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적 인적자원관리의 이론개발을 위한 기반연구 = Groundwork for Theory Development on Korea-Type Human Resource Management (K-HRM)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orea Academy of Management launched the research project“Korea-Type Management(K-Management)”in 2012. As a part of this project, this study focuses on Korea-type human resource management (K-HRM). We define K-HRM as“the process of adopting and implementing practices consistent with policies and guiding principles reflecting Korean values and institutional contexts in order to achieve desirable performance through people.”H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ay the groundwork for K-HRM theory. To achieve this, we first described human resource management (HRM) in Korea for three time periods: pre~1987; 1987~1997; and post~1997. We then reviewed 70 papers that have addressed K-HRM or HRM in Korea published in various Korean academic journals and international academic journals listed in Social Science Citation Index (SSCI). Finally, we made recommendations for the further development of K-HRM theory in future research. Human resources were a major factor behind the success of Korea, one of poorest countries in the world in the 1960s which has now become the 10th largest economy globally and a member of the OECD. Korea and Korean firms are good examples of the idea that human resources provide a competitive advantage. To understand K-HRM, we have to look at how HRM operates in Korean firms. Although the roots of HRM in Korean firms are not clear, the formation of HR departments and HRM systems began with industrialization in the 1960s. This study analyzes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Korean HRM after the 1960s. We classify three periods of Korean HRM based on historical events and points of inflection: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internal labor market(1960s~1987), the exploration of new HRM(1987~1997), and the pursuit of performance-based HRM (1997~current). (1)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internal labor market. From the 1960s to the 1980s, rapid economic development was the main national priority for Korea. Although various strategies were implemented, Korean firms adopted people-based rather than job-based HRM. Behind this, there was a lack of skilled workers, an underdeveloped external craft labor market, and a strong desire for economic development.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internal labor market (ILM) included large scale public hiring, seniority-based compensation, position-based grade systems, discrimination of blue collar with white collar workers, evaluation systems for control purposes, and development systems for team work. (2) The exploration of new HRM. It was 1987 when democratization in terms of both politics and industry first arrived in Korea. There was an increased focus on the needs of workers (especially blue collar workers), which had been suppressed in the name of economic development. Korean firms explored various ways to balance the needs of workers and competitiveness, adopting and experimenting with various HRM practices. However, these trials were not very successful. (3) The pursuit of performance-based HRM. The 1997 financial crisis was another turning point in modern Korean history. As seen in the cases of POSCO and Samsung Electronics, major changes in Korean HRM, aided by increased labor flexibility, included yeonbongje (merit pay), profit sharing, productivity incentives, and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s. Currently, a new HRM paradigm shift is occurring in Korean firms, though many aspects of the traditional Korean ILM still remain. The coexistence of traditional and modern HRM makes it difficult to understand and interpret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HRM. It is also not easy to predict the future of Korean HRM due to the new challenges facing Korean society such as aging and the legislation of a mandatory retirement age. As a result, Korean firms face having to solve old HR problems and while preparing for new challenges.
      번역하기

      Korea Academy of Management launched the research project“Korea-Type Management(K-Management)”in 2012. As a part of this project, this study focuses on Korea-type human resource management (K-HRM). We define K-HRM as“the process of adopting and ...

