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항만입지특성이 항만도시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평택항과 광양항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11007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도시가 발전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자원과 성장에 필요한 제반조건과 총체적인 환경을 요구하고 있다. 도시의 성장과 발전은 역사·문화·경제·사회·공간·제도적 요인들이 서로 영향을 주면서 다양한 변화를 통하여 발전하고 있다. 그러나 항만이 입지하고 있는 배후지역의 도시개발계획이나 지역경제 활성화에 있어서는 원활한 경제활동이나 도시성장에 많은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다. 중앙정부나 지방자치단체의 행정환경 추세는 성숙한 분권형 국가운영시스템을 요구하고 있는 시대적 변화에 부응하지 못한 채 현실을 간과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에서 평택항과 광양항이 입지하고 있는 항만도시를 대상으로 배후지역 도시성장에 어떻게 영향을 주고 있는지에 대한 명확한 관계를 살펴보는 것은 의미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항만의 입지가 배후지역 도시성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항만과 배후도시와의 관계를 확인하고, 향후 항만개발과 운영방향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탐색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항만이 입지함에 따른 항만입지와 관련된 특정 요인이 평택항과 광양항에 어떠한 영향을 주고 있는지를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항만입지특성이 도시성장에 미치는 요인 중 수출입물동량이 평택항과 광양항 모두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항만당국인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간의 적극적인 계획과 협조가 반드시 병행되어야 한다. 또한 국가적 이미지 개선에 보탬이 되고 인적?물적 유인효과를 제고하는 지역적 특성이 반영된 정책을 수립하여 실행하는 전략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중앙정부 주도의 항만정책 추진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고 항만입지 특성과 배후도시 성장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추진 전략을 실행해야 하는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협력적 관계를 모색할 수 있는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번역하기

      도시가 발전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자원과 성장에 필요한 제반조건과 총체적인 환경을 요구하고 있다. 도시의 성장과 발전은 역사·문화·경제·사회·공간·제도적 요인들이 서로 영향을 주�...

      도시가 발전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자원과 성장에 필요한 제반조건과 총체적인 환경을 요구하고 있다. 도시의 성장과 발전은 역사·문화·경제·사회·공간·제도적 요인들이 서로 영향을 주면서 다양한 변화를 통하여 발전하고 있다. 그러나 항만이 입지하고 있는 배후지역의 도시개발계획이나 지역경제 활성화에 있어서는 원활한 경제활동이나 도시성장에 많은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다. 중앙정부나 지방자치단체의 행정환경 추세는 성숙한 분권형 국가운영시스템을 요구하고 있는 시대적 변화에 부응하지 못한 채 현실을 간과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에서 평택항과 광양항이 입지하고 있는 항만도시를 대상으로 배후지역 도시성장에 어떻게 영향을 주고 있는지에 대한 명확한 관계를 살펴보는 것은 의미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항만의 입지가 배후지역 도시성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항만과 배후도시와의 관계를 확인하고, 향후 항만개발과 운영방향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탐색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항만이 입지함에 따른 항만입지와 관련된 특정 요인이 평택항과 광양항에 어떠한 영향을 주고 있는지를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항만입지특성이 도시성장에 미치는 요인 중 수출입물동량이 평택항과 광양항 모두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항만당국인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간의 적극적인 계획과 협조가 반드시 병행되어야 한다. 또한 국가적 이미지 개선에 보탬이 되고 인적?물적 유인효과를 제고하는 지역적 특성이 반영된 정책을 수립하여 실행하는 전략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중앙정부 주도의 항만정책 추진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고 항만입지 특성과 배후도시 성장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추진 전략을 실행해야 하는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협력적 관계를 모색할 수 있는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growth of a city requires substantial resources, an appropriate environment, and the alignment of several factors. City growth also evolves through changes in its history, culture, economics, societies, groups, and government systems. However, current port city development plans designed to encourage the growth of local businesses fail to provide the support needed for both the city and businesses. The recent actions of urban administrations and federal and local governments have revealed that they have yet to create a mature decentralized management system, or perhaps have ignored the reality of needing one. Taking a clear look at the differences between port regions, such as Gwangyang and Pyeongtaek, and understanding their effect on city growth would be a prudent course of action when preparing for future developm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orts and cities by analyzing the effect of port characteristics on nearby city growth.
      This study used a comparison analysis to determine how port characteristics affected the growth of Pyeongtaek and Gwangyang. One result of this analysis showed that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goods being imported or exported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growth of both port cities, In this respect, an aggressive plan and cooperation between the federal and local government should occur simultaneously. Furthermore, efficient local policies that focus on the increase of personnel and material resources should be pursued as a standard strategy, which would also promote the international status of these loc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e importance of government cooperation. The federal government should lead with aggressive strategies that aim to optimize efficiency, while the local government should provide the necessary assistance and coordination in order to achieve optimal results.
      번역하기

      The growth of a city requires substantial resources, an appropriate environment, and the alignment of several factors. City growth also evolves through changes in its history, culture, economics, societies, groups, and government systems. However, cur...

      The growth of a city requires substantial resources, an appropriate environment, and the alignment of several factors. City growth also evolves through changes in its history, culture, economics, societies, groups, and government systems. However, current port city development plans designed to encourage the growth of local businesses fail to provide the support needed for both the city and businesses. The recent actions of urban administrations and federal and local governments have revealed that they have yet to create a mature decentralized management system, or perhaps have ignored the reality of needing one. Taking a clear look at the differences between port regions, such as Gwangyang and Pyeongtaek, and understanding their effect on city growth would be a prudent course of action when preparing for future developm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orts and cities by analyzing the effect of port characteristics on nearby city growth.
      This study used a comparison analysis to determine how port characteristics affected the growth of Pyeongtaek and Gwangyang. One result of this analysis showed that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goods being imported or exported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growth of both port cities, In this respect, an aggressive plan and cooperation between the federal and local government should occur simultaneously. Furthermore, efficient local policies that focus on the increase of personnel and material resources should be pursued as a standard strategy, which would also promote the international status of these loc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e importance of government cooperation. The federal government should lead with aggressive strategies that aim to optimize efficiency, while the local government should provide the necessary assistance and coordination in order to achieve optimal resul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Ⅰ. 서론
      • Ⅱ. 항만입지특성과 항만도시성장에 대한 선행연구
      • Ⅲ. 분석모형의 정립과 실증분석
      • Ⅳ. 실증분석 결과
      • Abstract
      • Ⅰ. 서론
      • Ⅱ. 항만입지특성과 항만도시성장에 대한 선행연구
      • Ⅲ. 분석모형의 정립과 실증분석
      • Ⅳ. 실증분석 결과
      • Ⅴ. 결론 및 시사점
      • 참고문헌
      • 국문요약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