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타 우파니샤드』에서는 Purusa와 Atman을 동의어로 혼용하면서도 Purusa에 비중을 두어 자아에 대한 차별 관념을 드러내고 있다. 그리고 일원론적인 자아관의 지향점은 Purusa가 Brahman임을 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119967
2017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55-186(32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카타 우파니샤드』에서는 Purusa와 Atman을 동의어로 혼용하면서도 Purusa에 비중을 두어 자아에 대한 차별 관념을 드러내고 있다. 그리고 일원론적인 자아관의 지향점은 Purusa가 Brahman임을 인...
『카타 우파니샤드』에서는 Purusa와 Atman을 동의어로 혼용하면서도 Purusa에 비중을 두어 자아에 대한 차별 관념을 드러내고 있다. 그리고 일원론적인 자아관의 지향점은 Purusa가 Brahman임을 인식하는 것이다. 이러한 지향점을 표방하는 과정에서 Purusa는 상당히 혼잡스러울 정도로 다양하게 설명되어 있지만, 그 정점에는 `속성이 전혀 없는 Purusa`가 있다. 그리고 이것은 고전 상키야에서 순수한 정신의 원리로 상정한 Purusa와 합치한다. 『카타 우파니샤드』에서 `엄지 크기의 Purusa`는 `내적 자아`인 동시에 `생명으로서의 Atman`이다. 개아 또는 영혼으로 불릴 수 있는 이것이 『카타 우파니샤드』의 일원론에서는 Brahman의 별칭인 최고아로서의 Atman 또는 Purusa와 동일한 것으로 귀결된다. `엄지 크기의 Purusa` 또는 내적 자아에 상당하는 대아(위대한 Atman)도 이와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상키야의 이원론에서 `엄지 크기의 Purusa`는 미세신(suksma-sarira)에 상당한다. 『카타 우파니샤드』에서 대등한 위상으로 언급하는 통각, 순질, 지아(인식의 Atman)가 고전 상키야에서는 통각으로 병합되었으며, 끝으로 범아일여의 범(Brahman)에 해당하는 적정아(적정의 Atman)는 고전 상키야의 Purusa와 상응한다. 이상과 같이 『카타 우파니샤드』의 Purusa 개념은 자아에 대한 다양한 인식을 포괄함으로써 고전 상키야의 Purusa 개념이 애초에 함축하고 있었던 원천적 관념을 시사해 준다. 『카타 우파니샤드』는 비교적 간결한 문헌이지만, 이를 통해 상키야의 Purusa가 일부 주석자들 사이에서 또는 후대에 Atman과 동의어로 당연시되었던 배경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terms Purusa and Atman are used synonymously in the Katha Upanisad, but the concept of Purusa is emphasized to reveal discrimination toward the notion of Self. Moreover, with regrad to the inclination of Self in the monistic realms, there seems to...
The terms Purusa and Atman are used synonymously in the Katha Upanisad, but the concept of Purusa is emphasized to reveal discrimination toward the notion of Self. Moreover, with regrad to the inclination of Self in the monistic realms, there seems to be an intent to interpret the term `Purusa` as equivalent to `Brahman.` In the process of expressing this point of view, Purusa has been described in various ways to be quite congested, but at its apex is Purusa, which has no property at all. Consequently, this coincides with Purusa, which is assumed to be the principle of pure spirit in the classical Samkhya. The Self-concept in the Katha Upanisad combines the process of intensification of meditation with the object or subject in the cognitive process. It is revealed in the following three suggestions: ① indriya → artha → manas → buddhi → mahan Atman → avyakta → Purusa ② indriya → → manas → sattva → mahan Atman → avyakta → Purusa ③ →van-manas → jnanatman → mahan Atman → santatman On the other hand, the Bhagavad-gita suggests this process as a stage of indriya → manas → buddhi → Atman. According to classical Samkhya, the subject of recognition evolves from indriya → mind → ahamkara → buddhi → Purusa.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Katha Upanisad contains the Self-concept that can be covered by Purusa from the Bhagavad-gita to classical Samkhya. The notable concept here is the `thumb-sized Purusa`, likened to a dwarf. In the Katha Upanisad, the thumb-size Purusa is indicated as an `inner self` just as, at the same time, it indicates `Atman as life.` Thisconcept, which can be identified as the individual self or spirit, is ultimately identical to Atman or Purusa as the supreme self―the alias of Brahman ―in the monism of the Katha Upanisad . It is likewise true of the `thumb-sized Purusa` corresponds to the `supreme Atman,` the inner self. The term `thumb-sized Purusa,` however, also corresponds to `suksma-sarira` in the dualism of Samkhya. In the Katha Upanisad , the terms of Buddhi, sattva, and `Atman of awareness`, which are referred to in an equilibrium phase, have been incorporated into the `buddhi` in classical Samkhya. Finally, `Atman of titration`, which corresponds to Atman, or one`s true self (Atman), which is identical to the transcendent-self `Brahman` (Brahman of `Brahman-Atman-aikya`)―corresponds to the term `Purusa` in the classical Samkhya. To sum up the matters, the concept of Purusa in the Katha Upanisad, encompasses various awareness of the concept `self` that the concept of Purusa in the classical Samkhya suggests the foundational ideas originally implied Even though the Katha Upanisad is a relatively concise literature, this text can provide for later commentators and later generations a glimpse into the contextual background of the term `Purusa` in classical Samkhya, revealing that it is used with as a synonym for `Atman`.
찬드라키르티의 자기인식설 비판 __laksana와 laksya의 관계를 중심으로__
유식 삼성설의 관점에서 본 F. H. 브래들리의 실재 개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