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최근 불거진 간호사들의 ‘태움’ 자살에 대한 자살 예방 대책 및 처우 개선을 위한 제도적 노력이 충분치 않은 현실에서 출발하였다. 이에 따라 제도의 매개적 효과에 주목하는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386040
2022
Korean
KCI우수등재
학술저널
103-144(42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최근 불거진 간호사들의 ‘태움’ 자살에 대한 자살 예방 대책 및 처우 개선을 위한 제도적 노력이 충분치 않은 현실에서 출발하였다. 이에 따라 제도의 매개적 효과에 주목하는 ...
이 연구는 최근 불거진 간호사들의 ‘태움’ 자살에 대한 자살 예방 대책 및 처우 개선을 위한 제도적 노력이 충분치 않은 현실에서 출발하였다. 이에 따라 제도의 매개적 효과에 주목하는 제도적 문화기술지 접근을 활용해 간호사 ‘태움’ 자살이 발생하는 제도적 과정을 드러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8명의 연구참여자에 대한 반구조화된 면접과 참여관찰을 진행했으며, 간호사들의 일 과정과 제도적 환경을 알 수 있는 제도적 텍스트들을 수집·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직장 내 괴롭힘의 유사어로 사용된 간호사 ‘태움’ 자살이 간호사가 위치한 특수한 노동조건과 노동과정 속에 잠재된 구조적‧문화적‧직접적 폭력의 복합적 결과임을 밝히고, 이를 뒤르케임이 제시한 숙명론적 자살의 한 형태로 개념화했다. 이 연구는 첫째, 간호사 자살의 의료화에 대항할 사회학적 설명 모델을 발전시키기 위한 시도이며, 둘째, 고도로 관료화되고 위계화된 노동 조건 속에 자리한 현대 직업집단의 숙명론적 자살의 작동방식에 대한 탐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Reference)
1 바우만, 지그문트, "현대성과 홀로코스트" 새물결 2013
2 김명희, "한국사회 자살현상과 『자살론』의 실재론적 해석: 숙명론적 자살(fatalistic suicide)을 중심으로" 비판사회학회 (96) : 288-327, 2012
3 이도흠, "폭력 유형별 화쟁의 평화론" 통일평화연구원 9 (9): 5-42, 2017
4 갈퉁, 요한, "평화적 수단에 의한 평화" 들녘 2000
5 조한혜정, "페미니즘과 질적 간호연구: 페미니즘: 보살핌의 노동과 가치에 대하여" 3 : 41-52, 2004
6 문강분, "직장 내 괴롭힘 법제화와 여성노동" 젠더법학연구소 12 (12): 37-68, 2020
7 김영선, "존버씨의 죽음" 오월의 봄 2022
8 김인숙, "제도적 문화기술지: 왜 또 다른 연구방법인가? -사회복지 지식형성에 주는 유용성과 함의-" 한국사회복지학회 65 (65): 299-324, 2013
9 스미스, 도로시, "제도적 문화기술지: 사람을 위한 사회학" 나남출판사 2014
10 뒤르케임, 에밀, "자살론" 청아출판사 2017
1 바우만, 지그문트, "현대성과 홀로코스트" 새물결 2013
2 김명희, "한국사회 자살현상과 『자살론』의 실재론적 해석: 숙명론적 자살(fatalistic suicide)을 중심으로" 비판사회학회 (96) : 288-327, 2012
3 이도흠, "폭력 유형별 화쟁의 평화론" 통일평화연구원 9 (9): 5-42, 2017
4 갈퉁, 요한, "평화적 수단에 의한 평화" 들녘 2000
5 조한혜정, "페미니즘과 질적 간호연구: 페미니즘: 보살핌의 노동과 가치에 대하여" 3 : 41-52, 2004
6 문강분, "직장 내 괴롭힘 법제화와 여성노동" 젠더법학연구소 12 (12): 37-68, 2020
7 김영선, "존버씨의 죽음" 오월의 봄 2022
8 김인숙, "제도적 문화기술지: 왜 또 다른 연구방법인가? -사회복지 지식형성에 주는 유용성과 함의-" 한국사회복지학회 65 (65): 299-324, 2013
9 스미스, 도로시, "제도적 문화기술지: 사람을 위한 사회학" 나남출판사 2014
10 뒤르케임, 에밀, "자살론" 청아출판사 2017
11 박한선, "의사-간호사 관계의 의료인류학적 고찰: 간호사 젠더 역할 변화를중심으로" 19 (19): 27-34, 2014
12 서보혁, "요한 갈퉁의 평화·인권론" 4 (4): 185-196, 2012
13 간호사 요, "어쩌다 간호사: 가벼운 마음도, 대단한 사명감도 아니지만" 알에이치코리아 2020
14 이정희, "야간노동과 단체협약: 간호업종을 중심으로" 182 : 35-47, 2020
15 김혜란 ; 권인수, "신규간호사의 암 병동 적응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대한종양간호학회 14 (14): 127-138, 2014
16 김미숙 ; 배성윤, "신규간호사 ʻ태움(Taeoom)ʼ에 대한 개념 분석" 한국병원경영학회 25 (25): 1-13, 2020
17 손행미, "신규 간호사의 실무 적응 경험" 31 (31): 998-997, 2001
18 김지혜, "선량한 차별주의자" 창비 2019
19 시사IN, "서울아산병원 간호사가 숨진 지 반년이 지났다"
20 바우만, "사회학의 쓸모: 지그문트 바우만과의 대화" 서해문집 2015
21 김인숙,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일 조직화: 제도적 문화기술지"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19 (19): 101-139, 2017
22 김관욱, "사람입니다, 고객님: 콜센터의 인류학" 창비 2022
23 이은영, "보육교사의 일 조직화에 대한 제도적 문화기술지"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8
24 박용철, "보건의료산업 인력 수급 및 근로조건 개선방안 연구용역" 경제사회발전노사정위원회 2015
25 일리치, 이반, "병원이 병을 만든다" 미토 2004
26 하정희, "병원 간호사의 직장 내 괴롭힘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와 자기비난의 조절된 매개효과" 한국여성심리학회 24 (24): 193-216, 2019
27 이경희 ; 최선임 ; 박보현, "병원 간호사 자살에 대한 산업재해 승인 사례연구"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 28 (28): 271-284, 2019
28 박광옥, "발달장애인의 고용서비스 경험의 사회적 조직화: 제도적 문화기술지의 적용" 성공회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29 황경란, "반성매매 운동 활동가들의 성매매여성 자활지원 일에 관한 제도적 문화기술지"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30 실링, 크리스, "몸의 사회학" 나남출판사 2011
31 행동하는 간호사회, "더이상 간호사를 죽이지 마라!"
