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학생의 부모화 경험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내면화된 수치심과 정서표현 양가성의 이중매개효과 = The Effects of Parentification on Interpersonal Problems of University Students: Dual Mediating Effects of Internalized Shame and Ambivalence of Emotional Expressivenes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2260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internalized shame and ambivalence of emotional expressive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fication and interpersonal problems among college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urvey, from 491 students enrolled in universities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s, Gangwon-do, Gyeongsang-do, Jeolla-do, Jeju-do, and Chungcheong-do. The survey included measures of parentificat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 internalized shame, and ambivalence of emotional expressiveness. For data analysis, SPSS 25.0 and AMOS 21.0 were used.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orrelation analyses showed that parentificat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internalized shame, and the ambivalence of emotional expressiveness all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Second, after comparing the research model to the competition model by the χ² difference test, the competition model with no direct path of parentification and ambivalence of emotional expressiveness was selected as the final model. Third, internalized shame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parentification experiences and interpersonal problems. Fourth, the dual-mediating effects of internalized shame and ambivalence of emotional expressiveness were confirmed in the impact of parentification experience on interpersonal problems. These results suggest that when dealing with interpersonal problems of the parentified client, the counselor should explore the client's internalized shame and emotional expression ambivalence and establish an effective counseling strategy. Finally, the import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addressed based on study findings.
      번역하기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internalized shame and ambivalence of emotional expressive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fication and interpersonal problems among college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urvey, f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internalized shame and ambivalence of emotional expressive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fication and interpersonal problems among college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urvey, from 491 students enrolled in universities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s, Gangwon-do, Gyeongsang-do, Jeolla-do, Jeju-do, and Chungcheong-do. The survey included measures of parentificat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 internalized shame, and ambivalence of emotional expressiveness. For data analysis, SPSS 25.0 and AMOS 21.0 were used.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orrelation analyses showed that parentificat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internalized shame, and the ambivalence of emotional expressiveness all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Second, after comparing the research model to the competition model by the χ² difference test, the competition model with no direct path of parentification and ambivalence of emotional expressiveness was selected as the final model. Third, internalized shame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parentification experiences and interpersonal problems. Fourth, the dual-mediating effects of internalized shame and ambivalence of emotional expressiveness were confirmed in the impact of parentification experience on interpersonal problems. These results suggest that when dealing with interpersonal problems of the parentified client, the counselor should explore the client's internalized shame and emotional expression ambivalence and establish an effective counseling strategy. Finally, the import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addressed based on study finding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생의 부모화 경험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내면화된 수치심과 정서표현 양가성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수도권, 강원도, 경상도, 전라도, 제주도, 충청도 지역에 소재한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491명을 대상으로 부모화 경험, 대인관계문제, 내면화된 수치심, 정서표현 양가성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하였다. 자료 분석으로는 SPSS 25.0와 AMOS 21.0을 사용해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분석 결과 부모화, 대인관계문제, 내면화된 수치심, 정서표현 양가성은 모두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연구모형과 경쟁모형을 χ²차이검증을 통해 비교한 결과 부모화가 정서표현 양가성으로 가는 직접 경로가 설정되지 않은 경쟁모형을 최종모형으로 선정하였다. 셋째, 내면화된 수치심이 대학생의 부모화 경험과 대인관계문제간의 관계를 매개하였다. 넷째, 부모화 경험에서 대인관계문제로 가는 경로에서 내면화된 수치심과 정서표현 양가성의 이중매개효과가 유의미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대인관계문제를 감소시키기 위한 상담적 개입방법을 부모화와 내면화된 수치심 및 정서표현 양가성의 측면에서 모색하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대학생의 부모화 경험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내면화된 수치심과 정서표현 양가성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수도권, 강원도, 경상도, 전라도, 제주도, 충...

      본 연구는 대학생의 부모화 경험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내면화된 수치심과 정서표현 양가성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수도권, 강원도, 경상도, 전라도, 제주도, 충청도 지역에 소재한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491명을 대상으로 부모화 경험, 대인관계문제, 내면화된 수치심, 정서표현 양가성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하였다. 자료 분석으로는 SPSS 25.0와 AMOS 21.0을 사용해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분석 결과 부모화, 대인관계문제, 내면화된 수치심, 정서표현 양가성은 모두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연구모형과 경쟁모형을 χ²차이검증을 통해 비교한 결과 부모화가 정서표현 양가성으로 가는 직접 경로가 설정되지 않은 경쟁모형을 최종모형으로 선정하였다. 셋째, 내면화된 수치심이 대학생의 부모화 경험과 대인관계문제간의 관계를 매개하였다. 넷째, 부모화 경험에서 대인관계문제로 가는 경로에서 내면화된 수치심과 정서표현 양가성의 이중매개효과가 유의미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대인관계문제를 감소시키기 위한 상담적 개입방법을 부모화와 내면화된 수치심 및 정서표현 양가성의 측면에서 모색하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홍상황, "한국형 대인관계문제검사 원형척도의 단축형(KIIP-SC) 구성" 한국임상심리학회 21 (21): 923-940, 2002