      Korea Academy of Management launched the research project“Korea-Type Management(K-Management)”in 2012. As a part of this project, this study focuses on Korea-type human resource management (K-HRM). We define K-HRM as“the process of adopting and implementing practices consistent with policies and guiding principles reflecting Korean values and institutional contexts in order to achieve desirable performance through people.”H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ay the groundwork for K-HRM theory. To achieve this, we first described human resource management (HRM) in Korea for three time periods: pre~1987; 1987~1997; and post~1997. We then reviewed 70 papers that have addressed K-HRM or HRM in Korea published in various Korean academic journals and international academic journals listed in Social Science Citation Index (SSCI). Finally, we made recommendations for the further development of K-HRM theory in future research. Human resources were a major factor behind the success of Korea, one of poorest countries in the world in the 1960s which has now become the 10th largest economy globally and a member of the OECD. Korea and Korean firms are good examples of the idea that human resources provide a competitive advantage. To understand K-HRM, we have to look at how HRM operates in Korean firms. Although the roots of HRM in Korean firms are not clear, the formation of HR departments and HRM systems began with industrialization in the 1960s. This study analyzes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Korean HRM after the 1960s. We classify three periods of Korean HRM based on historical events and points of inflection: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internal labor market(1960s~1987), the exploration of new HRM(1987~1997), and the pursuit of performance-based HRM (1997~current). (1)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internal labor market. From the 1960s to the 1980s, rapid economic development was the main national priority for Korea. Although various strategies were implemented, Korean firms adopted people-based rather than job-based HRM. Behind this, there was a lack of skilled workers, an underdeveloped external craft labor market, and a strong desire for economic development.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internal labor market (ILM) included large scale public hiring, seniority-based compensation, position-based grade systems, discrimination of blue collar with white collar workers, evaluation systems for control purposes, and development systems for team work. (2) The exploration of new HRM. It was 1987 when democratization in terms of both politics and industry first arrived in Korea. There was an increased focus on the needs of workers (especially blue collar workers), which had been suppressed in the name of economic development. Korean firms explored various ways to balance the needs of workers and competitiveness, adopting and experimenting with various HRM practices. However, these trials were not very successful. (3) The pursuit of performance-based HRM. The 1997 financial crisis was another turning point in modern Korean history. As seen in the cases of POSCO and Samsung Electronics, major changes in Korean HRM, aided by increased labor flexibility, included yeonbongje (merit pay), profit sharing, productivity incentives, and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s. Currently, a new HRM paradigm shift is occurring in Korean firms, though many aspects of the traditional Korean ILM still remain. The coexistence of traditional and modern HRM makes it difficult to understand and interpret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HRM. It is also not easy to predict the future of Korean HRM due to the new challenges facing Korean society such as aging and the legislation of a mandatory retirement age. As a result, Korean firms face having to solve old HR problems and while preparing for new challeng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한국적 경영학(K-Management)'연구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수행된'한국적 인적 자원관리(K-HRM)'에 대한 연구이다. 기존의 K-HRM 연구를 계승하면서, 기존연구와는 차별화된 이론기반 연구를 수행하여 향후 K-HRM 연구의 디딤돌이 되도록 돕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K-HRM 연구를 발전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특정 이론을 사용한 기존 연구들을 고찰하여 이론으로 설명되는 것과 되지 못하는 인사관리의 현실이 무엇인지를 살펴보고, 향후 발전적인 연구와 K-HRM 이론개발을 위해 어떤 보완이 필요 한지에 대해 논의하고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K-HRM을“사람을 통해 바람직한 성과를 추구하기 위해 한국의 가치와 상황을 반영하는 지침원리(guiding principles)를 기반으로 각 인사기능의 정책적 선택이 이루어지고 이를 실현하기 위해 도입하고 있는 사람관리 제도와 그 수행과정”으로 정의하고자 한다. 위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우선 한국 인적자원관리를 1987년 이전 시기, 1987~1997년 시기, 그리고 1997년 이후 시기 등으로 구분하여 세 시기의 인적자원관리의 특징을 정리하였다. 그리고 실증 연구의 종합정리를 위해 한국의 인적자원관리분야 연구의 대표적인 학술지인 인사조직연구, 인사관리연구(현,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경영학연구, 산업관계연구에 발표된 실증연구 논문들 54편과 해외저널에 발표된 한국기업들에 대한 인사관리 관련 실증연구 논문들 16편 등 총 70편을 검토하였다. 이 논문들에 대하여 연도별 전체 논문 수 추이, 연도별 분석수준(개인, 조직, 다층), 사용된 인사제도 혹은 시스템(개별제도, 하부시스템, 혹은 전체 시스템), 그리고 인사제도(혹은 시스템)의 변수화(독립, 종속, 조절, 혹은 매개변수) 등에 따른 추이도 살펴보았다. 나아가 사용된 변수와 주요 이론들을 분석하였다. 10개 이상의 논문들에서 사용된 이론들은 보편적 관점(구성형태적 접근 포함), 상황적 관점, 조직공정성이론, 기대이론, 자원기반이론 등이었다. 인사관리 분야의 연구는 규범과 실제, 가치와 환경, 원리와 제도, 제도와 운영, 그리고 주체와 객체라는 이슈에서 다양한 관점과 격차가 존재하기 때문에 연구에 복잡성을 더해주고 있다. 이에 기존 연구들이'한국적'인적자원관리 연구로서 가지는 의미와 한계를 지적하고, 토착적 경영연구, 보편지향 토착연구, 비교연구, 학제적 연구 및 연구기반 및 환경조성 등의 K-HRM 향후 연구를 위한 제안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한국적 경영학(K-Management)'연구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수행된'한국적 인적 자원관리(K-HRM)'에 대한 연구이다. 기존의 K-HRM 연구를 계승하면서, 기존연구와는 차별화된 이론기반 연구...

