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국내의 농촌지역에서 농업관련 생산활동에 종사하는 고령자의 주거 실태를 조사하고 거주 고령자를 대상으로 공간에서의 발생행위를 조사하여 동선을 파악하고 농촌 거주 고령...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46469
-
2015년
Korean
농촌고령자주거계획 ; 고령자 요구 ; Farm Housing ; Elderly Housing ; Agricultural Production Activity ; Housing Welfare ; Space Usage ; Housing preference ; 디자인 지침 ; 고령자 주거 개념 모형 ; 농사관련활동 ; 현관계획 ; 욕실계획 ; 수납계획 ; 좌식생활 ; 침거실형 평면 ; 접근성 ; 실내환경 ; 고령자 행태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국내의 농촌지역에서 농업관련 생산활동에 종사하는 고령자의 주거 실태를 조사하고 거주 고령자를 대상으로 공간에서의 발생행위를 조사하여 동선을 파악하고 농촌 거주 고령...
본 연구는 국내의 농촌지역에서 농업관련 생산활동에 종사하는 고령자의 주거 실태를 조사하고 거주 고령자를 대상으로 공간에서의 발생행위를 조사하여 동선을 파악하고 농촌 거주 고령자 120명을 대상으로 주택에 대한 주거선호특성을 조사하여 도출한 자료를 바탕으로 농촌형 고령자 주거의 개념모형을 개발하고자 한다. 1차 년도에는 실태조사와 거주자 인터뷰 위주로 진행되었으며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도출된 고령주거관련 디자인 지침을 정리하여 실태조사 시에 고령주거 계획의 적절성을 판별하는 도구로 사용하였다. 실태조사의 목적은 농업활동에 종사하는 농촌 고령자 주거의 현황을 파악하고 문제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경상북도 봉화군과 충청북도 천안시 풍세면에 소재하며 농업관련 생산활동에 종사하는 60세 이상의 1인 노인가구 및 노인부부가구가 거주하는 주택 31사례를 편의표집하여 실태조사와 거주자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농촌주택에 거주하는 고령거주자의 특성, 주택의 특성, 각 공간별 분석 및 문제점, 거주자의 요구사항 파악 등을 중심으로 진행하였다. 고령거주자 특성은 31가구 중에서 25가구는 노인부부가구이며 6가구는 여성노인 1인 가구로 구성되어있다. 모든 노인 거주자는 60세 이상이며 남성 노인의 평균 연령은 70.2세이며 여성 노인은 68.9세로 신체적으로 약하고 병약하며 고립되고 궁핍한 계층이 많은 고령노인(old-old) 단계로 접근하고 있는 집단이다. 대부분의 거주자는 허리통증, 관절관련 질병, 고혈압, 당뇨, 위궤양 등의 만성적 질병에 시달리고 있었으며 스스로 인식하는 건강수준도 전반적으로 낮았다.
2년차 연구는 첫째, 1연차 연구 결과 농촌의 고령자들이 생산활동 참여로 인해 주택에서 창고용 부속사의 기능적 중요성이 부각되어 충청도 지역의 사례를 대상으로 창고용 부속사에 대한 실태를 재조사하고 거주자에게 불편사항에 관하여 인터뷰하였다. 둘째, 지금까지의 현황조사 결과에 근거하여 농수산부에서 제공하는 고령자용 농촌주택 표준 설계도를 분석하여 농촌 고령자 주택에 대한 이해의 수준을 파악하고 문제점과 개선이 필요한 부분을 도출하였다. 셋째, 농촌 고령자를 대상으로 농번기와 농한기의 하루 일과를 조사하여 발생행위 및 주택 내 동선을 파악하였다. 넷째, 연구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본 사례를 제외하고 타 지역에서 생산활동에 종사하는 농촌 고령자 120명을 대상으로 주택에 대한 요구사항 및 불만사항에 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1, 2차년도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생산 활동에 참여에 기반한 농촌형 고령자 주택 개념 모형을 위한 디자인 방향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고령자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research started from the hypothesis that the needs of the elderly people on the rural housing are different from those of general retired elderly people because they still engage in farming activities even if they grow old. The objectives of this...
The research started from the hypothesis that the needs of the elderly people on the rural housing are different from those of general retired elderly people because they still engage in farming activities even if they grow old. The objectives of this research are to propose rural housing planning guidelines and to develop an housing concept model for elderly people engaged in farming activities. The methods are employed as follows. First, field surveys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problems associated with housing space and storage area. As the subject of study, 31 individual households were taken with convenience sampling from Bonghwa-gun Gyeongsangbuk-do and Cheonan-gun Chungcheongnam-do. Second, the Rural Housing Standard Plans for the Elderly provided by the Ministry of Agriculture-Forestry-Fisheries were analyzed to find out problems. Third, elderly peoples’ daily works were analyzed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behaviors and circulation. Lastly,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needs of the elderly people engaged in farming activities and looking into complaints about their houses targeting 120 people from 50s to 70s.
The design guidelines are as follows.
First, it is judged that the foyers of such dwellings are inadequate in size, to go along 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