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효교육을 효율적으로 시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i시에 소재한 k중학교(남자학교) 1학년 학생 367명을 실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528701
인천 : 성산효대학원대학교, 2010
2010
한국어
192.7 판사항(5)
173 판사항(21)
인천
173장 ; 26 cm
참고문헌: 장 132-14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효교육을 효율적으로 시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i시에 소재한 k중학교(남자학교) 1학년 학생 367명을 실험...
본 연구의 목적은 효교육을 효율적으로 시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i시에 소재한 k중학교(남자학교) 1학년 학생 367명을 실험집단으로 하고 인근 중학교(남녀공학) 1학년 학생 263명을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여 연구하였다.
효자인증 프로그램은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2008년 3월 1일부터 2008년 12월 31일까지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의 측정도구인 설문지는 k중학교의 경력있는 선생님들로 구성된 ‘프로그램기획위원회’의 심의를 거쳐서 본 연구자가 직접 제작하였다. 제작된 설문지는 신뢰도ㆍ타당도를 거친 후 5가지 구성요소의 변화 척도를 사전ㆍ사후 검사하였으며, 그 결과에 대한 통계 분석 자료는 SPSS V 13.0 통계처리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연구문제와 관련해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효자인증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쳐서 개발하였다. 프로그램 기획 → 효의 구성요소 확정 → 교육내용 선정 및 조직 → 프로그램 설계 → 프로그램 실행 → 프로그램 효과 평가 → 프로그램 완성의 단계 순으로 진행되었다. 기획단계에서는 효의 구성요소를 확정하는 것이 선행과제였다. 선행연구와 이론을 바탕으로 효의 구성요소들을 정리하고 성산효대학원대학교의 두 번에 걸친 Colloquium에서 조작적 정의와 구성요소 등을 검증받았다. 이 과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5 구성요소를 확정하였다. 확정된 5 구성요소는 보은(報恩), 순종(順從), 공경(恭敬), 봉양(奉養), 양지(養志)이다.
프로그램 설계 단계에서는 i시 및 전국 단위의 유사한 프로그램을 조사 분석하여 효자인증 프로그램의 목적에 맞는 프로그램을 선정했다. 프로그램을 선정할 때에는 k중학교의 ‘프로그램기획위원회’의 심의를 거쳤으며, 효과적인 효교육 교수-학습 지도안을 작성하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과정에서는 본 연구자의 15년간의 효교육 경험이 밑바탕이 되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서 5 구성요소를 주제로 한 프로그램 42개를 개발해서 전문가 5인과 k중학교 인성교육부에 근무하는 5인의 교사에게 내용 타당도 검증을 받은 후 수정사항을 보완하여 최종 프로그램을 완성했다.
둘째, 효자인증 교육프로그램을 처치한 후의 학생들에게 어떤 효과가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설문지를 통한 사전-사후 효과를 검증한 결과를 두 가지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효자인증 프로그램으로 체계적이고 반복적인 효교육을 받은 k중학생과 일반적인 효교육을 받은 인근 중학교 학생과의 사후 효교육 효과를 검증한 결과 5 구성요소 모두에서 효자인증 프로그램의 실험처치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2) 효자인증 프로그램을 처치한 후의 변화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학생들의 향학열이 높아지면서 학력(學力)이 크게 향상되었다. 그리고 학교폭력과 같은 나쁜 행동이 곧바로 부모님의 마음을 아프게 하는 불효를 저지르는 것이라는 사실을 알게 됨으로써 행동이 바르고 인사를 잘하는 모범학생으로 변화된 모습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2년 동안의 효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효자인증을 획득한 학생 수가 전교생의 59%나 되었고, 효자 학급은 80%로서 학생 대다수가 효자인증을 받으려고 효행을 하고 있다.
k중학교는 교사와 학부모, 그리고 학생들이 한마음으로 명품학교를 만들기 위해 노력한 결과 네 개의 대상을 받았으며, 매스컴에서 k중학교의 명품 효교육에 대한 다양한 기사들을 소개해 주어서 학생들에게 k중학생이라는 자긍심과 애교심이 깊어지는 효과도 있었다.
이러한 것들은 효자인증 프로그램으로 학생과 학교에 많은 변화를 주었음을 증명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단위학교만의 효의식을 검증하는 단계를 넘어서서 인근 학교의 학생과 비교 검증을 해 보았다는 것과, 효의 구성요소를 보은(報恩), 순종(順從), 공경(恭敬), 봉양(奉養), 양지(養志)의 5가지로 정하여 효자인증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는 점. 그리고 그것으로 효과를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본 논문이 ‘방아쇠 역할’을 해서 학교 차원에서의 효교육 프로그램이 더 많이 개발되어 ‘효가 살면 모두가 행복해진다’는 명제(命題)가 실현될 것을 믿으며, 우리 사회, 특히 학교에 효교육이 더욱더 강화되기를 소망한다.
주제어 : 효, 효자인증, 효의 구성요소, 보은, 순종, 공경, 봉양, 양지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