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삼위일체 이콘과 삼신불 탱화의 도상학적 비교 연구 = Comparison study on Iconographic Icon of Trinity and Taenghwa of Three Assemblies of Buddhas - Focus on Andrei Rublev"s ‘Trinity’ and Cheongdo Unmunsa "Vairosana Samsinbulhoedo’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49679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콘과 탱화는 각각 그리스도교와 불교를 대표하는 종교화로써 단순히 예술적 의미뿐 아니라 예배와 교리 교육 등 신앙생활과 밀접한 관련을 갖고 있다. 이콘과 탱화의 작가들은 그들의 창...

      이콘과 탱화는 각각 그리스도교와 불교를 대표하는 종교화로써 단순히 예술적 의미뿐 아니라 예배와 교리 교육 등 신앙생활과 밀접한 관련을 갖고 있다. 이콘과 탱화의 작가들은 그들의 창의적 영감보다는 종교의 의미와 교리를 상징적으로 표현하는 일련의 규칙에 따라 도식화한다. 이런 면에서 이콘과 탱화는 내면적 혹은 외향적 유사성의 공통점을 갖기도 하지만 반면, 각 종교가 표방하는 목적에 따라 도상의 상징과 해석에서 차이점을 갖기도 한다.
      본 연구는 ‘초월자-하느님, 부처님’에 대해 유사하게 표현하고 있는 ‘삼위일체’와 ‘삼신불’ 교리를 배경으로 제작된 이콘과 탱화 중 ‘삼위일체’와 ‘청도운문사 비로자나 삼신불’을 중심으로 도상학적 관점에서 비교·분석하였다. 이에 대한 비교·분석은 구도를 비롯해 상징으로써 이미지와 색상이 갖는 의미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결론적으로 이콘과 탱화는 종교에서 목적하는 바에 따라 교리나 예배용, 종교 행사 및 신앙생활에 사용될 뿐만 아니라 표현성에 있어서도 평면성, 무원근성, 정면성 등의 외형적 유사성을 비롯해 상징적 표현과 성상 표현의 근거 등 내용적인 면에서도 공통점을 갖고 있었다. 그러나 무엇보다 주목할 것은 삼위일체 성자의 육화와 화신 석가모니불의 존재에 의해 이콘과 탱화가 탄생되었다는 점이다. 즉, 종교화는 단순히 그림이 아닌 이미지로써 ‘상징’과 이미지로 표현하기 위한 기호로써의 ‘상징’을 통해 초월자를 만나는 통로라는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con and Taenghwa are religious paintings that represent The Christian and Buddhism respectively. They have not only artistic meaning but are closely related to religious life such as religious dogma and worship. The artists paint them in diagram form...

      Icon and Taenghwa are religious paintings that represent The Christian and Buddhism respectively. They have not only artistic meaning but are closely related to religious life such as religious dogma and worship. The artists paint them in diagram form by expressing religious meaning and religious dogma rather than expressing their creative inspiration. In this respect, Icon and Taenghwa have internal and outgoing similarities. But they are different in the symbol and interpretation for a painting considering the purpose of each religion.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rinity’ and Cheongdo Unmunsa "Vairosana Samsinbulhoedo’ that were made with the background of the ideas of trinity and samsinbul that express transcendental God and the Buddha respectively with iconographical viewpoint.
      The comparison and analysis for it is mainly done for the meanings of images and colors as symbols including the composition. Consequently icon and taenghwa were used for doctrines, prayers and religious ceremonies. They are in common in the appearance similarity of its flatness, no distance characteristics and frontality and internal aspects such as symbolic expression and sacred images. But the most outstanding aspect is that icon and taenghwa were born with the incarnation of the holy trinity and holy Sakyamuni Buddha. It means that religious paintings are not just paintings but the paths to meet the transcendental being through its symbol to express the imag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이론적 배경
      • 3. ‘삼위일체’ 이콘과 ‘비로자나삼신불회도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이론적 배경
      • 3. ‘삼위일체’ 이콘과 ‘비로자나삼신불회도
      • 4. 루블료프 ‘삼위일체’와 운문사 ‘삼신불회도’ 비교
      • 5.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구미래, "화려한 법당, 무채색 스님의 삶…조화로움"