      본 연구는'한국적 경영학(K-Management)'연구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수행된'한국적 인적 자원관리(K-HRM)'에 대한 연구이다. 기존의 K-HRM 연구를 계승하면서, 기존연구와는 차별화된 이론기반 연구를 수행하여 향후 K-HRM 연구의 디딤돌이 되도록 돕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K-HRM 연구를 발전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특정 이론을 사용한 기존 연구들을 고찰하여 이론으로 설명되는 것과 되지 못하는 인사관리의 현실이 무엇인지를 살펴보고, 향후 발전적인 연구와 K-HRM 이론개발을 위해 어떤 보완이 필요 한지에 대해 논의하고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K-HRM을“사람을 통해 바람직한 성과를 추구하기 위해 한국의 가치와 상황을 반영하는 지침원리(guiding principles)를 기반으로 각 인사기능의 정책적 선택이 이루어지고 이를 실현하기 위해 도입하고 있는 사람관리 제도와 그 수행과정”으로 정의하고자 한다. 위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우선 한국 인적자원관리를 1987년 이전 시기, 1987~1997년 시기, 그리고 1997년 이후 시기 등으로 구분하여 세 시기의 인적자원관리의 특징을 정리하였다. 그리고 실증 연구의 종합정리를 위해 한국의 인적자원관리분야 연구의 대표적인 학술지인 인사조직연구, 인사관리연구(현,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경영학연구, 산업관계연구에 발표된 실증연구 논문들 54편과 해외저널에 발표된 한국기업들에 대한 인사관리 관련 실증연구 논문들 16편 등 총 70편을 검토하였다. 이 논문들에 대하여 연도별 전체 논문 수 추이, 연도별 분석수준(개인, 조직, 다층), 사용된 인사제도 혹은 시스템(개별제도, 하부시스템, 혹은 전체 시스템), 그리고 인사제도(혹은 시스템)의 변수화(독립, 종속, 조절, 혹은 매개변수) 등에 따른 추이도 살펴보았다. 나아가 사용된 변수와 주요 이론들을 분석하였다. 10개 이상의 논문들에서 사용된 이론들은 보편적 관점(구성형태적 접근 포함), 상황적 관점, 조직공정성이론, 기대이론, 자원기반이론 등이었다. 인사관리 분야의 연구는 규범과 실제, 가치와 환경, 원리와 제도, 제도와 운영, 그리고 주체와 객체라는 이슈에서 다양한 관점과 격차가 존재하기 때문에 연구에 복잡성을 더해주고 있다. 이에 기존 연구들이'한국적'인적자원관리 연구로서 가지는 의미와 한계를 지적하고, 토착적 경영연구, 보편지향 토착연구, 비교연구, 학제적 연구 및 연구기반 및 환경조성 등의 K-HRM 향후 연구를 위한 제안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K-HRM의 역사적 변화
      • Ⅲ. 실증연구의 현황 및 이론의 고찰
      • Ⅳ. K-HRM 이론 개발을 위한 고려사항과 제안
      • Ⅴ. 결론
      • Ⅰ. 서론
      • Ⅱ. K-HRM의 역사적 변화
      • Ⅲ. 실증연구의 현황 및 이론의 고찰
      • Ⅳ. K-HRM 이론 개발을 위한 고려사항과 제안
      • Ⅴ.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노용진, "혁신적 인사관리제도 도입의 영향요인" 한국경영학회 32 (32): 955-981, 2003

      2 이진규, "한국인사관리 연구의 동향과 과제" 한국인사조직학회 2 (2): 75-138, 1993

      3 김인수, "한국의 경영학연구: 이대로는 안된다" 한국경영학회 29 (29): 293-314, 2000

      4 이정현, "한국에서 고성과 조직 시스템의 효과와 영향요인"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17 (17): 1-38, 2007

