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음식관광이 농어촌 지역의 고령자나 여성에게 새로운 취업 기회를 스스로 창출하게 하는 사업과 활동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음식과 관광이 융합된 창의관광으로 각광받고 있다는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417071
2019
Korean
음식관광 ; 식재료 ; 실효적 지배 ; 지역경제 ; 문화유산 ; 음식문화관광콘텐츠 ; 향토음식 ; 창의관광 ; food tourism ; ingredients ; effective dominance ; local economy ; cultural heritage ; food culture tourism contents ; local food ; creative tourism
KCI등재
학술저널
93-126(34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음식관광이 농어촌 지역의 고령자나 여성에게 새로운 취업 기회를 스스로 창출하게 하는 사업과 활동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음식과 관광이 융합된 창의관광으로 각광받고 있다는 ...
본 연구는 음식관광이 농어촌 지역의 고령자나 여성에게 새로운 취업 기회를 스스로 창출하게 하는 사업과 활동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음식과 관광이 융합된 창의관광으로 각광받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울릉도·독도 지역의 식재료를 활용한 음식관광을 활성화 하여 지역경제 및 주민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음식이 최근 국가 브랜드 및 이미지를 형성하는 핵심적인 문화관광콘텐츠로서 음식관광자원을 중심으로 관광객에게 문화관광체험 기회를 제공하는 문화 매개체의 기능을 담당함으로써 지역에 기여한다는 차원에서 울릉도·독도 지역의 식재료를 활용하는 음식관광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특히 향토음식은 지역성을 기반으로 장소를 상품화하고 지역의 농수특산물을 활용함으로써 지역경제 활성화와 주민들의 지역에 대한 정체성․소속감․자긍심 등을 확립시켜 주고 정서적 안정을 도모하는 효과적인 수단이 된다는 점을 적극 고려하였다. 이에 따라 울릉도·독도 지역의 식재료를 활용한 향토음식을 상품화하여 산업화하는 것은 울릉도·독도 지역의 농수산물 소비촉진과 고용창출에 기여함과 동시에 연관 산업에 대한 파급효과가 크고 사라져 가는 음식문화 유산을 복원하고 보존하는데도 기여한다는 점을 고려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자료수집 방법으로 기존 선행연구들이 분석한 을릉도와 독도 관련 실증분석 결과, 각종 문서와 자료를 활용하였다. 특히, 울릉도와 독도관련 정책보고서, 정기간행물, 단행본, 통계자료, 신문기사 등을 참고하여 탐색적으로 문헌고찰하였다. 미래 울릉도와 독도관광 활성화 및 실효적 지배를 공고히 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뿐만 아니라 지역경제 활성화를 꾀하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다는 차원에서 음식관광 활성화 관련 과제 해결에 기여할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한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고유의 영토인 울릉도와 독도지역의 식재료를 활용한 음식관광 활성화 방안을 심도 있게 분석하는데 집중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considered that food tourism could enable businesses and activities to create new employment opportunities for the elderly and women in rural areas. Considering the fact that food tourism has recently been in the spotlight, it aims to revit...
This study considered that food tourism could enable businesses and activities to create new employment opportunities for the elderly and women in rural areas. Considering the fact that food tourism has recently been in the spotlight, it aims to revitalize this epicurean genre of tourism using ingredients from Ulleungdo and Dokdo. This aimed to revitalize the local economy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residents. It is theoretically based on the fact that food has recently become a core aspect of cultural tourism that form a national brand and image. This study focused on providing tourists with cultural tourism experiences centering on the food tourism resources of Ulleungdo and Dokdo. In order to contribute to the region by serving as a cultural medium, this study intends to suggest a way to revitalize food tourism that uses ingredients from the Ulleungdo and Dokdo regions. In particular, local food was considered to commercialize places based on locality and to utilize local marine and agricultural products. Through this, it actively utilizes the local economies of Ulleungdo and Dokdo, establishes the identity, belonging, and pride of the residents, and is an effective means to promote emotional stability.
The commercial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of local foods using Ulleungdo and Dokdo will contribute to the promotion of Ulleungdo and Dokdo's agricultural and fisheries’ consumption and the creation of further employment. It will also contribute to the restoration and preservation of food culture heritage, which has large effects on related industri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used various documents and data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of Ulleungdo and Dokdo, which were analyzed by previous studies. In particular, the literature was explored with reference to policy reports related to Ulleungdo and Dokdo, periodicals, books, statistical data, and newspaper articles.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greatly to the promotion of the local economy as well as provide a plan to strengthen the future Ulleungdo’s and Dokdo’s tourism. In addition, it is expecte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contributing to solving the challenges related to the further generation of food tourism. Considering the above, this study focused on in-depth analysis on the ways to activate food tourism using ingredients from Korea's outlying territories of Ulleungdo and Dokdo.
