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인공어초의 기능도와 성숙도 평가를 위한 생태학적 지수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Ecological Indices for the Assessment of the Function and Maturity of Artificial Reef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82630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국외의 대형 무척추동물과 해조류 군집을 대상으로 해역의 생태학적 상태를 평가하는 모델을 이용하여 인공어초와 인접한 자연초의 상태를 비교함으로써 우리나라 연안역에 설치된 인공어...

      국외의 대형 무척추동물과 해조류 군집을 대상으로 해역의 생태학적 상태를 평가하는 모델을 이용하여 인공어초와 인접한 자연초의 상태를 비교함으로써 우리나라 연안역에 설치된 인공어초의 기능도(FI, Functional Index; 군집구조의 안정성과 생산성의 추정)와 성숙도(MI, Maturity Index; 자연초 생물학적 패러미터와의 비교)를 평가할 수 있는, 복수의 생태학적 지수(ecological index)로 구성된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 생태평가 모델을 서해안 연안바다목장 5개 지역(백령-대청, 연평, 태안, 서천 그리고 부안)의 자연초와 인공어초 또는 어초시설예정지(자연초)에 적용한 결과, 기능도(FI)는 지역별로 평균 31.6%(백령-대청)부터 72.5%(부안), 성숙도(MI)는 53.1%(서천)부터 76.9%(태안)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인공어초의 기능도와 성숙도는 태안에서 가장 양호하였으며, 인접한 인공어초와 자연초 간의 FI는 유의한 선형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r^2=0.83$, p=0.01). 이 같은 결과는 그 해역의 생물 군집의 상태가 어초의 기능도를 결정하는 데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생태학적 상태에 대한 평가 결과는 효율적인 재원의 활용과 의사 결정에 책임이 있는 환경 및 자원 관리자에게 중요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평가 결과의 정확도를 개선하고 강화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세 가지가 필요하다: (1)평가 결과의 타당성 검증과 이에 기초한 지시자 기준의 보정(rescaling)을 지속하고, (2) 시스템의 적용 및 자료의 축적을 통해 획득된 관찰과 경험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며, (3) 새로운 지수들을 지속적으로 개발, 검증하고 추가해 나가는 노력이 요구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e reviewed foreign evaluation systems based on the macrobenthic and macroalgal communities and developed a system, composed of a set of ecological indices able to evaluate the functionality (FI, Functional Index; estimation of stability and productiv...

      We reviewed foreign evaluation systems based on the macrobenthic and macroalgal communities and developed a system, composed of a set of ecological indices able to evaluate the functionality (FI, Functional Index; estimation of stability and productivity) and maturity (MI, Maturity Index; comparisons with biological parameters of natural reefs) of artificial reefs by comparing the status in the adjacent natural reefs in Korean coastal waters. The evaluation system was applied to natural and artificial reefs/reef-planned areas (natural reefs), established in the 5 marine ranching areas (Bangnyeong-Daechung, Yeonpyung, Taean, Seocheon and Buan) in the west coast of Korea. The FI ranged between 31.6 (Bangnyeong-Daechung) and 72.5% (Buan) and MI did between 53.1 (Seocheon) and 76.9% (Taean) in average. The evaluation of artificial reefs by the two indices, showed the most appropriate status in Taean. The FI between the adjacent artificial and natural reefs were in significant linear relationship ($r^2=0.83$, p=0.01). This indicated the local status of biological community may be critical in determining the functionality of the artificial reefs. We have suggested an integrative but preliminary evaluation system of artificial reefs in this study. The output from the evaluation system may be utilized as a tool for environment/resource managers or policy makers, responsible for effective use of funds and decision making. Given the importance, we need to use the options to enhance and improve the accuracy as follows: (1) continuous validation of the evaluation system and rescaling the criteria of indicators, (2) vigorous utilization of observation and experience through the application and data accumulation and (3) development and testing of brand-new indicator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국토해양부, "해양환경측정망 운영 환경관리해역 저서생물 모니터링" 국토해양부 152-, 2010

      2 해양환경관리공단, "해양환경측정망 운영 - 환경보전해역 저서동물 모니터링-"

      3 "해양수산부훈령 제86호, 2013. 인공어초시설사업집행 및 관리규정"