      5 유규창, "한국기업의 인적자원관리 시스템의 유형 분류와 결정요인에 관한연구" 한국경영학회 31 (31): 1887-1915, 2003

      6 안희탁, "한국기업의 신인사제도 실태와도입방안" 한국경영자총협회 1996

      7 김성수, "한국 기업의 전략적 인사관리: 조직역량 구축을 중심으로" 한국인사조직학회 22 (22): 145-174, 2014

      8 허문구, "포스코의 인적자원관리: 1968-1992"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18 (18): 129-156, 2011

      9 박종혁, "팀제 하에서 성과주의 보상시스템의 동기유발 효과- 과업특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인사관리학회 30 (30): 83-114, 2006

      10 강영안, "철학은 어디에 있는가 : 삶과 텍스트 사이에서 생각하기" 한길사 2012

      1 노용진, "혁신적 인사관리제도 도입의 영향요인" 한국경영학회 32 (32): 955-981, 2003

      2 이진규, "한국인사관리 연구의 동향과 과제" 한국인사조직학회 2 (2): 75-138, 1993

      3 김인수, "한국의 경영학연구: 이대로는 안된다" 한국경영학회 29 (29): 293-314, 2000

      4 이정현, "한국에서 고성과 조직 시스템의 효과와 영향요인"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17 (17): 1-38, 2007

      5 유규창, "한국기업의 인적자원관리 시스템의 유형 분류와 결정요인에 관한연구" 한국경영학회 31 (31): 1887-1915, 2003

      6 안희탁, "한국기업의 신인사제도 실태와도입방안" 한국경영자총협회 1996

      7 김성수, "한국 기업의 전략적 인사관리: 조직역량 구축을 중심으로" 한국인사조직학회 22 (22): 145-174, 2014

      8 허문구, "포스코의 인적자원관리: 1968-1992"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18 (18): 129-156, 2011

      9 박종혁, "팀제 하에서 성과주의 보상시스템의 동기유발 효과- 과업특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인사관리학회 30 (30): 83-114, 2006

      10 강영안, "철학은 어디에 있는가 : 삶과 텍스트 사이에서 생각하기" 한길사 2012

      11 전찬열, "채용원천의 차이와 채용 후 인사처우 및 종업원 태도에 관한 연구" 한국인사관리학회 19 : 395-415, 1995

      12 조봉순, "참여적 작업시스템이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관한 연구 -종업원 역량과 직무만족의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19 (19): 177-202, 2009

      13 김동배, "참여적 작업시스템과 성과 : 작업조직과 인사관리의 정합성을 중심으로" 한국인사관리학회 25 (25): 199-227, 2001

      14 최장호, "참여 증진형 인사제도와 종업원 태도 간의 관계에 대한 다수준분석" 한국인사관리학회 34 (34): 1-24, 2010

      15 유미림, "중소기업의 헌신형 인적자원관리와 조직성과 : 조직에 대한 신뢰와 CEO의 기업가정신의 역할" 한국인사조직학회 19 (19): 1-54, 2011

      16 김동배, "조직상황, 인사관리시스템, 조직성과에 관한 연구" 한국인사조직학회 9 (9): 249-279, 2001

      17 송하식, "조직문화가 연봉제 수용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사관리학회 26 (26): 89-112, 2002

      18 김동배, "정년 60세 시대의 임금체계 혁신" 2013

      19 강성춘, "전략적 인적자원관리 국내 연구 10년 : 걸어온 길, 그리고 가야 할 길" 한국인사조직학회 19 (19): 51-108, 2011

      20 이병훈, "작업시스템의 유형, 영향요인, 조직성과"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12 (12): 39-70, 2002

      21 김현석, "임금체계유형과 조직성과에 대한 실증연구" 한국인사관리학회 21 (21): 129-152, 1997

      22 정진호, "임금체계 실태와 향후과제 : 임금연공성을 중심으로" 한국노동연구원 2014

      23 배종석, "인적자원론(제2판): 가치, 사람 그리고 제도" 홍문사 2012

      24 배종석, "인적자원관리와 조직성과에 대한 실증연구" 한국인사조직학회 11 (11): 133-169, 2003

      25 김재구, "인적자원관리와 기업성과와의 관계에 있어 지식공유의 조절효과 분석" 한국인사관리학회 28 (28): 51-73, 2004

      26 김진희, "인적자원관리시스템과 지식역량과의 관계에 대한 실증연구: 제도 내재화 및 냉소적 분위기의 매개효과" 한국인사관리학회 28 (28): 131-169, 2004

