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또래 유아가 있는 통합 환경에서 중도 뇌성마비유아, 자폐성향유아, 정신지체유아, 중복(청각과 자폐성향)장애유아의 행동 특성은 어떻게 나타나는지 알아보았다. 전체 18...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또래 유아가 있는 통합 환경에서 중도 뇌성마비유아, 자폐성향유아, 정신지체유아, 중복(청각과 자폐성향)장애유아의 행동 특성은 어떻게 나타나는지 알아보았다. 전체 18...
이 연구의 목적은 또래 유아가 있는 통합 환경에서 중도 뇌성마비유아, 자폐성향유아, 정신지체유아, 중복(청각과 자폐성향)장애유아의 행동 특성은 어떻게 나타나는지 알아보았다. 전체 18회기를 전기, 중기, 후기로 나누어 각 회기마다 나타나는 주요 행동특성을 질적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비 구조화 된 통합 환경에서 장애유아와 일반유아 간에는 다양하고 긍정적인 상호 작용 효과가 있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behavior characteristics of the pre-school children with a severe cerebral palsy, with an autism spectrum, with mental retardation and a multiple disability(hard hearing + autism spectrum) in the inclu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behavior characteristics of the pre-school children with a severe cerebral palsy, with an autism spectrum, with mental retardation and a multiple disability(hard hearing + autism spectrum) in the inclusion circumstance. As this is a case study, the subject was four children attending an early classroom in K city rehabilitation center. All were 18 sections. Each section was described and analysed qualitative by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pre-social work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everal and positive interaction effect between pre-school children with several type disability and general children in the non-systemic inclusion circumstance.
참고문헌 (Reference)
1 "중복지체부자유아 교육" 대구대학교 출판부 2003
2 "장애영유아 통합교육" 도서출판 범한 2001
3 "일반아동에게도 힘과 보람을 주는 조기통합교육" 국립특수교육원 2000
4 "유치원에서의 통합교육"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997
5 "완전통합교육과 학교교육의 재구조화" 도서출판 1997
6 "뇌성마비아의 이해와 지도" 도서출판 특수교육 2002
7 "뇌성마비아 언어 훈련에 대한 Bobath의 접근 방법 고찰" 42 : 15-31, 2003
8 "Why students with severe intellectual disabilities must attend the schools of their brothers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persons with Severe Handicaps" 1-7, 1989
9 "Very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1997
10 "University of Minnesota college of Education" Minnesota inclusive Education Technical Assistance Program 1992
1 "중복지체부자유아 교육" 대구대학교 출판부 2003
2 "장애영유아 통합교육" 도서출판 범한 2001
3 "일반아동에게도 힘과 보람을 주는 조기통합교육" 국립특수교육원 2000
4 "유치원에서의 통합교육"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997
5 "완전통합교육과 학교교육의 재구조화" 도서출판 1997
6 "뇌성마비아의 이해와 지도" 도서출판 특수교육 2002
7 "뇌성마비아 언어 훈련에 대한 Bobath의 접근 방법 고찰" 42 : 15-31, 2003
8 "Why students with severe intellectual disabilities must attend the schools of their brothers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persons with Severe Handicaps" 1-7, 1989
9 "Very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1997
10 "University of Minnesota college of Education" Minnesota inclusive Education Technical Assistance Program 1992
11 "The effects of Classroom Organization on Mainstreamed Preschool Children" 425-434, 1986
12 "The case for social skills training with handicapped children" 422-433, 1982
13 "Schools and classrooms as caring communities" 38-4, 1990
14 "Methods and strategies for special education" Prentice Hall 1990
15 "Mainstreaming during the early childhood years" 146-154, 1991
16 "Intensive home based early intervention with autistic children Education and Treatment of Children" 352-366, 1987
17 "Integrating handicapped students into the mainstream" 90-98, 1980
18 "Fulfilling the Promise? American Journal of Mental Deficiency" 115-126, 1981
19 "Effect on Child Development and Social Interaction" integrating (integrating): 7-17, 1985
20 "A Planning Process for Developmental Programming for Handicapped Preschool Children Language Development as a Model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Council for Exceptional Children" 1977
뇌성마비아의 언어학습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적 변인 고찰
수ㆍ전동 겸용 휠체어 국산화 개발 및 평가에 관한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2-03-05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지체부자유아교육학회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영문명 : Korean Council of Physical & Multiple Disabilities -> Korean council of Physical, Multiple, & Health Disabilities | ![]() |
2012-03-05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중복·지체부자유연구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 Korean Journal of Physical, Multiple, & Health Disabilities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8-28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Korean Council For Physical And Multiful Disabilities -> Korean Council of Physical & Multiple Disabilities | ![]() |
2007-04-18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중복·지체부자유아교육 -> 중복·지체부자유연구외국어명 : The Educationlal Journal for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 Korean Journal of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10-18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중복·지체지체부자유아교육 -> 중복·지체부자유아교육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53 | 1.53 | 1.3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25 | 1.27 | 1.413 | 0.6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