 ; 조용선, "초등학생의 게임 중독 예방을 위한 부모연계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한국상담학회 10 (10): 1663-1681, 2009

      5 홍선희 ; 유형근 ; 남순임, "초등학교 고학년의 스마트폰 SNS 중독 성향 감소를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한국상담학회 16 (16): 241-257, 2015

      6 신성철 ; 백석기,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사)위기관리이론과실천 9 (9): 345-362, 2013

      7 이준기 ; 강근모,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의 내현화 변인과 외현화 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3 (23): 247-271, 2015

      8 정송화,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3 (23): 175-201, 2021

      9 이강원, "지형 공간정보체계 용어사전" 구미서관 2016

      10 이정기, "중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 경험에 관한내러티브 탐구" 피어선기념성경연구원 6 (6): 153-177, 2017

      1 김태량 ; 김경화, "해결중심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스마트폰 중독 청소년의 자기통제력, 자아존중감, 우울에 미치는 영향" 인문사회 21 11 (11): 607-620, 2020

      2 김해영, "팬데믹과 목회상담학적 대응" 한국실천신학회 (74) : 503-532, 2021

      3 최솔 ; 이수인,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교회교육 현황 연구 : 교회학교 교사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실천신학회 (78) : 443-468, 2022

      4 고정화 ; 유형근 ; 조용선, "초등학생의 게임 중독 예방을 위한 부모연계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한국상담학회 10 (10): 1663-1681, 2009

      5 홍선희 ; 유형근 ; 남순임, "초등학교 고학년의 스마트폰 SNS 중독 성향 감소를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한국상담학회 16 (16): 241-257, 2015

      6 신성철 ; 백석기,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사)위기관리이론과실천 9 (9): 345-362, 2013

      7 이준기 ; 강근모,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의 내현화 변인과 외현화 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3 (23): 247-271, 2015

      8 정송화,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3 (23): 175-201, 2021

      9 이강원, "지형 공간정보체계 용어사전" 구미서관 2016

      10 이정기, "중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 경험에 관한내러티브 탐구" 피어선기념성경연구원 6 (6): 153-177, 2017

      11 조현섭 ; 강진구 ; 강동민, "인터넷, 스마트폰 중독 예방 대인관계 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에게 미치는 효과" 한국아동교육학회 28 (28): 169-182, 2019

      12 정귀임 ; 김장회, "인터넷 및 스마트폰 중독 집단상담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교류분석상담학회 9 (9): 1-25, 2019

      13 김교헌 ; 최훈석, "인터넷 게임중독: 자기조절 모형" 한국건강심리학회 13 (13): 551-569, 2008

      14 이후주, "우울증에 대한 이야기 치료의 재저작 대화 단일사례연구: 기독교 상담적 접근" 한국실천신학회 (76) : 425-456, 2021

      15 반신환, "애착이론에 근거한 돌봄과 그것의 구성요인" 한국실천신학회 (78) : 233-255, 2022

      16 주석진, "아동의 스마트폰 중독 예방을 위한 소셜게임 활용 집단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50) : 103-124, 2020

      17 전대성 ; 김동욱, "스마트폰 중독이 청소년들과 성인들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가족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사회과학연구소 31 (31): 159-181, 2015

      18 김지연, "스마트폰 중독, 점점 심해지고 있다"

      19 한상규 ; 김동태, "스마트폰 중독 청소년의 중독원인에 대한 현상학적 분석" 한국융합학회 10 (10): 287-296, 2019

      20 이상준, "스마트폰 중독 청소년의 정신건강 분석"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 (20): 47-67, 2018

      21 강희양 ; 박창호, "스마트폰 중독 척도의 개발" 한국심리학회 31 (31): 563-580, 2012

      22 남기범 ; 윤정민 ; 양도연 ; 김준성 ; 천성문, "스마트폰 중독 집단상담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교육문제연구소 32 (32): 27-54, 2019