      27 송보화, "인적자원관리시스템과 조직성과의 연계에 대한실증적고찰-제조업을 중심으로" 한국경영학회 35 (35): 331-363, 2006

      28 김종관, "인적자원관리시스템과 조직성과의 관계에서 인적자본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인사관리학회 30 (30): 1-28, 2006

      29 김윤호, "인적자원관리 시스템 유형분류와 유형별 조직성과의 차이" 한국경영학회 38 (38): 737-771, 2009

      30 배종석, "인적 ‘가치창출’과 ‘인간가치’ 창출: 경영의 철학적 기반" 한국경영학회 42 (42): 573-609, 2013

      31 이상민, "인사관리연구에 게재된 인사관리 분야 논문 분석 :1980년부터 2008년까지" 한국인사관리학회 34 (34): 177-218, 2010

      32 박호환, "인사고과제도의 특성과 공정성 지각 간의 관계"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8 : 299-322, 1997

      33 이경묵, "인사·조직연구의 발전과 미래 과제 : 인사·조직연구 게재논문과 한국인사·조직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분석결과를 중심으로" 한국인사조직학회 16 (16): 161-211, 2008

      34 강영안, "인간의 얼굴을 가진 지식 : 인문학의 철학을 위하여" 소나무 2002

      35 허문구, "우리나라 대기업의 인적자원관리 변화과정과 그 원인: P사에 대한 종단적 사례연구" 대한경영학회 24 (24): 357-380, 2011

      36 박우성, "연봉제와 동기부여: 개인 특성의 조절효과" 한국인사관리학회 36 (36): 43-69, 2012

      37 배종석, "양면성 혁신전략, 헌신형 인적자원관리 시스템 및 기업성과"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20 (20): 21-52, 2010

      38 한주희, "성과지향적 보상시스템과 구성원의 태도:영업직과 관리직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인사관리학회 26 (26): 23-44, 2002

      39 유규창, "성과주의 인사제도의 도입 영향요인 및 조직성과" 한국인사조직학회 15 (15): 187-224, 2007

      40 김공수, "성과와 이직의도간의관계에 대한 보상 체계의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인사관리학회 23 (23): 157-188, 1999

      41 김영재, "성과배분제도와 노동조합의 태도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8 : 439-483, 1997

      42 이호선, "성과배분제도 운영활성화 요인과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학회 27 (27): 291-307, 1998

      43 김영재, "성과배분제가 기업의 생산성, 재무적 성과 및 노사관계에 미치는 영향에관한 연구"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4 : 303-333, 1994

      44 장은미, "성과급제의 활용 및 효과에 관한 연구:제도이론과 동기부여 시각의 multi-level 분석" 한국경영학회 34 (34): 847-865, 2005

      45 정연앙, "성과급 임금제도와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인사관리학회 32 (32): 69-94, 2008

      46 배종석, "서론 : 경영 패러다임 변화의 현상과 해석" 한국인사조직학회 21 (21): 1-34, 2013

      47 박우성, "삼성전자 보상제도의 변천과정과 시사점" 한국경영학회 6 (6): 148-166, 2003

      48 박우성, "비정규직의 활용과 노동조합의 역할실증 분석과 시사점"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15 (15): 23-41, 2005

      49 유규창, "복리후생의 선택이 복리후생만족, 임금만족,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인사관리학회 28 (28): 25-56, 2004

      50 양동훈, "보상제도가 협동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인사조직학회 13 (13): 1-41, 2005

      51 김현동, "보상 제도가 회사의 재무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적 자원의 매개적 역할 탐구" 한국인사관리학회 32 (32): 1-24, 2008

      52 막스 호르크하이머, "도구적 이성 비판 : 이성의 상실" 문예출판사 2006

      53 고동운, "다면평가제도의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대한 효과: 다수준 분석" 한국인사관리학회 35 (35): 103-142, 2011

      54 박용철, "내부노동시장이 기업별 노동조합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해방 전후 시기 조선맥주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2013

      55 이병하, "기업인사시스템의 역사적 변화와 시사점:삼성전자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경영사학회 23 (23): 45-76, 2008

      56 박상언, "기업내 신인사제도의 도입 효과에 따른 경험적 연구: 조직구성원들의 직무관련 태도와 심리적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7 : 123-161, 1997

