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서양 지리학과 동양인식 = 20세기 전환기 동아시아를 지리적으로 위치짓기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21083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유럽인이 자신들을 동쪽의 타자로부터 구별하는 지리적 통일체를 구성하는 과정에서 아시아라는 이름이 만들어졌음은 이미 잘 알려져 있다. 아시아는 유럽이 자기를 표상하고 유럽을 다른 지역과 구별하기 위한 용어였다. 그렇다면 유럽인들은 아시아를 어떻게 경계짓고 구획하였는가? 동아시아의 역사에 대한 지식이 유럽사회에 전해지고 동아시아와 관련된 사고가 생기기 시작하는 것은 16, 17세기 기독교 선교사들에 의해서였다. 뒤늦게 열강들과의 식민지 경쟁에 뛰어든 독일은 처음에는 경제적 이슈, 즉 원료와 시장에의 접근을 목표로 하였으나, 1884년 토고와 카메룬등 아프리카 지역에 보호령을 확보함으로써 명백히 제국주의 국가로의 길을 걷게 된다. 이들 식민주의자들에게서 지식은 권력으로 받아들여졌으며, 나아가 ‘지리적 지식은 세계권력’으로 받아들여졌다.
      그들이 보기에 다양한 형태로 드러나는 전제주의가 아시아 문명의 정신적 마비의 주된 원인이었으며, 유럽인들은 필요하면 무력을 동원해서라도 이 필연적인 몰락에 처한 아시아를 도와야 했다. 이처럼 비록 아시아라는 개념이, 타자를 매개로한 유럽인들의 자기정체성 구축의 과정에서 처음 만들어진 것이기는 하였지만, 이 한 가지 담론으로만 아시아라는 구성이 지탱되었던 것은 아니었고, ‘상상의 지리’로서의 아시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지리학내에서 지속적으로 사회 다윈주의나 환경 결정론과 같은 지리학 내의 ‘과학적’ 담론이 인류학, 민속학, 역사학 등 주변 분과학문으로의 서술영역의 지속적 확대와 교류가 자리하고 있었다. 동아시아를 규정짓기 위해서 지리학자들은 첫째, 아시아에 대한 지리적 경계를 이론적으로 만들어 내고, 둘째, 식민주의, 사회적 다윈이즘, 환경 결정론 등에 기반을 둔 이론을 만들어 나가며, 세 번째로 인류학, 민속학, 역사학, 경제학 등등으로 식민지에서의 자신들의 연구 범위에 주변 분과 학문들을 포함시켜 지리적 연구의 경계를 확대시켜 나간다.
      번역하기

      유럽인이 자신들을 동쪽의 타자로부터 구별하는 지리적 통일체를 구성하는 과정에서 아시아라는 이름이 만들어졌음은 이미 잘 알려져 있다. 아시아는 유럽이 자기를 표상하고 유럽을 다른 ...

