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리포트 문서 제작양식을 활용한 주거자립훈련이 지적장애성인의 화장실 청소기술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특수학교를 졸업한 이후 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590720
2015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리포트 문서 제작양식을 활용한 주거자립훈련이 지적장애성인의 화장실 청소기술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특수학교를 졸업한 이후 비...
본 연구는 리포트 문서 제작양식을 활용한 주거자립훈련이 지적장애성인의 화장실 청소기술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특수학교를 졸업한 이후 비고용의 상태로 가정 내에 머물면서 부모에게 의존하고 혼자 고립된 생활 일과를 지속하는 지적장애성인 세 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실험 환경은 연구 대상들이 실제로 거주하고 있는 가정 내의 화장실(평가 환경)과 방(중재 환경)으로 구성되었고,실험 설계는 단일대상 연구의 기법 중 한 가지인 대상자간 중다간헐 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였다. 독립변인인 주거자립 훈련에서 활용된 리포트 문서 제작양식은 연구 대상들이 개별적으로 활용하는 공간인 방에 위치한 컴퓨터를 활용하는 것으로 전개되었으며, 컴퓨터 내의 한글문서, 사진파일,프린트기를 통합적으로 활용하는 절차로 역시 이루어졌다. 연구 대상들은 컴퓨터를 통해 리포트 문서를 제작하는 데에 있어 한글문서의 글자쓰기와 표 그리기,사진 파일을 복사하여 한글문서의 표에 붙이기,작업한 한글문서를 컴퓨터 내의 바탕화면 파일에 저장하여 프린트하기,출력된 리포트 문서를 클리어 파일로 파일청하기의 절차를 수행하였다. 또한,본 연구는 연구 대상들의 리포트 문서 제작과정에 대한 반응촉진으로 구성된 지침서 역시 중재요소로 활용하였다 종속변인(목표행동)인 화장실 청소기술은 총 10가지 단계로 과제분석되었다. 연구 결과,연구 대상들은 중재프로그램을 통해 화장실 청소기술을 효과적으로 습득 및 유지한 것으로 나타
났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residental independence training using report document format on bathroom cleaning skill of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or this purpose, three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t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residental independence training using report document format on bathroom cleaning skill of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or this purpose, three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taying at home as unemployed after graduating from special high school and continuing isolated daily activities dependent on parents were selected as subjects of this study. The experimental environment comprised of bathroom (evaluation environment) and bedroom (intervention environment) in the actual residence of subjects. For the experimental design,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ubjects was used as one of single-subject design research techniques. Report document format, an independent variable used in residential independence training, involved the use of personal computer available in the bedrooms of subjects. The procedure included combined use of Korean word processor, image file and printer on PC. While preparing for report document on PC, subjects performed typing of letters and drawing of a table on Korean word processor, copying and attachment of an image file into the table on Korean word processor, saving the created document as a file on the desktop, printing the document, and filing the printed document as clear file. In addition, a guideline lor facilitating response of subjects to the report document making process was also used as an intervention factor. Task analysis was performed on bathroom cleaning skill as a dependent variable (target behavior) in 10 steps. As a result, subjects were found to effectively acquire and maintain bathroom cleaning skill through the intervention program.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나경은, "학습장애아동 및 성인을 위한 전환교육연구의 질적지표에 의거한 분석" 학습장애연구 9 (2) : 167 ~ 186 , 2012
2 김경열, "학령기이후 발달장애 성인학습자의 전환교육을 위한 평생학습참여 연구" 평생교육 · HRD연구 7 (4) : 119 ~ 140 , 2011
3 김영준, "평생학습 측면에서 본 발달장애인의 자립생활을 위한 학령기 증거기반 전환교육 실제의 활용방안 고찰"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58 (1) : 137 ~ 166 , 2015