      23 정서림 ; 유형근 ; 남순임, "스마트폰 중독 잠재적 위험군 중학생의 중독 예방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한국상담학회 15 (15): 1145-1162, 2014

      24 최은미 ; 김명식, "스마트폰 중독 대학생을 위한 동기강화중심 집단상담과 인지행동 집단상담의 효과 연구" 한국상담학회 17 (17): 169-185, 2016

      25 배성만, "스마트폰 사용유형과 스마트폰에 대한 과도한 기대가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25 (25): 65-83, 2018

      26 김교헌 ; 변서영 ; 임숙희, "성인용 스마트폰 중독 척도의 개발" 사회과학연구소 27 (27): 131-154, 2016

      27 김동일 ; 정여주 ; 이주영 ; 김명찬 ; 이윤희 ; 강은비 ; 금창민 ; 남지은, "성인용 간략형 스마트폰 중독 자가진단 척도 개발" 한국상담학회 13 (13): 629-644, 2012

      28 한순희 ; 반신환, "성인애착과 스마트폰 중독 간의 관계: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31 (31): 243-270, 2020

      29 황성동, "메타분석: forest plot에서 네트워크 메타분석까지" 한나래아카데미 2018

      30 대한민국의학한림원, "디지털미디어 과사용 실태 대국민 인식조사 결과"

      31 두산백과사전부, "두산백과" 두산동아 1989

      32 김성애 ; 이동형, "동기강화 집단상담이 SNS 중독경향 여중생의 변화동기 및 스마트폰 건전사용에 미치는 효과"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5 (25): 253-271, 2017

      33 이해경 ; 손진희, "남자고등학생의 우울과 인터넷․스마트폰중독의 관계에서 대인관계문제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8 (28): 21-45, 2020

      34 노은석, "기독청소년의 또래애착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감사성향 및 부모관계의 조절효과"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60) : 95-121, 2019

      35 박진희 ; 전요섭, "기독청년의 내현적 자기애 성향이 스마트폰 중독과 영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기독교학문연구회 18 (18): 141-164, 2013

      36 채일 ; 손병덕, "기독대학생의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영적 안녕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개혁신학회 56 : 369-401, 2021

      37 오윤선 ; 최아람, "기독대학생의 대인관계 문제가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내현적 자기애의 매개효과" 한국복음주의상담학회 25 (25): 153-184, 2017

      38 심정연, "기독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 회복을 위한 기독교 12단계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기독교학문연구회 24 (24): 5-32, 2019

      39 오인근, "기독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정신건강과의 관계에서 신앙성숙도의 매개효과" 63 (63): 347-376, 2019

      40 정숙희 ; 김재영 ; 류수정 ; 신성만, "기독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문제의 조절 효과"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26 (26): 243-273, 2015

      41 정숙희 ; 류수정, "기독 대학생의 사회부적응과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과 가족탄력성의 조절효과"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24 (24): 207-237, 2013

      42 노철우 ; 전요섭, "관계중독에 대한 기독교상담적 이해와 인지행동치료 전략의 응용" 한국실천신학회 (78) : 257-283, 2022

      43 김영경, "고등학생의 가족기능과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 외로움과 영적 안녕의 매개효과"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28 (28): 43-69, 2017

      44 김영수, "게임 중독과 개신교인들의 영성생활과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실천신학회 (77) : 241-264, 2021

      45 APA Publications and Communications Board Working Group on Journal Article Reporting Standards, "Reporting Standards For Research In Psychology: Why Do We Need Them? What Might They Be?" 63 (63): 839-851, 2008

      46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APA 2000

      47 최인호 ; 장미정 ; 이다미, "Development of Narrative Therapy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Prevention of Adolescents' Smartphone Addiction" (사)한국컴퓨터게임학회 30 (30): 11-23, 2017

      48 여성가족부, "2021년 청소년 인터넷・스마트폰 이용습관 진단조사"

      49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0년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보고서"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81 1.81 1.6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53 1.4 0.653 0.6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