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규모 절토 비탈면을 따라 발생한 인장균열이 약 0.5m 정도의 폭으로 비탈면과 유사한 방향으로 뚜렷하게 발생하여 나타나며 이와 수직방향으로 발생된 다수의 균열로 절토에 따른 비탈면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336146
2015
-
500
학술저널
204-204(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대규모 절토 비탈면을 따라 발생한 인장균열이 약 0.5m 정도의 폭으로 비탈면과 유사한 방향으로 뚜렷하게 발생하여 나타나며 이와 수직방향으로 발생된 다수의 균열로 절토에 따른 비탈면 ...
대규모 절토 비탈면을 따라 발생한 인장균열이 약 0.5m 정도의 폭으로 비탈면과 유사한 방향으로 뚜렷하게 발생하여 나타나며 이와 수직방향으로 발생된 다수의 균열로 절토에 따른 비탈면 붕괴방지를 위한 인장균열 원인 및 상세조사를 통한 비탈면 보강계획을 수립하였다. 비탈면 지층현황 분석을 위한 시추조사, 전기비저항탐사, 토모그래피, 시추공영상촬영(BIPS), 지표지질조사를 통하여 지층분포, 불연속면의 방향, 파쇄대 등을 파악하고 특히 상부 역암층과 하부 회장암 경계부에 열수변질 작용에 의한 점토대가 존재하고 있음이 조사되었다.
본 연구는 인장균열이 발생한 비탈면에 대한 보강은 임계파괴면 파악을 위한 시추조사 및 탐사, 파괴규모에 따른 보강공법 선정, 절토 법면의 지층을 고려한 앵커의 지지 판넬 적용 등으로 인장균열 및 파괴규모를 고려한 보강사례로서 향후 비탈면 시공 중 발생할 수 있는 위험요소에 대한 조사와 보강방안 선정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