      2 강우방, "한국 불교조각의 흐름" 대원사 2011

      3 장충식, "한국 불교미술 연구" 시공사 2004

      4 한민정, "탱화의 조형적 예술세계에 관한 연구 : 탱화장 구봉스님의 작품을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대학원 2003

      5 "주간한국"

      6 카레아 수도원, "이콘을 아십니까" 정교회출판사 2011

      7 이덕형, "이콘과 아방가르드" 생각의나무 2008

      8 김유정, "안드레이 루블료프 (ADNREY RUBLYOV)의삼위일체 이콘: 구원론적 해석" 2009

      9 김유정, "안드레이 루블료프 (ADNREY RUBLYOV)의삼위일체 이콘: 구원론적 해석" 2009

      10 장긍선, "신비의 미(개정판)" 기쁜소식 2009

      1 구미래, "화려한 법당, 무채색 스님의 삶…조화로움"

      2 강우방, "한국 불교조각의 흐름" 대원사 2011

      3 장충식, "한국 불교미술 연구" 시공사 2004

      4 한민정, "탱화의 조형적 예술세계에 관한 연구 : 탱화장 구봉스님의 작품을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대학원 2003

      5 "주간한국"

      6 카레아 수도원, "이콘을 아십니까" 정교회출판사 2011

      7 이덕형, "이콘과 아방가르드" 생각의나무 2008

      8 김유정, "안드레이 루블료프 (ADNREY RUBLYOV)의삼위일체 이콘: 구원론적 해석" 2009

      9 김유정, "안드레이 루블료프 (ADNREY RUBLYOV)의삼위일체 이콘: 구원론적 해석" 2009

      10 장긍선, "신비의 미(개정판)" 기쁜소식 2009

      11 박종천, "삼위일체론과 삼신론(三身論)," 19 : 1989

      12 권선향, "삼위일체 하느님과 삼신불의 비교 ─계시와 삼매 개념을 중심으로" 불교학연구회 27 : 485-520, 2010

      13 곽승룡, "비움의 영성" 가톨릭출판사 2004

      14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15 정규진, "불교와 탱화" 중도 2008

      16 "불교문화"

      17 "문화콘텐츠닷컴 용어사전"

      18 "문화재청"

      19 길기문, "동방 정교회 이콘 연구 : 안드레이 루블료프의 삼위일체 이콘을 중심으로" 대전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6

      20 이상희, "꽃으로 보는 한국문화 3" 넥서스BOOKS 2004

      21 이호, "광덕사"

      22 심상태, "가톨릭대사전"

      23 林鳳宇, "高麗後期 탱화에 관한 硏究" 朝鮮大學校 大學院 1996

      24 황규성, "朝鮮時代 三身佛會圖에 관한 硏究" 한국미술사학회 237 : 2003

      25 김정희, "朝鮮後期의 佛畵 - 特徵과 樣式, 그리고 硏究課題" 2007

      26 신상돈, "佛敎의 三身說과 基督敎 三位一體의 비교연구 : 基督敎 神觀의 法身的 관점에서의 理解" 계명대학교 대학원 1990

      27 朴仁淑, "佛敎 三身佛과 基督敎 三位一體의 比較 연구" 圓光大學校 大學院 1991

      28 노권용, "三神佛說의 전개와 그 의미" (32) : 2002

      29 Cleary, J. C, "Trikãya and Trinity : The Medial ion of the Absolute" 6 : 198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18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17-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4-12-29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Korea Digital Design Society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3 0.53 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9 0.48 0.814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