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초기 기독교의 예수 경배 현상을 마태복음서를 중심으로 사회정치학적 전망에서 해명한다. 초기 기독교는 크게 두 가지 사회정치학적 배경에서 형성되었다. 그 중 하나는 1세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49620
2011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초기 기독교의 예수 경배 현상을 마태복음서를 중심으로 사회정치학적 전망에서 해명한다. 초기 기독교는 크게 두 가지 사회정치학적 배경에서 형성되었다. 그 중 하나는 1세기...
이 연구는 초기 기독교의 예수 경배 현상을 마태복음서를 중심으로 사회정치학적 전망에서 해명한다.
초기 기독교는 크게 두 가지 사회정치학적 배경에서 형성되었다. 그 중 하나는 1세기 로마 제국의 통치와 통치 이데올로기 선전이다. 1세기 중후반 유대-로마 전쟁 이후 베스파시아누스는 이른바 역성 혁명을 달성하였고, 그와 그의 후계자들은 자신의 권력을 정당화할 여러 통치 이데올로기 및 선전 매체를 개발하고 이를 시행하였다. 초기 기독교는 로마 제국이라는 정치적 실체의 통치와 로마 제국의 통치 이데올로기 선전, 나아가 황제제의라는 정치-종교적 배경 속에서 '예수 경배'라는 대안적인 특정한 제의를 제정하고 이를 통하여 자신들의 신학적 사회학적 상징 세계를 구축하였다.
또한 '예수 경배'는 초기 기독교인들에게 당시 형성기의 유대교와 경쟁하던 상태에서 기독교인만의 독특한 종교 사회적 경계를 설정하는 제의로서 기능하였다. 초기 기독교인들은 '예수 경배'라는, 형성기의 유대교인들에게는 이질적인 제의를 통해 자신들의 신앙과 삶이 어떠한 형태와 규범 속에서 형성되어야 하는지를 발견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서 공동체의 경계를 설정하는 한 편, 공동체의 에토스와 외부 세계에 대한 종교적 이해 또한 발전시켰다.
이와 같이 이 연구는 마태복음서를 중심으로 '예수 경배'라는 초기 기독교의 독특한 현상의 신학적 언명 배후의 사회정치학적 함의를 해명함으로써 초기 기독교의 탄생과 전개, 그리고 본질에 대한 접근을 시도한다. 이 과정에서 로마의 통치 이데올로기와 형성기 유대교의 특징 또한 새롭게 조명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