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가정통신망을 활용한 놀이프로그램이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라 유아가 지각하는 부모-자녀간의 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유아 40명을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726099
2012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25(25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가정통신망을 활용한 놀이프로그램이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라 유아가 지각하는 부모-자녀간의 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유아 40명을 ...
본 연구는 가정통신망을 활용한 놀이프로그램이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라 유아가 지각하는 부모-자녀간의 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유아 40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각 20명씩 편성하여 예비검사, 사전검사, 8주간의 실험처치,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17.0을 사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알아보고, 양육태도별 점수의 분석은 검사유형(사전, 사후)과 집단유형(실험, 통제)간의 차이를 비교하는 공변량분석(ANCOVA)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가정통신망을 활용한 놀이 프로그램이 유아가 지각하는 자녀-부모 관계에서 애정-자율적(민주형), 애정-통제적(익애형), 자율-거부적(방임형) 양육태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통제-거부적(독재형) 양육태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는 부모와 적극적으로 상호작용하는 가정통신망을 활용한 놀이프로그램이 애정-자율적, 애정-통제적, 자율-거부적 양육태도를 지닌 부모와 자녀관계에서 신뢰를 형성하는데 도움이 되었음을 의미한다. 하지만, 통제-거부적 양육태도를 지닌 부모에게는 자녀와 상호작용하는 방법을 체계적으로 교육하는 프로그램의 제공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influence on parents-children relations that children perceive depending on parents’ nurturing attitude from play program with home communication network. For this, I conducted experiments with 40 children, dividing e...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influence on parents-children relations that children perceive depending on parents’ nurturing attitude from play program with home communication network. For this, I conducted experiments with 40 children, dividing experimenting group and controlled group with 20 each. I conducted preparatory test, preliminary test, 8-week experiment and after inspection. For material analysis, I studied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with SPSS 17.0. For scoring analysis for each nurturing attitude, I used ANCOVA which compares differences between inspection type(pretest and after inspection) and group type(experimenting and controlled). According to the result, in parents-children relationship that children perceive from play program with home correspondence network, there were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in love-autonomy(democratic type), love-control(dotage type) and autonomy-refusal(neglecting type) attitudes, but there were not meaningful differences in control-refusal(autocracy type) attitude. This means, the play program with home communication network which make interaction actively with parents is helpful to make faith relations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who have love-autonomy, love-control and autonomy-refusal. However, it means parents who have control-refusal attitude need a systematic educational program to interact with children.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유연옥, "효율적인 부모역할훈련이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언어통제유형에 미치는 영향" 13 (13): 315-327, 2004
2 고정곤, "현장중심 부모교육의 이론과 실제" 양서원 2010
3 오영희, "현대사회의 부모와 자녀관계" 동문사 2002
4 김효숙, "정서불안정 모의 부적절 양육태도 개선과 아동불안 감소를 위한 모녀미술치료 효과" 3 (3): 23-60, 2007
5 경상남도밀양교육청, "전통문화교육 장학자료"
6 장성애, "적극적 부모역할 훈련 프로그램이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교육학회 17 (17): 187-202, 2008
7 Gordon, T, "자율적 자녀육성을 위한 부모교육" 형설출판사 2001
8 조인경, "자녀양육 지원 부모역할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도 조사" 한국육아지원학회 4 (4): 95-114, 2009
9 김현주, "자녀양육 역량 강화를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영역별 활동집 개발을 위한 요구조사" 3 (3): 177-192, 2002
10 교육과학기술부, "유치원 교육활동지도 자료"
1 유연옥, "효율적인 부모역할훈련이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언어통제유형에 미치는 영향" 13 (13): 315-327, 2004
