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대학생의 학습법 프로그램 참여가 학습 능력 및 태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대학교육에의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2학년도에 한국교육...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565801
2023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531-556(26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생의 학습법 프로그램 참여가 학습 능력 및 태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대학교육에의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2학년도에 한국교육...
본 연구는 대학생의 학습법 프로그램 참여가 학습 능력 및 태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대학교육에의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2학년도에 한국교육개발원이 실시한 대학 교수․학습과정 조사(NASEL) 자료와 A대학교의 자체 데이터를 결합하여, 2021학년도 2학기에 제공된 학습법 프로그램 참여 여부가 2022학년도 1학기에 측정된 기초학습능력, 능동적 학습태도, 자기관리능력 및 학업성취도에 대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 분석하였다. 특히, 학습법 프로그램 참여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선택편의(selection bias) 문제를 통제하기 위해 경향점수매칭(PSM) 방법을 적용하였다. 이를 통해 매칭된 총 204명의 표본에 대해 OLS 회귀모형을 적용하여 학습법 프로그램 참여의 교육적 효과를 추정하였다. 분석 결과, 학습법 프로그램의 참여는 기초학습능력, 능동적 학습태도, 학업성취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기관리능력에 대해서는 유의한 영향이 없었다. 이를 바탕으로 정책적 제언과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참고문헌 (Reference)
1 강동희 ; 김나영 ; 정문숙 ; 유현주, "핵심역량 기반의 비교과 교육과정 체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Y대학교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융합학회 44 (44): 263-278, 2022
2 진성희 ; 임고운 ; 김태현, "학업 저성취 대학생들을 위한 학력향상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 교육연구소 20 (20): 671-694, 2019
3 전보라, "학습컨설팅에 참여한 대학생의 온라인 학습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인문사회 21 11 (11): 1375-1386, 2020
4 김소영, "학습역량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CTL 비교과 교육 프로그램 기반의 학습역량을 중심으로" 영재교육연구소 9 (9): 109-129, 2019
5 이상미 ; 문소연 ; 문유선 ; 김하예슬 ; 김남희, "코로나19로 인한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 대학생의 자기주도 학습능력에 따른 학습 만족도 및 성과 연구" Human Engagement Institute 16 (16): 169-199, 2021
6 연지영 ; 안지영,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비교과 프로그램의 운영 실태 및 개선 방향" 인문사회 21 12 (12): 2245-2258, 2021
7 김희정, "코로나-19 상황에서 CTL 학습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재학생 요구도 분석 및 운영 방안 연구" 한국문화융합학회 44 (44): 363-388, 2022
8 임희수 ; 임은미, "코로나 19상황에서 대학 온라인 수업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몰입과 자기주도학습 간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183-194, 2021
9 양민석 ; 이호준, "외국어고등학교 졸업과 대학생활의 관계 분석: 4년제 대학 재학생을 중심으로" 한국교육행정학회 37 (37): 227-249, 2019
10 이소민, "역량기반 비교과 교육과정 체계 모형 연구 – K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1 (1): 43-69, 2020
1 강동희 ; 김나영 ; 정문숙 ; 유현주, "핵심역량 기반의 비교과 교육과정 체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Y대학교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융합학회 44 (44): 263-278, 2022
2 진성희 ; 임고운 ; 김태현, "학업 저성취 대학생들을 위한 학력향상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 교육연구소 20 (20): 671-694, 2019
3 전보라, "학습컨설팅에 참여한 대학생의 온라인 학습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인문사회 21 11 (11): 1375-1386, 2020
4 김소영, "학습역량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CTL 비교과 교육 프로그램 기반의 학습역량을 중심으로" 영재교육연구소 9 (9): 109-129, 2019
5 이상미 ; 문소연 ; 문유선 ; 김하예슬 ; 김남희, "코로나19로 인한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 대학생의 자기주도 학습능력에 따른 학습 만족도 및 성과 연구" Human Engagement Institute 16 (16): 169-199, 2021
6 연지영 ; 안지영,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비교과 프로그램의 운영 실태 및 개선 방향" 인문사회 21 12 (12): 2245-2258, 2021
7 김희정, "코로나-19 상황에서 CTL 학습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재학생 요구도 분석 및 운영 방안 연구" 한국문화융합학회 44 (44): 363-388, 2022
8 임희수 ; 임은미, "코로나 19상황에서 대학 온라인 수업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몰입과 자기주도학습 간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183-194, 2021