      57 석진홍, "교육훈련과 기업성과: 잠재성장모형을 이용한 종단 연구" 한국인사관리학회 37 (37): 119-143, 2013

      58 김기태, "교육훈련 투자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직무만족, 직무능력 향상, 종업원 역량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인사관리학회 32 (32): 29-57, 2008

      59 강성춘, "고성과작업시스템의 활용과 효과의 상황적합성" 한국인사조직학회 17 (17): 125-168, 2009

      60 신은종, "고성과작업시스템의 ‘고성과’는 무엇에 의해 결정되는가?:번들효과와 핵심 관행 탐색을 중심으로"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19 (19): 43-69, 2009

      61 권기욱, "고성과 작업시스템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다층분석- 조직공정성 지각의 매개효과" 한국인사관리학회 36 (36): 61-84, 2012

      62 이정현, "고성과 작업시스템이 노동조합의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인사조직학회 13 (13): 139-170, 2005

      63 김건식, "고성과 작업시스템이 기술혁신에 미치는 영향 : 혁신 분위기와 인적 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인사조직학회 21 (21): 65-109, 2013

      64 최장호, "고성과 작업 시스템의 내적 적합성과 상황 적합성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학회 39 (39): 577-593, 2010

      65 김경묵, "고성과 인적자원관리가 성과에 미치는 영향: 시스템 도입 강도의 역할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인사조직학회 14 (14): 107-151, 2006

      66 이민우, "고성과 인적자원관리 시스템이 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프로파일 방식 적용을 통한 인과관계 규명" 한국경영학회 40 (40): 781-802, 2011

      67 장은미, "고성과 관리 방식이 조직 몰입에 갖는 차별적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 중국, 일본의 비교 분석" 한국인사관리학회 30 (30): 115-145, 2006

      68 권동인, "고몰입인적자원관리와 조직유효성의 관계에 있어서 지식경영의 조절효과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인사관리학회 27 (27): 1-31, 2003

      69 남정민, "고몰입 인사관리 관행이 구성원의 자발적 이직률에 미치는 영향 - 협력적 노사관계의 조절효과 검증 -" 한국인사관리학회 35 (35): 145-168, 2011

      70 김동배, "고령자 고용의 영향요인: 정규직과 비정규직 비교"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17 (17): 127-148, 2007

      71 시오노야 유이치, "경제와 윤리" 필맥 2006

      72 김진희, "경영전략과 인적자원관리의 적합성에 따른 조직성과차이" 한국인사조직학회 14 (14): 53-87, 2006

      73 장은미, "개인성과 위주의 보상제도가 직무 수행 노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인적자원 관리 번들(HR Bundle)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인사조직학회 11 (11): 133-158, 2003

      74 노세리, "가족친화적 고성과작업시스템에 대한 듀얼아젠다 접근" 한국인사조직학회 19 (19): 1-29, 2011

      75 Wright, P. M., "Theoretical perspectives for strategic human resource management" 18 (18): 295-320, 1992

      76 Arthur, J. B., "The link between business strategy and industrial relations systems in American steel minimills" 45 (45): 488-506, 1992

      77 Huselid, M. A., "The impact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practices on turnover, productivity, and corporate financial performance" 38 (38): 635-672, 1995

      78 Becker, B. E., "The impact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 Progress and prospects" 39 (39): 779-801, 1996

      79 Bae, J., "The impact of globalization on HRM : The case of Korea" 36 (36): 402-428, 2001

      80 Ichniowski, C., "The effects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practices on productivity : A study of steel finishing lines" 87 : 291-313, 1997

      81 Pil, F., "The adoption of high-involvement work practices" 35 (35): 423-455, 1996

      82 Lee, B., "Strategic compensation in South Korea’s publicly traded firms" 6 (6): 686-701, 1995

      83 Kim, H., "Strategic HR functions and firm performance: The moderating effects of high-involvement work practices" 30 : 91-113, 2013

      84 Bae, J., "Self-fulfilling processes at a global level : The evolution of HRM practices in Korea, 1987~2007" 43 (43): 579607-, 2012

      85 Chadwick, C., "Resource orchestration in practice : CEO emphasis on SHRM, commitment-based HR systems, and firm performance" 36 (36): 360-376, 2015