2 고정곤, "현장중심 부모교육의 이론과 실제" 양서원 2010
3 오영희, "현대사회의 부모와 자녀관계" 동문사 2002
4 김효숙, "정서불안정 모의 부적절 양육태도 개선과 아동불안 감소를 위한 모녀미술치료 효과" 3 (3): 23-60, 2007
5 경상남도밀양교육청, "전통문화교육 장학자료"
6 장성애, "적극적 부모역할 훈련 프로그램이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교육학회 17 (17): 187-202, 2008
7 Gordon, T, "자율적 자녀육성을 위한 부모교육" 형설출판사 2001
8 조인경, "자녀양육 지원 부모역할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도 조사" 한국육아지원학회 4 (4): 95-114, 2009
9 김현주, "자녀양육 역량 강화를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영역별 활동집 개발을 위한 요구조사" 3 (3): 177-192, 2002
10 교육과학기술부, "유치원 교육활동지도 자료"
11 이숙재, "유아를 이한 놀이의 이론과 실제" 창지사 2011
12 교육과학기술부, "유아를 위한 부모교육 자료"
13 김정주,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일반적 특성, 어머니 결혼만족도가 아버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회 54 (54): 269-287, 2008
14 이경희, "엄마․아이 놀이프로그램" 창지사 2001
15 김세루,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양육스트레스와 유아의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9 (9): 113-132, 2010
16 Bronson, P, "아이들에 대한 새로운 생각 양육쇼크" 도서출판 물푸레 2010
17 조선화, "아동이 지각하는 아버지상과 의사소통과의 관계" 한국놀이치료학회 14 (14): 75-91, 2011
18 이혜련, "아동의 초기 언어발달과 어머니의 언어적 입력간의 관계:동사와 명사를 중심으로" 한국아동학회 26 (26): 205-216, 2005
19 유경훈, "아동의 창의성에 부모성격, 양육태도, 가정의 분위기가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교육학회 18 (18): 121-133, 2009
20 Brooks, B. J, "새로운 세대의 부모와 자녀" 학지사 2006
21 김경미, "부부의 성격특성과 갈등의 상호작용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 14 (14): 327-352, 2009
22 백지은, "부모자녀놀이치료 프로그램이 부모자녀 상호작용에서의 공감 및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아동학회 30 (30): 99-117, 2009
23 윤경선, "부모-자녀 친밀성이 학교생활적응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전공 여자 대학생을 중심으로-" 미래유아교육학회 16 (16): 71-92, 2009
24 두정일, "부모-자녀 상호작용 치료에 대한 고찰" 한국놀이치료학회 11 (11): 1-16, 2008
25 한국미술치료학회, "미술치료의 이론과 실제" 도서출판 동아문화사 2000
26 최외선, "미술치료기법" 학지사 2008
27 이상희, "모-아 치료놀이 프로그램이 어머니의 공감능력 및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8 (8): 63-82, 2003
28 김동연, "동그라미 중심 가족화에 의한 심리진단과 치료" 대구대학교 출판부 2008
29 경상남도교육청, "농촌형 교육활동과정안" 경상남도교육청 2007
30 이승희, "놀이치료-이론과 실제" 서울 시그마프레스 2000
31 Trawick-Smith, J, "놀이지도: 아이들을 사로잡는 상호작용" 다음세대 2004
32 방은령, "놀이의 의미와 치료 및 성장을 위한 활용" 한국놀이치료학회 12 (12): 1-17, 2009
33 신민섭, "그림을 통한 아동의 진단과 이해" 학지사 2010
34 천은영, "그림을 통한 아동미술치료" 신광문화사 2010
35 신혜선, "공립유치원의 부모교육 실시 현황 및 교사들의 인식 : 경기도 공립유치원을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36 한길연, "가정통신문을 활용한 부모교육이 어머니의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37 이민자, "가정통신문을 이용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어머니의 부모효능감,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교육학회 16 (16): 191-203, 2007
38 김현자, "P. E. T.와 현실요법을 접목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부모의 의사소통기술과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4 (4): 95-121, 2007
39 Burns, R. C, "Guide to Family-Centered Circle Drawings(F-C-C-D) with Symbol Probes and Visual Free Association" Brunner/Mazel 1990
40 Booth, C, L, "Development of maternal social skills in multi problem families; Effects on the mother-child relationship" 25 : 403-412, 1989
41 Schaefer, E. S, "Development of material behavior research instrument" 95 : 83-104, 1959
42 경상남도교육청, "2010 경상남도 유치원 교육과정 편성․운영지침"
교사들이 인식한 유치원 R-러닝 수업활동의 가능성과 한계
'무지개 물고기' 시리즈에 나타난 상호적 친구관계 형성에서의 유아 교육적 함의 고찰
사진을 활용한 환경교육활동이 유아의 환경 친화적 태도 및 환경 보전 지식에 미치는 영향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4-24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 Society For Children`S Media -> Korean Association for Children’s Media & Education |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 ![]() |
2019-12-02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Korean Joural of Children's Media -> Journal of Children’s Media & Education | ![]() |
2019-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6 | 1.6 | 1.9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86 | 1.85 | 2.256 | 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