      2 최해연, "한국판 정서표현에 대한 양가성 척도의 타당화 및 억제 개념들 간의 비교 연구"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1 (21): 71-89, 2007

      3 이현아, "청소년의 부모화 경험과 정서인식, 정서표현신념, 정서표현양가성, 정서조절방략 간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11

      4 최아름, "청소년의 부모화 경험과 내면화된 수치심" 14 (14): 117-139, 2014

      5 여성가족부, "청소년백서 및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상담통계" 2020

      6 정경아, "정서표현양가성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 기본 심리적 욕구 만족의 매개효과" 가톨릭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7 최지현, "정서지능과 자아탄력성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9

      8 조은정, "아동기의 정서적 학대 경험이 대인관계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담학회 5 (5): 583-595, 2004

      9 전현수, "심리적 부모화가 친밀함에 대한 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 불안정 성인애착과 정서표현 양가성의 매개효과" 서강대학교 대학원 2013

      10 김지민, "심리적 부모화가 대인관계 문제에 미치는 영향- 내현적 자기애 성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학회 24 (24): 123-139, 2017

      1 홍상황, "한국형 대인관계문제검사 원형척도의 단축형(KIIP-SC) 구성" 한국임상심리학회 21 (21): 923-940, 2002

      2 최해연, "한국판 정서표현에 대한 양가성 척도의 타당화 및 억제 개념들 간의 비교 연구"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1 (21): 71-89, 2007

      3 이현아, "청소년의 부모화 경험과 정서인식, 정서표현신념, 정서표현양가성, 정서조절방략 간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11

      4 최아름, "청소년의 부모화 경험과 내면화된 수치심" 14 (14): 117-139, 2014

      5 여성가족부, "청소년백서 및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상담통계" 2020

      6 정경아, "정서표현양가성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 기본 심리적 욕구 만족의 매개효과" 가톨릭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7 최지현, "정서지능과 자아탄력성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9

      8 조은정, "아동기의 정서적 학대 경험이 대인관계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담학회 5 (5): 583-595, 2004

      9 전현수, "심리적 부모화가 친밀함에 대한 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 불안정 성인애착과 정서표현 양가성의 매개효과" 서강대학교 대학원 2013

      10 김지민, "심리적 부모화가 대인관계 문제에 미치는 영향- 내현적 자기애 성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학회 24 (24): 123-139, 2017

      11 이희경, "신경증적 갈등에 대한 카렌 호나이의 정신분석" 학지사 2006

      12 신주연, "성장기의 부모화 경험이 대학생의 병리적 의존에 미치는 영향: 수치심 경향성을 매개변인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13 서수라, "성장기 부모화 경험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 자기수용의 매개효과"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6

      14 조은영, "부모화된 자녀의 심리적 특성 및 가족 내 영향력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4

      15 강선모, "부모화가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에서 공감의 매개효과" 한국상담학회 16 (16): 265-283, 2015

      16 전소연, "부모화 경험이 청소년의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수치심의 매개효과" 학생생활상담연구소 33 (33): 185-200, 2012

      17 남상철, "부모와 자녀의 양육태도 지각 및 대학생의 자아분화가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 12 (12): 51-75, 2007

      18 김남연, "부모애착, 내면화된 수치심, 분노억제가 대학생의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담학회 13 (13): 2309-2328, 2012

      19 이지현, "문항묶음:원리의 이해와 적용" 한국심리학회 35 (35): 327-353, 2016

      20 이주현, "대학생이 지각하는 부모화 경험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2017 (2017): 151-152, 2017

      21 이미화, "대학생의 정서표현양가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인지적 재해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3

      22 김혜림, "대학생의 자아분화가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 정서표현양가성과 갈등해결전략의 매개효과"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5

      23 전주연, "대학생의 심리적 부모화와 갈등해결전략의 관계 : 불안정 성인애착과 정서표현양가성의 매개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24 한경희, "대학생의 사회부과적 완벽주의가 내면화된 수치심과 정서표현양가성을 통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25 조은진, "대학생의 부모화와 정서적 소진의 관계: 정서표현신념과 정서표현양가성의 매개효과" 한국상담학회 21 (21): 45-66, 2020

      26 김현재, "대학생의 부모화와 신체화의 관계에서 정서표현신념과 정서표현양가성의 매개효과" 아주대학교 대학원 2021

      27 하예린, "대학생의 부모화 경험이 친밀감에 대한 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5

      28 이경화, "대학생의 부모화 경험과 신체화의 관계: 정서인식명확성과 정서표현양가성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학회 26 (26): 181-209, 2019

      29 박서정, "대학생의 부모화 경험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과 정서표현 양가성의 매개효과" 한국재활심리학회 26 (26): 41-59, 2019