4 한순미, "평생학습 사회에서의 자기주도적 학습전략" 양서원 , 2004
5 강옥려, "특수학교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 기본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교원교육 22 (2) : 117 ~ 129 , 2006
6 김라경,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지역사회중심 직업교수 고찰"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1 (1) : 63 ~ 89 , 2012
7 이수종, "지적장애인의 직업재활을 위한 전통공예 프로그램 개발 연구 : 짚풀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가야대학교 대학원 , 2011
8 황석웅, "지적장애인의 자립생활기술교육이 자립생활에 미치는 영향 요인 -자기결정권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지적장애연구 14 (4) : 311 ~ 340 , 2012
9 신진숙, "지적장애아 교육" 양서원 , 2010
10 이한얼, "지적ㆍ발달장애인 지원 체계에 대한 이론적 근거 탐색" 지적장애연구 15 (1) : 39 ~ 56 , 2013
1 나경은, "학습장애아동 및 성인을 위한 전환교육연구의 질적지표에 의거한 분석" 학습장애연구 9 (2) : 167 ~ 186 , 2012
2 김경열, "학령기이후 발달장애 성인학습자의 전환교육을 위한 평생학습참여 연구" 평생교육 · HRD연구 7 (4) : 119 ~ 140 , 2011
3 김영준, "평생학습 측면에서 본 발달장애인의 자립생활을 위한 학령기 증거기반 전환교육 실제의 활용방안 고찰"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58 (1) : 137 ~ 166 , 2015
4 한순미, "평생학습 사회에서의 자기주도적 학습전략" 양서원 , 2004
5 강옥려, "특수학교 과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 기본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교원교육 22 (2) : 117 ~ 129 , 2006
6 김라경,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지역사회중심 직업교수 고찰"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1 (1) : 63 ~ 89 , 2012
7 이수종, "지적장애인의 직업재활을 위한 전통공예 프로그램 개발 연구 : 짚풀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가야대학교 대학원 , 2011
8 황석웅, "지적장애인의 자립생활기술교육이 자립생활에 미치는 영향 요인 -자기결정권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지적장애연구 14 (4) : 311 ~ 340 , 2012
9 신진숙, "지적장애아 교육" 양서원 , 2010
10 이한얼, "지적ㆍ발달장애인 지원 체계에 대한 이론적 근거 탐색" 지적장애연구 15 (1) : 39 ~ 56 , 2013
11 김영준, "지역사회 사업체 참조 직업훈련이 비고용 발달장애인의 직무적응능력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 15 (3) : 215 ~ 237 , 2014
12 이성용, "증거기반 교수기법을 활용한 통합교과교육 프로그램이 지적장애학생의 지역사회생활 기술에미치는 효과"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 2013
13 전헌선, "중복ㆍ지체부자유아 교수ㆍ학습론" 대구대학교 출판부 , 2005
14 신영옥, "정신지체학생을 위한 생태학적 교육과정 구성방안 탐색" 강원대학교 대학원 , 2006
15 정현주, "정신지체 성인의 자기관리 활동에 대한 비디오모델링(Video Modeling)기법이 독립생활기술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 2011
16 황순영, "정서ㆍ행동문제를 가진 아동을 위한 특수교육학 중심의 지원 방향 탐색" 교육혁신연구 23 (1) : 109 ~ 119 , 2013
17 조인수, "전환교육프로그램적용이 발달지체인의 직업적응력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학연구 35 (4) : 199 ~ 219 , 2001
18 김형일, "전환 교육의 이해와 실행" 교육과학사 교육과학사 , 2010
19 강경숙,김영준, "전공과를 졸업한 비고용 지적장애인의 가정에서의 삶에 관한 참여관찰 연구" 한국특수교육학회 특수교육학연구 48 (1) : 71 ~ 101 , 2013
20 이진희, "자기점검기법이 초등학교 특수학급 경도정신지체 학생의 수학 숙제 수행에 미치는 효과" 공주대학교 대학원 , 2004
21 김수미, "자기관리전략을 이용한 사회적 기술 중재가 공공 도서관의 지적장애 근로자의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2012
22 박미경, "자기감독 기법이 경도 정신지체 중학생의 수학 숙제하기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 2001
23 조인수, "자극단서의 수와 구성방법에 따른 정신지체아의 주의집중 특성" 발달장애연구 1 : 69 ~ 84 , 1997
24 석종창, "인터넷 전자우편을 활용한 자기주도적 학습이 학습부진아의 학습부적응행동수정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 2003
25 강유진,이소현, "시각적 지원을 활용한 자기관리 전략이 자폐 범주성 장애 성인의 직장 내 업무 독립수행율 및 정확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폐학회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2015
26 임형균,임형균, "성인학습자의 교육참여동기와 자기주도학습 준비도의 관계 분석" 아주대학교 아주대학교 대학원 , 2009
27 유병주, "성인정신지체인의자립생활을 위한 주거서비스의 변화- 그룹홈에서 순회지원자립홈으로 -" 특수교육학연구 39 (3) : 163 ~ 185 , 2004
28 신현희, "성인 지적장애인에 대한 비디오 모델링 훈련이 식사준비에 미치는 영향: 단일사례연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3 (2) : 375 ~ 385 , 2014
29 김형일, "사회적 정보처리 훈련이 학령기 이후 지적장애인의 직업 적응 능력에 미치는 효과" 지적장애연구 12 (1) : 31 ~ 49 , 2010