9 양민석 ; 이호준, "외국어고등학교 졸업과 대학생활의 관계 분석: 4년제 대학 재학생을 중심으로" 한국교육행정학회 37 (37): 227-249, 2019
10 이소민, "역량기반 비교과 교육과정 체계 모형 연구 – K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1 (1): 43-69, 2020
11 교육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대응을 위한 학사운영 가이드라인"
12 최경민, "시간 관리를 활용한 대학의 온라인 학습지원 프로그램 운영 사례 연구: A대학 학사경고자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809-823, 2021
13 김세영 ; 김혜림, "비대면 학습 환경에서 A대학 온라인 실천공동체 프로그램이 자기주도학습역량에 미치는 영향" 교육과학연구소 52 (52): 143-168, 2021
14 김미성 ; 송윤숙 ; 박윤경, "비교과프로그램 참여 대학생의 학습역량이 핵심역량에 미치는 영향" 영재교육연구소 9 (9): 83-100, 2019
15 강혜진, "비교과교육 관련 연구의 동향- 2010년부터 2019년까지 비교과교육 관련 지식네트워크 분석 -" 한국문화융합학회 43 (43): 233-248, 2021
16 양정모, "비교과 활동과 대학생활적응이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양교육학회 13 (13): 71-93, 2019
17 이정미 ; 이길재 ; 강지연, "비교과 교육과정이 대학생의 핵심역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355-375, 2019
18 권준성, "비교과 교육과정의 재학생 수요 및 인식 연구 : K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1 (1): 1-23, 2020
19 조혜영 ; 이보림 ; 조민정, "또래강사 프로그램 활동이 학습역량과 자기주도 학습역량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451-460, 2021
20 안현아 ; 박영신 ; 김경이 ; 장미숙, "동료 튜터링 프로그램 유형이 대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C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357-377, 2016
21 최경민 ; 김민지, "대학의 비교과 학습공동체 활동이 자기주도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러닝을 활용한 학습공동체를 중심으로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1283-1300, 2019
22 이형주, "대학의 비교과 프로그램 효과성 분석을 위한 메타분석 연구: 2015~2016 국내 초기 비교과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를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25 (25): 273-290, 2019
23 조옥경, "대학의 교수ㆍ학습 질 제고 전략 탐색 연구(Ⅹ)" 한국교육개발원 2022
24 김정민, "대학에서의 비교과의 역할과 위상" 1 (1): 1-21, 2020
25 조진숙 ; 전영미, "대학생의 학습참여가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례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9 (19): 524-534, 2019
26 서은희 ; 김은영, "대학생의 학습공동체 참여 여부와활동 수준에 따른 효과 차이: 의사소통능력과 학업성취도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929-948, 2018
27 이정미 ; 이길재, "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역량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35 (35): 133-153, 2017
28 박완성, "대학교육개발센터의 경향과 발전방향" 한국교육방법학회 16 (16): 115-132, 2004
29 김수연 ; 이명관, "대학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학생 인식 및 수요조사를 통한 운영방향성 제고"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585-609, 2016
30 이경진, "대학 비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학생의 학년별 요구 분석: A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과학연구소 52 (52): 1-26, 2021
31 김은영, "대학 교수학습센터 학습프로그램 분석 및 발전 방안 연구" 교육연구소 25 (25): 101-120, 2019
32 박은숙, "교수학습지원센터 소그룹스터디모임의 자기주도학습력 향상 효과 분석 및 글쓰기 통합모형 제안" 인문사회 21 9 (9): 1263-1274, 2018
33 Austin, P. C., "Statistical criteria for selecting the optimal number of untreated subjects matched to each treated subject when using many-to-one matching on the propensity score" 172 (172): 1092-1097, 2010
34 Knowles, M., "Self-direction learning : A guide for learners and teacher" Association Press 4-, 1975
35 Ho, D. E., "Matching as nonparametric preprocessing for reducing model dependence in parametric causal inference" 15 (15): 199-236, 2007
36 황인섭 ; 조보람, "K-star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 학습흥미, 학습몰입, 학업적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593-608, 2021
37 김병주, "ACE사업 평가의 쟁점과 과제" 한국교육정치학회 23 (23): 1-30, 2016
38 Thoemmes, F. J., "A systematic review of propensity score methods in the social sciences" 46 (46): 90-118, 2011
캡스톤 디자인 수업 경험이 대학생의 학업 및 진로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저경력 초등교사의 성장 과정에 대한 실증적 사례연구: 인과적 과정추적법(Causal Process Tracing)을 활용하여
대학생이 대학교육에 기대하는 성과, 비용 부담과 교육서비스 만족도 간의 관계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