      4 국토해양부, "해양생태계 기본조사, 남해동부 (128.8°E 여수~129.3°E 부산)" 국토해양부 927-, 2011

      5 해양연구소, "해양 저서생물상에 의한 환경평가" 한국해양연구소 95-, 1993

      6 유재원, "한국의 갯벌 생태등급도 개발을 위한 생물학적 지시자의 검토와 제안" 한국해양과학기술원 33 (33): 85-97, 2011

      7 유재원, "한국 갯벌 생태 등급도의 개발 필요성과 방향" 한국해양과학기술원 32 (32): 137-144, 2010

      8 유재원, "통발 어구를 이용한 서해 경기만 사각형어초 시설의 효과 평가" 한국어업기술학회 43 (43): 126-139, 2007

      9 해양수산부, "전남 다도해형 바다목장 기반조성사업 연구용역보고서" 해양수산부 603-, 2003

      10 김대영, "일본 인공어초사업의 추진 현황과 시사점" 267 : 6-20, 2006

      1 국토해양부, "해양환경측정망 운영 환경관리해역 저서생물 모니터링" 국토해양부 152-, 2010

      2 해양환경관리공단, "해양환경측정망 운영 - 환경보전해역 저서동물 모니터링-"

      3 "해양수산부훈령 제86호, 2013. 인공어초시설사업집행 및 관리규정"

      4 국토해양부, "해양생태계 기본조사, 남해동부 (128.8°E 여수~129.3°E 부산)" 국토해양부 927-, 2011

      5 해양연구소, "해양 저서생물상에 의한 환경평가" 한국해양연구소 95-, 1993

      6 유재원, "한국의 갯벌 생태등급도 개발을 위한 생물학적 지시자의 검토와 제안" 한국해양과학기술원 33 (33): 85-97, 2011

      7 유재원, "한국 갯벌 생태 등급도의 개발 필요성과 방향" 한국해양과학기술원 32 (32): 137-144, 2010

      8 유재원, "통발 어구를 이용한 서해 경기만 사각형어초 시설의 효과 평가" 한국어업기술학회 43 (43): 126-139, 2007

      9 해양수산부, "전남 다도해형 바다목장 기반조성사업 연구용역보고서" 해양수산부 603-, 2003

      10 김대영, "일본 인공어초사업의 추진 현황과 시사점" 267 : 6-20, 2006

      11 국토해양부, "연안습지 기초조사-기본조사." 국토해양부 791-, 2011

      12 황두진, "어군탐지기를 이용한 인공어초 주변의 어군량 추정" 한국수산과학회 37 (37): 249-254, 2004

      13 최진우, "마산만 저서생태계를 중심으로 연안해역 건강성 평가를 위한 저서생물지수의 적용" 한국해양과학기술원 29 (29): 339-348, 2007

      14 조성환, "다공질 인공어초 (반톱니형)에서 진행된 해조천이 및 해중림 조성" 한국수산과학회 40 (40): 220-225, 2007

      15 김윤설, "가막만 모자반군락지내 부착생물의 종조성 및 월별변동" 한국수산과학회 43 (43): 345-350, 2010

      16 Rilov, G., "Vertical artificial structures as an alternative habitat for coral reef fishes in disturbed environments" 45 : 431-451, 1998

      17 Holbrook, S. J., "Variation in structural attributes of patch-forming corals and patterns of abundance of associated fishes" 53 : 1045-1053, 2002

      18 Fano, E. A., "The ecofunctional quality index (EQI): a new tool for assessing lagoonal ecosystem impairment" 56 : 709-716, 2003

      19 Word, J. Q., "Southern California coastal water research project annual report" 19-39, 1978

      20 Roughgarden, J., "Organization of communities past and present" Blackwell Scientific Publications 491-518, 1987

      21 Svane, I., "On the Problems of Epibioses, Fouling and Artificial Reefs, a Review" 22 : 169-188, 2001

      22 Rosenberg, R., "Marine quality assessment by use of benthic species-abundance distributions: a proposed new protocol within the European Union Water Framework Directive" 49 : 728-739, 2004

      23 Boaventura, D., "Macrobenthic colonisation of patricidal reefs on the southern coast of Portugal (Ancão, Algarve)" 555 : 335-343, 2006

      24 Okamoto, M., "Fundamental studies on the ecology of fishes near artificial reefs. 1. Preparatory observation of fish amount" 45 (45): 1085-1090, 1979

      25 Hueckel, G. J., "Foraging on an artificial reef by three Puget Sound fish species" 53 : 110-, 1980

      26 Yoo, J. W., "Environmental quality of Korean coasts as determined by modified Shannon-Wiener evenness proportion" 170 : 141-157, 2010

      27 Grossman, G. D., "Do artificial reefs increase regional fish production? a review of existing data" 22 : 17-23, 1997

      28 Leitão, F., "Contribution of artificial reefs to the diet of the white sea bream (Diplodus sargus)" 64 : 473-478, 2007

      29 Buckley, R. M., "Biological processes and ecological development on an artificial reef in Puget Sound, Washington" 37 (37): 50-69, 1985

      30 O'Hara, T. D., "A rapid biodiversity assessment methodology tested on intertidal rocky shores" 20 : 452-463, 2010

      31 Borja, A., "A marine biotic index to establish the ecological quality of soft-bottom benthos within European estuarine and coastal environments" 40 : 1100-1114, 200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9-0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 바다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59 0.933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