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언어에서 어떤 음운의 연쇄에 자의적으로 의미단위인 형태소를 대응시킴으로써 형태음운의 자격을 얻게 되고, 형태음운의 연쇄인 기저형(형태음운표시)들의 내부나 혹은 경계에서 형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791180
1999
-
701
KCI등재
학술저널
305-317(13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한 언어에서 어떤 음운의 연쇄에 자의적으로 의미단위인 형태소를 대응시킴으로써 형태음운의 자격을 얻게 되고, 형태음운의 연쇄인 기저형(형태음운표시)들의 내부나 혹은 경계에서 형태...
한 언어에서 어떤 음운의 연쇄에 자의적으로 의미단위인 형태소를 대응시킴으로써 형태음운의 자격을 얻게 되고, 형태음운의 연쇄인 기저형(형태음운표시)들의 내부나 혹은 경계에서 형태음운의 교체가 일어나게 되면 이는 형태음운론적 교체가 되는 것이다. 즉 우리는 형태음운론의 영역을 포괄적으로 보아 형태소 내부에서 보이는 교체, 보충법적 교체, 자동적인 교체는 물론 발화 차원의 교체까지를 아우르는 과정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이상의 논의에 근거하여 우리는 형태음운부라는 독자적인 문법 부문의 설정이 필요함을 이야기하게 되는데, 단 이 문법 부문은 고유의 자질이 없는 의사부문(擬似 部門, Quasi-Module)으로서 형태부와 음운부의 상호작용에 의해 창조되고 제한된다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