30 박진애, "발달장애아동의 컴퓨터 접근성을 위한 정보화 교육 실태분석" 창원대학교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 2008
31 김경열, "발달장애 성인학습자의 평생학습 참여 요인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 2012
32 조인수, "독특한 교육적 지원요구를 가진 아동을 위한 생활자립훈련프로그램" 대구대학교 출판부 , 2013
33 최성원, "뇌성마비장애인의 자립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일장신대학교 기독교사회복지대학원 한일장신대학교 기독교사회복지대학원 , 2005
34 김은라,박재국, "뇌성마비아동의 학습양식 특성" 한국특수교육학회 부산대학교 대학원 , 2014
35 권정민,김민영 ( Min Young Kim ), "기능성 게임을 이용한 지적 장애인 직무 훈련: 직업 기능 교과서의 게임화를 위한 콘텐츠 연구" 한국컴퓨터게임학회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 25 (4) : 35 ~ 46 , 2012
36 이건인, "교육심리학" 학지사 , 2008
37 임철일, "교육설계 이론과 모형" 교육과학사 , 2012
38 박정식, "고등교육 환경에서의 전환활동이 발달장애대학생의 일상생활자립 능력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2 (3) : 23 ~ 44 , 2013
39 조인수, "개별화전환교육계획을 위한 전환사정" 대구대학교 출판부 , 2010
40 趙寅洙, "學習刺戟의 內容과 提示方法에 따른 精神博弱兒의 選擇的 注意集中" 大邱大學校 大學院 , 1987
41 우성숙, "UCC 제작활동이 지적장애아동의 자기 효능감 및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창원대학교 대학원 , 2012
42 Clark.G.M,Sitlington,Sitlington, P. L., "Transition education and service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llyn & Bacon , 2005
43 Miller, R. J., "Transition assessment: Planning transition and IEP development for youth with mild to moderate disabilities" Allyn and Bacon , 2007
44 Cronin, M. E., "Transition and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Facilitating the movement from school to adult life" PRO-ED : 85 ~ 112 , 1996
45 Rovai, A. P., "The relationships of communicator style, personality-based learning style, and classroom community among online graduate students" Internet and Higher Education 6 (4) : 347 ~ 363 , 2003
46 Mitchell, R. J., "Teaching vocational skills with a faded auditory prompting system" Education and Training in Mental Retardation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35 (4) : 415 ~ 427 , 2000
47 Miller, R. J., "Teaching the possibilities: Identifying individual transition needs" Minnesota Educational Services : 17 ~ 31 , 1993
48 Mercer, C. D., "Teaching students with learning problems" Prentice-Hall : 97 ~ 144 , 2001
49 Prater, M. A., "Teaching strategies for students with mild to moderate disabilities" Allyn and Bacon , 2007
50 Westling, D. L., "Teaching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Merrill Prentice Hall , 2009
51 Cronin, M. E., "Life skills instruction: A practical guide for integrating real-life content into the curriculum at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levels for students with special needs or who are placed at risk" PRO-ED , 2007
52 Dunn, R., "Learning styles inventory" Price Systems , 2003
53 Sze, S., "Learning Style and The Special Needs Child" Journal of Instructional Psychology 36 (4) : 360 ~ 362 , 2009
54 Price, G. E., "Learning Style Inventory(LSI): an inventory for the identification of how individuals in grades 3 through 12 prefer to learn, Manual" Price Systems , 1997
55 Dunn, R., "Impact of Learning-Style Instructional Strategies on Students’ Achievement and Attitudes: Perceptions of Educators in Diverse Institutions" A Journal of Educational Strategies, Issues and Ideas 82 (3) : 135 ~ 140 , 2009
56 Alper, S., "An ecological approach to identifying curriculum content for inclusive settings. In D. L. Ryndak & S. Alper(Eds. ), Curriculum and instruction for students with significant disabilities in inclusive settings(2nd ed., pp. 73-85)" Allyn and Bacon , 2003
장애 대학생의 지각된 스트례스와 삶의 만족간의 통합성의 매개효과분석
Q- 방법론을 이용한 치매 작업치료의 중재 유형별 특성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