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에서는 유식 삼성설의 해석에서 두 가지 모델, 즉 “중추적 모델”과 “발전적 모델” 가운데 의타기성의 이중적 성격을 통해 변계소집과 원성 실설을 설명하는 “중추적 모델”이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119960
2017
Korean
삼성설 ; 브래들리 ; 의타기성 ; 실재 ; 현상 ; 대상 ; 비교철학 ; trisvabhava ; F. H. Bradley ; Dependant Nature ; reality ; appearance ; object of cognition ; comparative philosophy
KCI등재
학술저널
317-346(30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에서는 유식 삼성설의 해석에서 두 가지 모델, 즉 “중추적 모델”과 “발전적 모델” 가운데 의타기성의 이중적 성격을 통해 변계소집과 원성 실설을 설명하는 “중추적 모델”이 ...
이 논문에서는 유식 삼성설의 해석에서 두 가지 모델, 즉 “중추적 모델”과 “발전적 모델” 가운데 의타기성의 이중적 성격을 통해 변계소집과 원성 실설을 설명하는 “중추적 모델”이 영국 관념론자 브래들리의 현상과 실재에 대한 해석과 흥미로운 유사성을 보인다는 점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브래들리는 영국 경험론의 전통에 서 있으면서도, 경험주의가 떨어질 수 있는 회의주의 함정을 독일 관념론을 통해 극복하고자 시도하였던 절대적 관념론자이다. 브래들리의 대 전제는 “직접경험되는 것이 실재한다”는 명제이다. 그의 경험론적 전제에 따르면 인식의 영역을 넘서서 존재하는 물자체(Ding an sich)같은 것은 인정되지 않는다. 헤겔의 절대정신이 자리하는 곳에는 궁극적 직접경험인 절대(the Absolute)이 위치하여, 절대 정신은 절대경험으로 대치된다. 브래들리에게 현상은 실재와 구분되는 허구이고 궁극적으로 지양될 것이다. 그러나 현상은 즉각적으로 부정되는 것이 아니라 실재에 대한 직접경험에 비추어 진리의 정도가 확인되면서 점차로 지양되고, 궁극적으로 초월되는 것이다. 이것은 직접적으로 경험되는 의타기의 세계에서 분별을 제거함으로써 원성실이 드러난다는 해석과 유사성을 지닌다. 브래들리는 우리의 직접경험은 찰나적이고, 곧바로 현상에 대한 일상의 경험으로 떨어지게 된다. 그러나 절대적 직접경험을 기준하여 현상에서의 진리의 정도를 높여가면 최종적으로 현상세계의 속성과 관계를 초월하는 경험을 통해 궁극적 절대에 도달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examines the interesting similarities between the Bradley`s interpretation on the Appearance and Reality and the pivotal model of the interpretation on the theory of the Three Natures in the Yogacara philosophy. F. H. Bradley, the British...
This article examines the interesting similarities between the Bradley`s interpretation on the Appearance and Reality and the pivotal model of the interpretation on the theory of the Three Natures in the Yogacara philosophy. F. H. Bradley, the British Idealist, attempted to overcome the skeptical dead-end of the British Empiricism, adopting the ideas of the Absolute from the German Idealism. Bradley, however, stood firm on the proposition of the empiricism, "what is experienced is real." From this point of view, there is no place to acknowledge the existence of the Ding an sich that transcends the realm of perception. Instead, Bradley argues that the ultimate direct experience is the Absolute compared to the Absolute Geist of Hegel. For Bradley, appearance is not real but is something that should be overcome in the end. The process of sublation proceeds gradually by improving the degrees of truth, reflecting the truths of appearances to the Absolute, or the direct experience of the Reality. Such interpretation of Bradley seems to share the same line of thought with the idea of the Dependent Nature (paratantra svabhava) that embraces both the Fabricated Nature (parikalpita svabhava) and the Perfected Nature (parinispanna- svabhava), but by sublating the Fabricated Nature it reveals itself as the Perfected Nature, the ultimate reality. Bradley suggests that we are able to reach the ultimate reality when we directly experience the reality by gradually improving the degrees of truth and finally transcending the properties and relations in the world of appearance.