      유럽인이 자신들을 동쪽의 타자로부터 구별하는 지리적 통일체를 구성하는 과정에서 아시아라는 이름이 만들어졌음은 이미 잘 알려져 있다. 아시아는 유럽이 자기를 표상하고 유럽을 다른 지역과 구별하기 위한 용어였다. 그렇다면 유럽인들은 아시아를 어떻게 경계짓고 구획하였는가? 동아시아의 역사에 대한 지식이 유럽사회에 전해지고 동아시아와 관련된 사고가 생기기 시작하는 것은 16, 17세기 기독교 선교사들에 의해서였다. 뒤늦게 열강들과의 식민지 경쟁에 뛰어든 독일은 처음에는 경제적 이슈, 즉 원료와 시장에의 접근을 목표로 하였으나, 1884년 토고와 카메룬등 아프리카 지역에 보호령을 확보함으로써 명백히 제국주의 국가로의 길을 걷게 된다. 이들 식민주의자들에게서 지식은 권력으로 받아들여졌으며, 나아가 ‘지리적 지식은 세계권력’으로 받아들여졌다.
      그들이 보기에 다양한 형태로 드러나는 전제주의가 아시아 문명의 정신적 마비의 주된 원인이었으며, 유럽인들은 필요하면 무력을 동원해서라도 이 필연적인 몰락에 처한 아시아를 도와야 했다. 이처럼 비록 아시아라는 개념이, 타자를 매개로한 유럽인들의 자기정체성 구축의 과정에서 처음 만들어진 것이기는 하였지만, 이 한 가지 담론으로만 아시아라는 구성이 지탱되었던 것은 아니었고, ‘상상의 지리’로서의 아시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지리학내에서 지속적으로 사회 다윈주의나 환경 결정론과 같은 지리학 내의 ‘과학적’ 담론이 인류학, 민속학, 역사학 등 주변 분과학문으로의 서술영역의 지속적 확대와 교류가 자리하고 있었다. 동아시아를 규정짓기 위해서 지리학자들은 첫째, 아시아에 대한 지리적 경계를 이론적으로 만들어 내고, 둘째, 식민주의, 사회적 다윈이즘, 환경 결정론 등에 기반을 둔 이론을 만들어 나가며, 세 번째로 인류학, 민속학, 역사학, 경제학 등등으로 식민지에서의 자신들의 연구 범위에 주변 분과 학문들을 포함시켜 지리적 연구의 경계를 확대시켜 나간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Idea of Asia comes not from Asian himself, but from European. For an European identity and self-consciousness required ‘the others’. The idea that East Asia as a region evolved in the middle of the 19th century in Europe. In the 1870s the german scholar Friedrich Ratzel argued that similar environments manifested similar historical development, and such similarities were due to not race but to environment. He invented a concept “anthropogeography”, which based on the principles of evolution, and placed the geography on a secure scientific basis. He placed three concepts of ‘space’, ‘movement’ and ‘location’ in the foreground as geographical basic concepts. Between Geographers and the colonial administration existed strong ties. Colonial geography in 19th century continued to shape the production of knowledge in the world and academics and politicians accepted the geographical borders, which created by colonial rule. Geographers strengthened colonial movement to gain public prestige and establish themselves as a respected academic discipline. The term ‘East-Asia’ gained currency because of the economic development in this region now. We can have two possible directions for imagining Asia. 1) draw upon the institutional experiences of Asian cultural coexistence to develop new models. and 2) form multilayered, open social organizations and networks linked through regional connections.
      번역하기

      The Idea of Asia comes not from Asian himself, but from European. For an European identity and self-consciousness required ‘the others’. The idea that East Asia as a region evolved in the middle of the 19th century in Europe. In the 1870s the germ...

      The Idea of Asia comes not from Asian himself, but from European. For an European identity and self-consciousness required ‘the others’. The idea that East Asia as a region evolved in the middle of the 19th century in Europe. In the 1870s the german scholar Friedrich Ratzel argued that similar environments manifested similar historical development, and such similarities were due to not race but to environment. He invented a concept “anthropogeography”, which based on the principles of evolution, and placed the geography on a secure scientific basis. He placed three concepts of ‘space’, ‘movement’ and ‘location’ in the foreground as geographical basic concepts. Between Geographers and the colonial administration existed strong ties. Colonial geography in 19th century continued to shape the production of knowledge in the world and academics and politicians accepted the geographical borders, which created by colonial rule. Geographers strengthened colonial movement to gain public prestige and establish themselves as a respected academic discipline. The term ‘East-Asia’ gained currency because of the economic development in this region now. We can have two possible directions for imagining Asia. 1) draw upon the institutional experiences of Asian cultural coexistence to develop new models. and 2) form multilayered, open social organizations and networks linked through regional connection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문제의 제기
      • Ⅱ. 제국주의 정책과 식민지 지리지식의 제도화
      • Ⅲ. 19세기 독일 지리학 연구에 따른 동아시아 분류
      • Ⅳ. 헤트너와 독일 지역지리학의 발전
      • Ⅴ. 맺음말
      • Ⅰ. 문제의 제기
      • Ⅱ. 제국주의 정책과 식민지 지리지식의 제도화
      • Ⅲ. 19세기 독일 지리학 연구에 따른 동아시아 분류
      • Ⅳ. 헤트너와 독일 지역지리학의 발전
      • Ⅴ. 맺음말
      • 참고문헌
      • 〈국문초록〉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진일, "패전과 바이마르 공화국에서의 인구정책적 구상" 한국서양사연구회 (43) : 79-109, 2010

