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산과 수술에서 흡수성 합성 봉합사 (Safil(R)/Safil(R) Quick/MonosynR)의 유용성 = Original Reports : Clinical Applicability of Absorbable Synthetic Suture Materials (Safil(R)/Safil(R) Quick/Monosyn(R)) in Obstetrical Surger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552647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 산과적 수술 영역에서 Safil(R)/Safil(R) Quick/Monosyn(R) 합성봉사들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 2004년 4월부터 9월까지 삼성서울병원 산부인과에서 질식 자연분만을 한 100명의 산...

      목적 : 산과적 수술 영역에서 Safil(R)/Safil(R) Quick/Monosyn(R) 합성봉사들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 2004년 4월부터 9월까지 삼성서울병원 산부인과에서 질식 자연분만을 한 100명의 산모와 제왕절개 수술을 시행받은 198명의 임산부를 대상으로 하였다. 질식 분만 시 회음절개의 봉합 치료군 50명에게는 Safil(R) Quick, 대조군 50명에게는 chromic catgut을 사용하였고, 제왕절개 시 대상 환자를 두 군으로 나누어 첫 번째 군에는 100명을 포함시키고 두 번째 군에는 98명을 포함시켰다. 첫 번째 군인 자궁 절개 봉합 치료군 50명에게는 Monosyn(R), 대조군 50명에게는 chromic catgut을 사용하였고, 두 번째 군인 근막 봉합 치료군 49명에게는 Safi(R)을 사용하였고, 대조군 50명에게는 Vicryl(R)을 사용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수술 전후, 퇴원 시, 퇴원후 상처 봉합 상태 및 합병증들을 조사하였다. 결과 : Chromic catgut을 사용한 군과 비교하였을 때, Safil(R) Quick 군은 질식 분만일로부터 퇴원일까지의 기간이나 분만 후 봉합 부위 치유 상태 및 감염, 혈종, 열개 등의 합병증의 빈도가 차이가 없었고, Monosyn(R) 군도 제왕절개 수술 시간이나 수술 3일 후 헤모글로빈 수치의 감소 및 합병증의 빈도가 차이가 없었다. Safil(R) 군도 Vicryl(R) 군과 비교하였을 때 제왕절개 수술 시간과 퇴원시의 통증 강도 및 합병증의 빈도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결론 : Safil(R) Quick은 회음절개의 봉합에 있어 chromic catgut의 대체 봉합사로 사용될 수 있고, Monosyn(R)과 Safil(R)은 각각 제왕절개 시 자궁 절개 부위와 근막의 봉합에 chromic catgut과 Vicryl(R)의 대체 봉합사로 사용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 : To evaluate the clinical applicability and safety of absorbable synthetic suture materials (Safil(R)/Safil(R) Quick/Monosyn(R)) in obstetrical surgeries. Methods : This clinical trial includes 100 patients who delivered vaginally and 198 p...

      Objective : To evaluate the clinical applicability and safety of absorbable synthetic suture materials (Safil(R)/Safil(R) Quick/Monosyn(R)) in obstetrical surgeries. Methods : This clinical trial includes 100 patients who delivered vaginally and 198 patients who were undergone cesarean section from April 2004 to September 2004. In cases of vaginal delivery, patients were divided with the same number into the study group in which Safil(R) Quick was used and the control group in which chromic catgut was used for episiotomy and perineal laceration repair. In case of cesarean delivery,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first group which included 100 patients was subdivided with the same number into the study group in which Monosyn(R) Was used and the control group in which chromic catgut was used for uterine repair. The second group which included 98 patients was subdivided with the same number into the study group in which Safil(R) was used and the control group in which Vicryl was used for rectus fascia repair. Wound healing status and complications are assessed during postoperative stage, at hospital discharge, and at postpartum out-patients follow-up. Results : Compared with chromic catgut groups Safil(R) Quick group showed no difference in hospital stay from vaginal delivery, wound healing status and surgical complications and Monosyn(R) group showed no difference in operating time, decrease in hemoglobin at postoperative day 3 and surgical complications. Safil(R) group showed no difference in operating time, postoperative pain and surgical complications compared with Vicryl group. Conclusion : Safil(R)/Safil(R) Quick/Monosyn(R) were equivalent with regard to most aspects of their clinical suitability and may be useful alternative suture materials in obstetrical surgerie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