32 김진미, "노숙인 거처 찾기 일에 관한 제도적 문화기술지"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9
33 어용숙 ; 이지원 ; 장소은, "나이팅게일 선서식 의례 연구"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7 (27): 890-900, 2015
34 한국과로사, "그리고 우리가 남았다:과로사·과로자살 사건에 부딪힌 가족, 동료, 친구를 위한 안내서" 나름북스 2021
35 윤민재, "군인 인권과 사고(자살)예방프로그램 연구" 5.18연구소 8 (8): 79-109, 2008
36 김인숙, "국민기초생활수급 신청의 일에 관한 제도적 문화 기술지 -저소득 이혼여성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52 : 1-32, 2020
37 대한간호협회, "간호통계 주요현황"
38 두은영 ; 최수진, "간호조직에서의 억압에 대한 개념분석" 한국콘텐츠학회 21 (21): 498-598, 2021
39 신해진, "간호에서의 돌봄의 특성 : 윤리적 측면을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대학원 2006
40 정선화 ; 정선화 ; 이인숙, "간호사의 태움 체험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 25 (25): 238-248, 2016
41 강지연 ; 윤선영, "간호사의 직장 내 괴롭힘 경험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한국간호과학회 46 (46): 226-237, 2016
42 라포르시안, "간호사를 연료처럼 태우지 마라”...직장내 괴롭힘 방지법 16일부터 시행"
43 김형숙 ; 배현지 ; 강경화, "간호사 자살이 남긴 과제: 일상 속의 예방관리-적극적 개입관리-체계적 사후관리" 한국간호과학회 51 (51): 408-413, 2021
44 권덕화 ; 이병숙, "간호사 및 동료 의료인의 임상간호사 ‘태움’ 인식 경험" 인문사회 21 9 (9): 581-597, 2018
45 행동하는 간호사회, "간호사 1명이 담당하는 환자 수를 정해 간호인력부족의 근본적인 해결책을 제시하는 간호인력인권법 제정하라!"
46 건치신문, "간호노동 문제의 사회문화적 성격"
47 정선화, "간호 현장 안에 있는 태움의 발생과 지속에 관한 이론"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8
48 김명희, "‘탈북자 자살’의 생태계에 대한 생명인문학적 성찰 : 자살의 의료화와 정신의 식민화" 인문학연구원 70 : 35-70, 2017
49 Aliverdinia, Akbar, "Women’s Fatalistic Suicide in Iran: A Partial Test of Durkheim in an Islamic Republic" 15 (15): 307-320, 2009
50 Abrutyn, Seth, "Toward a Cultural-Structural Theory of Suicide: Examining Excessive Regulation and Its Discontents" 36 (36): 48-66, 2018
51 Hochschild, Russell, "The Managed Heart: Commercialization of Human Feelin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3
52 van Bergen, Diana D, "Suicidal Behaviour of Young Immigrant Women in the Netherlands. Can We use Durkheim’s Concept of ‘Fatalistic Suicide’ to Explain Their High Incidence of Attempted Suicide" 32 (32): 302-322, 2009
53 Mastroianni, George R, "Reframing Suicide in the Military" 41 (41): 6-21, 2011
54 Berger, Peter, "Life as Theater: A Dramaturgical Sourcebook 2" 51-61, 1990
55 Smith, Dorothy, "Institutional Ethnography: A Sociology for People" AltaMira Express 2005
56 Besnard, Philippe, "Emile Durkheim: Sociologist and Moralist" Routledge 169-190, 1993
57 Stack, Steven, "Durkheim’s Theory of Fatalistic Suicide: A Cross-National Approach" 107 (107): 161-168, 1979
58 Godor, Brian P, "Academic Fatalism: Applying Durkheim’s Fatalistic Suicide Typology to Student Drop-Out and the Climate of Higher Education" 48 (48): 257-269, 2016
59 김명희, "5·18 자살의 계보학: 치유되지 않은 5월" 비판사회학회 (126) : 78-115, 2020
제임스 피시킨의 숙의민주주의 이론 : 주요 논지와 한계 및 향후 과제를 중심으로
대전은 어떻게 ‘노잼도시’가 되었나 : 텍스트 마이닝과 의미 연결망으로 본 ‘장소성’ 소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