참고문헌 (Reference)
1 하토리 마사아키, "인식과 초월" 민족사 1991
2 안성두, "인도불교 초기 유식문헌에서의 언어와 실재와의 관계_瑜伽師地論의 三性과 五事를 중심으로" 인도철학회 (23) : 199-239, 2007
3 안성두, "유식문헌에서의 三性說의 유형과 그 해석" 인도철학회 (19) : 61-90, 2005
4 엄정식, "영국실재론과 관념론의 극복: G. E. Moore 와 B. Russell 을 중심으로" 철학연구회 18 : 95-112, 1983
5 와녹 M, "브래들리의 形而上學的 倫理學" (70) : 96-104, 1985
6 이규완, "極微 해석을 통해 본 世親 철학의 轉移" 서울대학교 2017
7 平川彰, "唯識思想" 경서원 1993
8 Montague R. D. L, "Wollheim On Bradley On Idealism And Relations" 14 (14): 158-164, 1964
9 Candlish, Stewart, "The Truth About F. H. Bradley" 98 (98): 331-348, 1989
10 Bradley, F. H., "The Principles Of Logic" Oxford Univ. Press 1922
1 하토리 마사아키, "인식과 초월" 민족사 1991
2 안성두, "인도불교 초기 유식문헌에서의 언어와 실재와의 관계_瑜伽師地論의 三性과 五事를 중심으로" 인도철학회 (23) : 199-239, 2007
3 안성두, "유식문헌에서의 三性說의 유형과 그 해석" 인도철학회 (19) : 61-90, 2005
4 엄정식, "영국실재론과 관념론의 극복: G. E. Moore 와 B. Russell 을 중심으로" 철학연구회 18 : 95-112, 1983
5 와녹 M, "브래들리의 形而上學的 倫理學" (70) : 96-104, 1985
6 이규완, "極微 해석을 통해 본 世親 철학의 轉移" 서울대학교 2017
7 平川彰, "唯識思想" 경서원 1993
8 Montague R. D. L, "Wollheim On Bradley On Idealism And Relations" 14 (14): 158-164, 1964
9 Candlish, Stewart, "The Truth About F. H. Bradley" 98 (98): 331-348, 1989
10 Bradley, F. H., "The Principles Of Logic" Oxford Univ. Press 1922
11 Allard, James W., "The Logical Foundations Of Bradley's Metaphysics: Judgment, Inference, And Truth"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12 Shrivastava, S. N. L, "The Absolute In Bradley And Śaṁkara" 6 (6): 99-111, 1956
13 Mallinson, J. E., "T. S. Eliot's Interpretation of F.H. Bradley:Seven Essays" Kluwer Academic Publishers 2002
14 Moore, Charles A, "Some Problems of Comparative Philosophy" 1 (1): 67-70, 1951
15 Shrivastava, S. N. L., "Samkara And Bradley: A Comparative And Critical Study" Motilal Banarsidass 1968
16 Cresswell, M. J, "Reality As Experience in F. H. Bradley" 55 (55): 169-188, 1977
17 Nagao, Gadjin M., "Madhyamika and Yogacara: A Study of Mahayana Philosophies" SUNY Press 1991
18 Eliot, T. S., "Knowledge And Experience In The Philosophy Of F. H. Bradley" Farrar, Straus And Co 1964
19 Stern, Robert, "James And Bradley On Understanding" 68 (68): 193-209, 1993
20 Bradley, F. H., "Essays On Truth And Reality" The Clarendon Press 1950
21 Fleming, Jesse, "Comparative Philosophy: Its Aims and Methods" 30 (30): 259-270, 2003
22 Littlejohn, Ronnie, "Comparative Philosophy" 2017
23 Bradley, F. H., "Collected Essays" Greenwood Press 1935
24 Gaskin, Richard, "Bradley's Regress, The Copula And The Unity Of The Proposition" 45 (45): 161-180, 1995
25 Kulkarni, N. G, "Bradley'S Anti-Relational Argument" 7 (7): 97-108, 1957
26 Bradley, F. H., "Appearance And Reality: A Metaphysical Essay" The Clarendon Press 1955
27 Takahashi, Koichi, "A Premise of the Trilakṣaṇa Theory in the Saṃdhinirmoccana-Sūtra" 54 (54): 85-92, 2006
28 김중규, "19세기 영국 관념론에 대한 러셀의 비판- 그의 관계이론을 중심으로 -" 새한철학회 3 : 121-139, 2009
찬드라키르티의 자기인식설 비판 __laksana와 laksya의 관계를 중심으로__
인식의 `등불 비유`에 관한 해석 논쟁 __실재의 내속성과 변충의 동일성 비교를 중심으로__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4-22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 Korean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8-10-11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미등록 -> Korea Society for Indian Philosophy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8 | 0.38 | 0.4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9 | 0.4 | 1.24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