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어 읽기를 위한 어휘의 문화 배경지식 활용 = Leveraging Cultural Background to Teach Vocabulary for Korean Read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9142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ading, Writing, Speaking, and Listening are very basic component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t is difficult to rank the four components in the order of importance. Learners learning for general purposes consider "speaking" most important, howeve...

      Reading, Writing, Speaking, and Listening are very basic component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t is difficult to rank the four components in the order of importance.
      Learners learning for general purposes consider "speaking" most important, however, the priority can be very much changed for learners with academic purposes. A survey shows that reading and summarizing books and thesis are considered most important by learners learning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in universities.
      Korean language requirement to study in universities. Therefore, this thesis will focus on how to use cultural background for students to efficiently read and understand advanced level of reading materials for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Also, this thesis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understanding cultural background can be useful to understand a reading text in a holistic manner, and proper reading requires understanding of "social. cultural background" as well as understanding dictionary definition of words and text.
      As a first step, I conducted a simple verbal survey to academic students, asking how much understanding of cultural background is required for reading, then discussed the results. Also, required background and cultural knowledge for the reading is defined as concepts. This thesis suggests an actual class example which incorporates the survey results and the defined concept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양혜, "한국어 읽기 교재 단원 속의 스키마 활성화 전략 연구" 우리말학회 (26) : 267-292, 2010

      2 최권진, "한국어 읽기 교수-학습 방법의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4 (4): 237-264, 2007

      3 이준호, "한국어 어휘 교육 연구사 - 학위 논문을 중심으로-" 한국문법교육학회 9 : 305-336, 2008

      4 이유경, "한국어 어휘 교육 연구를 위한 이론의 고찰"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 (20): 135-160, 2009

      5 김정숙, "한국어 숙달도 배양을 위한 한국 문화 교육 방향" 10 : 317-325, 1997

      6 박영준, "한국어 숙달도 배양을 위한 문화적 어휘․표현의 교육"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1 (11): 89-110, 2000

      7 김정숙, "학문적 목적의 한국어 교육과정 설계를 위한 기초 연구-대학 진학생을 위한 교육 과정을 중심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1 (11): 1-19, 2000

      8 신명선, "학문 목적의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어휘 교육의 내용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7 (17): 237-264, 2006

      9 이수미, "텍스트 읽기를 통한 한국 문화 이해의 제양상 연구"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5 (5): 273-291, 2008

      10 이정희, "최고급 단계 내용중심 한국어 읽기 수업의 실제"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8 : 201-222, 2003

      1 이양혜, "한국어 읽기 교재 단원 속의 스키마 활성화 전략 연구" 우리말학회 (26) : 267-292, 2010

      2 최권진, "한국어 읽기 교수-학습 방법의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4 (4): 237-264, 2007

      3 이준호, "한국어 어휘 교육 연구사 - 학위 논문을 중심으로-" 한국문법교육학회 9 : 305-336, 2008

      4 이유경, "한국어 어휘 교육 연구를 위한 이론의 고찰"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 (20): 135-160, 2009

      5 김정숙, "한국어 숙달도 배양을 위한 한국 문화 교육 방향" 10 : 317-325, 1997

      6 박영준, "한국어 숙달도 배양을 위한 문화적 어휘․표현의 교육"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1 (11): 89-110, 2000

      7 김정숙, "학문적 목적의 한국어 교육과정 설계를 위한 기초 연구-대학 진학생을 위한 교육 과정을 중심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1 (11): 1-19, 2000

      8 신명선, "학문 목적의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어휘 교육의 내용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7 (17): 237-264, 2006

      9 이수미, "텍스트 읽기를 통한 한국 문화 이해의 제양상 연구"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5 (5): 273-291, 2008

      10 이정희, "최고급 단계 내용중심 한국어 읽기 수업의 실제"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8 : 201-222, 2003

      11 김남헌, "의사소통 향상을 위한 한국어 문화 교육 방안 연구" 경희대학교 2001

      12 권미정,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읽기 교육-독해 전략을 통한 효율적인 읽기 방안"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0 (10): 1-28, 1999

      13 Angela Lee-Smith, "어휘적 접근법을 통한 한국어 교육 방안"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7 (17): 459-497, 2006

      14 문희영, "스키마 활성화를 통한 한국어 읽기 교육 방안" 이화여자대학교 2000

      15 강현화, "경영학 학문목적 학습자를 위한 교재개발 방안" 비교문화연구소 11 (11): 3-22, 2007

      16 Carrell, Patricia L, "Schema theory and ESL reading" 17 (17): 553-573, 1983

      17 Stern.H.H, "Issues and options in language teaching" Oxford University 212-214, 199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2-10-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어 교육 -> 한국어교육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8 0.88 0.9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5 1.03 1.37 0.3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