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중 제조업의 총요소생산성 비교분석 = Total Factor Productivity in Korean and Chinese Manufacturing Industr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58573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compares the rate of increase in TFP in Korean industries with that in Chinese industries. The sources of TFP are decomposed into four factors such as technical efficiency(TE) change, scale component(SC), industrial specialization(IS), and technological progress(TP). For estimate TFP, we use panel data from 1999-2014 with Korean manufacturing industries divided into 23 and Chinese divided into 27.
      The empirical results based on the date are as follows. First, average TE of Korean manufacturing industries is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at of Chinese, while TE growth of Korea is zero and that of China increases. Second, the impacts of SC, IS, TP do not exist in both countries, which implies TFP growth in the countries does not depend on the three factors. Third, TFP growth in China is higher than in Korea.
      번역하기

      This paper compares the rate of increase in TFP in Korean industries with that in Chinese industries. The sources of TFP are decomposed into four factors such as technical efficiency(TE) change, scale component(SC), industrial specialization(IS), and ...

      This paper compares the rate of increase in TFP in Korean industries with that in Chinese industries. The sources of TFP are decomposed into four factors such as technical efficiency(TE) change, scale component(SC), industrial specialization(IS), and technological progress(TP). For estimate TFP, we use panel data from 1999-2014 with Korean manufacturing industries divided into 23 and Chinese divided into 27.
      The empirical results based on the date are as follows. First, average TE of Korean manufacturing industries is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at of Chinese, while TE growth of Korea is zero and that of China increases. Second, the impacts of SC, IS, TP do not exist in both countries, which implies TFP growth in the countries does not depend on the three factors. Third, TFP growth in China is higher than in Kore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중 제조업에 대한 총요소생산성 증가율을 유도하고 증가율의 차이점을 분석한다. 이를 위해 한국과 중국의 산업특화지수를 고려한 확률적 변경생산함수를 각각 추정하여 국가별 총요소생산성 증가율을 계측하고, 그 구성요인을 분해한다. 여기서 구성요소는 기술적 효율성, 규모의 효율성, 산업특화의 효율성, 기술진보이다. 총요소생산성 증가율을 유도하기 위해 사용된 자료는 6년간(2009년~2014년)의 시계열자료와 한국은 23개 산업 그리고 중국은 27개 중분류산업의 횡단면자료로 구성된 패널자료이다.
      본 연구의 추정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균 기술적 효율성은 한국이 중국에 비해 높지만 효율성의 연평균 증가율은 한국이 정체된 반면에 중국은 향상되었다. 둘째, 규모효과, 산업특화효과, 기술진보는 총요소생산성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셋째, 총요소생산성 증가율은 한국에 비해 중국이 높았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한중 제조업에 대한 총요소생산성 증가율을 유도하고 증가율의 차이점을 분석한다. 이를 위해 한국과 중국의 산업특화지수를 고려한 확률적 변경생산함수를 각각 추정하여 국가...

      본 연구는 한중 제조업에 대한 총요소생산성 증가율을 유도하고 증가율의 차이점을 분석한다. 이를 위해 한국과 중국의 산업특화지수를 고려한 확률적 변경생산함수를 각각 추정하여 국가별 총요소생산성 증가율을 계측하고, 그 구성요인을 분해한다. 여기서 구성요소는 기술적 효율성, 규모의 효율성, 산업특화의 효율성, 기술진보이다. 총요소생산성 증가율을 유도하기 위해 사용된 자료는 6년간(2009년~2014년)의 시계열자료와 한국은 23개 산업 그리고 중국은 27개 중분류산업의 횡단면자료로 구성된 패널자료이다.
      본 연구의 추정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균 기술적 효율성은 한국이 중국에 비해 높지만 효율성의 연평균 증가율은 한국이 정체된 반면에 중국은 향상되었다. 둘째, 규모효과, 산업특화효과, 기술진보는 총요소생산성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셋째, 총요소생산성 증가율은 한국에 비해 중국이 높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광호, "한미 제조업의 생산효율성과 총요소생산성 비교분석" 한국경제통상학회 26 (26): 29-58, 2008

      2 정선영, "정보통신산업의 총요소생산성 국제비교: 기술적 효율성을 감안한 접근방법" 한국경제학회 59 (59): 25-53, 2011

      3 이창근, "수도권 규제 정책은 효과적인가?: SFA 분석의 적용"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8 (48): 229-247, 2013

      4 한광호, "광주·전남 제조업의 총요소생산성과 구성요인" 한국산업경제학회 25 (25): 3091-3112, 2012

      5 박성훈, "경기도와 비경기도 제조업의 총요소생산성과 구성요인의 변화 비교" 경기개발연구원 18 (18): 63-81, 2016

      6 "Yonhap News"

      7 K. Schwab,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2017

      8 Y. Kim, "Productivity and Policy Effects of Regional Industry in Korea" Korea Institute for Industrial Economics and Trade 2009

      9 B. Lee, "New Normal Economy's Appearance in China"

      10 S. Lee, "New Normal Economy's Appearance and Implication in China" Gyeonggi Research Institute 2016

      1 한광호, "한미 제조업의 생산효율성과 총요소생산성 비교분석" 한국경제통상학회 26 (26): 29-58, 2008

      2 정선영, "정보통신산업의 총요소생산성 국제비교: 기술적 효율성을 감안한 접근방법" 한국경제학회 59 (59): 25-53, 2011

      3 이창근, "수도권 규제 정책은 효과적인가?: SFA 분석의 적용"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8 (48): 229-247, 2013

      4 한광호, "광주·전남 제조업의 총요소생산성과 구성요인" 한국산업경제학회 25 (25): 3091-3112, 2012

      5 박성훈, "경기도와 비경기도 제조업의 총요소생산성과 구성요인의 변화 비교" 경기개발연구원 18 (18): 63-81, 2016

      6 "Yonhap News"

      7 K. Schwab,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2017

      8 Y. Kim, "Productivity and Policy Effects of Regional Industry in Korea" Korea Institute for Industrial Economics and Trade 2009

      9 B. Lee, "New Normal Economy's Appearance in China"

      10 S. Lee, "New Normal Economy's Appearance and Implication in China" Gyeonggi Research Institute 2016

      11 "Mining and Manufacturing Industry Yearbook"

      12 D. J. Aigner, "Formulation and Estimation of Stochastic Frontier Production Function Models" 6 : 21-37, 1977

      13 W. Greene, "Fixed and Random Effects in Stochastic Frontier Models" 23 : 7-32, 2005

      14 S. Kim, "Firm Competitiveness in Korea and China" Korea Economic Research Institute 2016

      15 S. C. Kumbhakar, "Estimation and Decomposition of Productivity Change When Production is not Efficient: A Panel Data Approach" 19 : 312-320, 2000

      16 W. Meeusen, "Efficiency Estimation from Cobb-Douglas Production Functions with Composed Error" 18 : 435-444, 1977

      17 "China Industry Economy Statistical Yearbook"

      18 S. Kim, "A Decomposition of Total Factor Productivity Growth in Korean Manufacturing Industries: A Stochastic Frontier Approach" 16 : 269-281,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19-12-01 평가 등재 탈락 (기타)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3 0.32 0.407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