      2 Lautensach, Hermann, "코리아 1,2" 민음사 1998

      3 카즈오 나카무라, "지역과 경관" 선학사 2001

      4 이전, "지리학의 본질 I" 민음사(대우학술총서 번역 109) 1998

      5 안영진, "지리학사" 한울 2001

      6 이희연, "지리학사" 법문사 1991

      7 이용재, "유럽의 탄생" 지식의 풍경 2003

      8 Said, Edward, "오리엔탈리즘" 교보문고 2003

      9 왕후이, "아시아는 세계다" 글항아리 2012

      10 김종규, "라우텐자흐의 지지 및 형태변이론, In 현대지리학의 이론가들" 민음사 1993

      1 이진일, "패전과 바이마르 공화국에서의 인구정책적 구상" 한국서양사연구회 (43) : 79-109, 2010

      2 Lautensach, Hermann, "코리아 1,2" 민음사 1998

      3 카즈오 나카무라, "지역과 경관" 선학사 2001

      4 이전, "지리학의 본질 I" 민음사(대우학술총서 번역 109) 1998

      5 안영진, "지리학사" 한울 2001

      6 이희연, "지리학사" 법문사 1991

      7 이용재, "유럽의 탄생" 지식의 풍경 2003

      8 Said, Edward, "오리엔탈리즘" 교보문고 2003

      9 왕후이, "아시아는 세계다" 글항아리 2012

      10 김종규, "라우텐자흐의 지지 및 형태변이론, In 현대지리학의 이론가들" 민음사 1993

      11 Wittvogel, Karl August, "동양적 전제주의" 법문사 1991

      12 이강원, "근현대 지리학의 아시아 연구 경향과 새로운 의제들" 1 : 2011

      13 아키라 테즈카, "근대 지리학의 개척자들" 한울 1991

      14 사카이 나오키, "[특별기획]염치없는 국민주의" 일본연구센터 (6) : 29-52, 2006

      15 Wisotzki, Emil, "Zeitströmungen in der Geographie" Leipzig 1897

      16 Grimm, Tilemann, "Unsere Erfassung des ostasiatischen Geschichtsprozesses"

      17 Sievers, Wilhelm, "Süd- und Mittelamerika, Bd. 1" Leipzig 1903

      18 Lautensach, Hermann, "Länderkunde. Ein Handbuch zum Stieler" Gotha 1926

      19 Banse, Ewald, "Illustrierte Länderkunde" Braunschweig 1914

      20 Hettner, Alfred, "Grundzüge der Länderkunde" Leipzig 1924

      21 Hettner, Alfred, "Grundbegriffe und Grundsätze der physischen Geographie" 9 : 1903

      22 Osterhammel, Jürgen, "Geschichtswissenschaft jenseits des Nationalstaats" Göttingen 2001

      23 Osterhammel, Jürgen, "Geschichte, Geographie, Geohistorie, In Geschichtsdiskurs, Bd. 3" 1997

      24 Hettner, Alfred, "Geographische Forschung und Bildung" 1 : 1895

      25 Boxer, J. R, "Einige Aspekte der westlichen Geschichtsschreibung über den Fernen Osten" 8 : 1957

      26 Schulz, Hans-Dietrich, "Die deutschsprachige Geographie von 1800 bis 1970" Berlin 1980

      27 Osterhammel, Jürgen, "Die Verwandlung der der Welt. Eine Geschcihte des19. Jahrhunderts" München 2009

      28 Zöllner, Reinhard, "Die Konstruktion “Ostasiens”. Die deutsche und japanische Rolle bei der Entdeckung eines imaginierten Raumes, In Die Verr'umlichung des Welt-Bildes" Stuttgart 2008

      29 Wardenga, Ute, "Die Erde im Buch: Geographische Länderkunde um 1900, In Welt-Räume. Geschichte, Geographie und Globaliseriung seit 1900" Franfurt/M 2005

      30 Heske, Henning, "Der Traum von Afrika. Zur politischen Wissenschaftsgeschichte der Kolonialgeographie" 3 : 1987

      31 Hettner, Alfred, "Das Wesen und die Methoden der geographie" 11 : 1905

      32 Fahlbusch, Michael, "Conservatism, ideology and geography in Germany1920-1950" 8 : 1989

      33 Richthofen, Ferdinand, "China: Ergebnisse eigener Reisen und darauf gegründete Studien" Leipzig 1877

      34 Sievers, "Asien Bd. 2 (경인문화사 영인본)" Leipzig 1904

      35 Zöllner, Reinhard, "Alternative Regionalkonzepte in Ostasien, In Leitbild Europa? Europabilder und ihre Wirkungen in derNeuzeit"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4-16 학회명변경 영문명 : Institute of Asian Culture Studies -> Asian Cultural Studies Research Institute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5 0.55 0.5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8 0.56 0.974 0.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