      86 Polanyi, M., "Personal knowledge : Towards a post-critical philosophy" Routeledge and Kegan Paul 1958

      87 Lee, J., "People matter : Commitment to employees, strategy and performance in Korean firms" 20 (20): 579-593, 1999

      88 Yang, H., "Pay dispersion and the financial performance of the firm : Evidence from Korea" 22 (22): 2147-2166, 2011

      89 Kim, Y., "Patterns and determinants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change in Korean venture firms after the financial crisis" 24 (24): 1006-1028, 2013

      90 Bae, J., "Organizational and HRM strategies in Korea : Impact on firm performance in an emerging economy" 43 (43): 502-517, 2000

      91 박경규, "OJT의 도입효과 : Off-JT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10 (10): 95-125, 2000

      92 Chang, E., "Motivational effects of pay for performance : A multilevel analysis of a Korean case" 22 (22): 3929-3948, 2011

      93 Eastman, W., "Mediating the fact-value antinomy : Patterns in managerial and legal rhetoric, 1890~1990" 9 (9): 232-245, 1998

      94 Pucik, V., "Managing Korean business: Organization, culture,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change" Crown House 2002

      95 Doeringer, P. B., "Internal labor markets and manpower analysis" Heath 1971

      96 Snell, S. A., "Integrated manufacturing and human resources management : A human capital perspective" 35 (35): 467-504, 1992

      97 Chang, E., "Individual pay for performance and commitment HR practices in South Korea" 41 (41): 368-381, 2006

      98 Youndt, M. A., "Human resource management, manufacturing strategy, and firm performance" 39 (39): 836-866, 1996

      99 MacDuffie, J. P., "Human resource bundles and manufacturing performance : Organizational logic and flexible production systems in the world auto industry" 48 (48): 197-221, 1995

      100 Kim, A., "How does HRM enhance strategic capabilities? Evidence from the Korean management consulting industry" 23 (23): 126-146, 2012

      101 Osterman, P., "How common is workplace transformation and who adopts it?" 47 (47): 173-188, 1994

      102 Kwon, K., "High commitment HR practices and top performers : Impact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50 (50): 57-80, 2010

      103 Bae, J., "HRM configurations in Korean venture firms : Resource availability, institutional force and strategic choice perspectives" 16 (16): 1759-1782, 2005

      104 조영복, "HR BSC를 통한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와 조직성과의 관계" 한국인사조직학회 14 (14): 57-105, 2006

      105 Kim, H., "Group-based pay-for-performance plans and firm performance: The moderating role of empowerment practices" 30 : 31-52, 2013

      106 Rowley, C., "Globalization and transformation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in South Korea" 13 (13): 522-549, 2002

      107 Kim, D. O., "Employment relations and HRM in South Korea" Ashgate Publishing 2004

      108 Kwon, S., "Employee reactions to gainsharing under seniority pay systems : The mediating effect of distributive, procedural, and interactional justice" 47 (47): 757-775, 2008

      109 Arthur, J. B., "Effects of human resource systems on manufacturing performance and turnover" 37 (37): 670-687, 1994

      110 Ferraro, F., "Economics language and assumptions : How theories can become self-fulfilling" 30 (30): 8-24, 2005

      111 Yoshida, H., "Current status of the personnel system centering on regular workers" 2 (2): 75-203, 2010

      112 Tsui, A. S., "Contributing to global management knowledge : A case for high quality indigenous research" 21 : 491-513, 2004

      113 Pfeffer, J., "Competitive advantage through people"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1994

      114 Bae, J., "Changes and continuities in South Korean HRM" 9 (9): 76-105, 2003

      115 Lee, B., "Business strategy, participative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 The case of South Korea" 34 (34): 77-94, 1996

      116 Ghoshal, S., "Bad management theories are destroying good management practices" 4 : 75-91, 2005

      117 Meyer, K. E., "Asian management research needs more self-confidence" 23 : 119-137, 2006

      118 Kang, S., "Adoption and coverage of performance-related pay during institutional change : An integration of institutional and agency theories" 48 (48): 18371865-, 2011

      119 한국노동연구원, "21세기형 인적자원관리 : 뉴패러다임과 실천과제" 명경사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02-2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인사·조직연구 -> 인사조직연구 KCI등재
      2013-02-26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인사·조직학회 -> 한국인사조직학회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12-29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인사ㆍ조직학회 -> 한국인사·조직학회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7-0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management -> Korean Journal of Management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5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4 1.69 2.995 0.4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