      30 정혜연, "대학생의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 한국상담학회 18 (18): 169-184, 2017

      31 정혜진, "대학생의 대인관계문제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경험회피와 정서표현 양가성의 매개효과"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4

      32 송연주, "대학생의 대인간 외상 경험과 대인관계문제 간의 관계: 정서인식명확성과 정서표현양가성의 이중매개효과" 한국상담학회 22 (22): 159-184, 2021

      33 차혜련,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 및 인지적 정서조절의 조절효과" 한국청소년학회 23 (23): 373-401, 2016

      34 신은송,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이 대인관계 문제에 미치는 영향: 자기용서를 통한 정서표현 양가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한국교육치료학회 13 (13): 169-183, 2021

      35 최임정,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분노표현양식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담심리학회 22 (22): 479-492, 2010

      36 권다은,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 : 정서표현양가성과 분노의 매개효과"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5

      37 정소현, "대학생의 거부민감성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 자기침묵과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 한국상담학회 19 (19): 137-159, 2018

      38 이인숙, "내면화된 수치심 척도(ISS)의 타당화 연구- 애착, 과민성 자기애, 외로움과의 관계" 한국상담심리학회 17 (17): 651-670, 2005

      39 조영재, "남자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성향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분노표현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 32 (32): 845-866, 2013

      40 홍세희,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19 (19): 161-177, 2000

      41 김경미, "갈등적 독립수준, 자기주장성, 정서표현에 대한양가감정으로 살펴본 부모화의 하위 집단별 특성" 3 (3): 19-32, 2006

      42 장휘숙, "가족심리학" 박영사 2008

      43 Erikson, E. H., "“Life cycle,”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the Social Sciences 9" The Free Press 1968

      44 Little, T. D., "To parcel or not to parcel : Exploring the question, weighting the merits" 9 (9): 151-173, 2002

      45 Browne, M. W.,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Sage 136-162, 1993

      46 West, S. 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s" Sage Publications, Inc 56-75, 1995

      47 Barrett, K. C, "Self-conscious emotions: The psychology of shame, guilt, embarrassment, and pride" Guilford Press 1995

      48 Byng-Hall, J., "Relieving parentified children's burdens in families with insecure attachment patterns" 41 (41): 375-388, 2002

      49 Kline, R. B., "Principle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Guilford Press 2005

      50 Chen, C., "Preoccupied attachment, need to belong, shame, and interpersonal perfectionism : An investigation of the perfectionism social disconnection model" 76 : 177-182, 2015

      51 Jurkovic, G. J., "Parentification in adult children of divorce : A multidimensional analysis" 30 : 245-257, 2001

      52 Shrout, P. E., "Mediation in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studies : new procedures and recommendations" 7 (7): 422-445, 2002

      53 Cook, D. R., "Measuring shame : The internalized shame scale" 4 (4): 197-215, 1988

      54 Jurkovic, G. J., "Lost childhoods : The plight of the parentified child" Brunner/Mazel 1997

      55 Boszormenyi-Nagy, I., "Invisible loyalties: Reciprocity in intergenerational family therapy" Harper & Row 1973

      56 Horowitz, L. M., "Inventory of interpersonal problems : psychometric properties and clinical applications" 56 (56): 885-892, 1988

      57 Cook, D. R., "Internalized shame scale : technical manual" Multi-Health Systems 2001

      58 Titzmann, P. F., "Growing up too soon? Parentification among immigrant and native adolescents in Germany" 41 (41): 880-893, 2012

      59 Jurkovic, G. J., "Filial Responsibility Scale-Adult (FRS-A)"

      60 Emmons, R. A., "Emotional conflict and well-being : Relation to perceived availability, daily utilization, and observer reports of social support" 68 (68): 947-959, 1995

      61 Lazarus, R. S., "Emotion and adapt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1991

      62 Alden, L. E., "Construction of circumplex scales for the Inventory of Interpersonal Problems" 55 (55): 521-536, 1990

      63 King, L. A., "Conflict over emotional expression : Psychological and physical correlates" 58 : 864-877, 1990

      64 Chan Wai., "Comparing indirect effects in SEM : A sequential model fitting method using covariance-equivalent specification" 14 (14): 326-346, 2007

      65 Beck, A. T., "Anxiety Disorder and Phobias : A Cognitive Perspective" Basic Books 1985

      66 Tedgard, E., "An upbringing with substance-abusing parents : Experiences of parentification and dysfunctional communication" 36 (36): 223-247, 201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8-29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청소년상담원 ->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영문명 : KOREA YOUTH COUNSELING INSTITUTE -> Korea Youth Counseling & Welfare Institute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5-05-11 학술지등록 한글명 : 청소년상담연구
      외국어명 : The Korea Journal of Youth Counseling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7 1.47 1.2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7 1.68 1.815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