참고문헌 (Reference)
1 농림축산식품부, "향토음식자원을 활용한 음식관광 활성화를 위한 조사연구" 농림축산식품부 1-296, 2014
2 김수인, "향토음식 특화 거리의 관광상품화와 활성화 방안 연구 - 담양 죽순 푸드빌리지를 중심으로 -"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8 (28): 348-355, 2013
3 이웅규, "해양음식 관광콘텐츠 개발을 통한 섬 관광 활성화 방안 고찰"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7 (17): 127-135, 2019
4 "한국학중앙연구원 홈페이지"
5 김재곤, "축제이벤트에서의 전통향토 음식체험관광에 대한 관광동기가 기대도와 지역애착 및 관광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1 (11): 434-448, 2011
6 서용석, "진지성 여가이론으로 본 일상 속 식도락과 관광" 한국관광학회 37 (37): 289-308, 2013
7 장윤재, "정서적 허기인가 정보와 오락의 추구인가 - 먹방 · 쿡방 시청동기와 시청경험, 만족도의 관계" 한국방송학회 30 (30): 152-185, 2016
8 이재하, "정부의 독도개발정책 문제점과 미래대안 모색" 한국지역지리학회 19 (19): 282-300, 2013
9 이예균, "일본은 죽어도 모르는 독도 이야기 88" 예나루 12-319, 2005
10 손은미, "음식소비동기와 음식관련 체험활동 선호도가 음식관광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 제주관광객대상으로"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8 (28): 233-251, 2016
1 농림축산식품부, "향토음식자원을 활용한 음식관광 활성화를 위한 조사연구" 농림축산식품부 1-296, 2014
2 김수인, "향토음식 특화 거리의 관광상품화와 활성화 방안 연구 - 담양 죽순 푸드빌리지를 중심으로 -"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8 (28): 348-355, 2013
3 이웅규, "해양음식 관광콘텐츠 개발을 통한 섬 관광 활성화 방안 고찰"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7 (17): 127-135, 2019
4 "한국학중앙연구원 홈페이지"
5 김재곤, "축제이벤트에서의 전통향토 음식체험관광에 대한 관광동기가 기대도와 지역애착 및 관광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1 (11): 434-448, 2011
6 서용석, "진지성 여가이론으로 본 일상 속 식도락과 관광" 한국관광학회 37 (37): 289-308, 2013
7 장윤재, "정서적 허기인가 정보와 오락의 추구인가 - 먹방 · 쿡방 시청동기와 시청경험, 만족도의 관계" 한국방송학회 30 (30): 152-185, 2016
8 이재하, "정부의 독도개발정책 문제점과 미래대안 모색" 한국지역지리학회 19 (19): 282-300, 2013
9 이예균, "일본은 죽어도 모르는 독도 이야기 88" 예나루 12-319, 2005
10 손은미, "음식소비동기와 음식관련 체험활동 선호도가 음식관광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 제주관광객대상으로"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8 (28): 233-251, 2016
11 다니구찌기요미, "음식관련 성격특성과 음식관광체험 만족도 및 충성도간의 구조적 관계 연구: 2015 슬로푸드 국제페스티벌 방문객을 중심으로"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5 (25): 181-200, 2016
12 민계홍, "음식관광박람회 관람객의 관람동기 요인이 만족도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대한관광경영학회 28 (28): 375-391, 2013
13 박선희, "울릉도・독도 관광현황과 과제" 한국이사부학회 6 : 101-147, 2013
14 서부일, "울릉도 특산 산나물에 대한 본초학적 고찰" 대한본초학회 27 (27): 31-36, 2012
15 박영선, "울릉도 지역 주부들의 전통음식과 금기식품에 대한 인식" 한국조리과학회 10 (10): 151-160, 1994
16 김지숙, "울릉도 어촌지역의 오징어의 명칭과 의미 분화 연구" 한국사회언어학회 21 (21): 83-111, 2013
17 김재산, "울릉도 7종의 슬로푸드 선보였다"
18 울릉군청, "울릉군청 문화관광 정보"
19 박재형, "울릉군 1만명 붕괴…인구수 9975명"
20 이인선, "여러 가지 산채의 성분분석 및 아질산염 소거능" 한국식생활교육학회 2 (2): 3-14, 2011
21 김규민, "야생 및 재배 참취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2 (22): 567-576, 2015
22 이수진, "신한류콘텐츠 음식관광 활성화 방안" 경기연구원 1-212, 2010
23 최종원, "식이성 고지혈 및 비만에 대한 산마늘 추출물의 효과" 한국생약학회 36 (36): 109-115, 2005
24 권미영, "식도락 관광객의 개인적 특성, 음식관광 활동, 만족도의 경로분석을 통한 사후행동의도 결정요인 연구" 산업경영연구소 36 (36): 143-161, 2013
25 최영준, "시청자는 왜 TV먹방 (쿡방) 프로그램에 열광하는가? : 정치경제학적 접근과 스트레스 해소에 대한 고찰"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44) : 121-150, 2017
26 이상원, "세계음식관광박람회 경연참가자의 동기와 관여도 및 자아성취감에 관한 연구" 한국관광연구학회 29 (29): 17-35, 2015
27 정진철, "산마늘의 식품 성분과 수확 후 생리적 특성" 한국원예학회 23 (23): 164-169, 2005
28 김진영, "산마늘의 부위별 성분분석 및 생리활성 평가" 한국식품과학회 44 (44): 100-105, 2012
29 이학주, "산마늘(Allium victorialis)의 추출성분" 한국산림과학회 96 (96): 620-624, 2007
30 김지숙, "민족생활어 어촌 생활어 성과와 활용 방안 -3년의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한국방언학회 (25) : 61-94, 2017
31 이건만, "문화적 계급지배와 교육불평등 : Pierre Bourdieu 문화재생산이론의 음미" 한국교육사회학회 16 (16): 111-139, 2006
32 김지숙, "동해안 어촌 지역의 언어 문화 연구" 인문사회과학연구소 19 (19): 29-55, 2018
33 유영준, "독도와 연계한 울릉도의 에듀테인먼트 관광활성화 방안 연구" 대한관광경영학회 22 (22): 177-197, 2007
34 이웅규, "농어촌 지역활성화를 위한 음식관광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섬)학회 29 (29): 39-62, 2017
35 최정운, "국내 음식관광 활성화를 위한 사이코-컬리너리(Psycho-Culinary) 척도 개발 연구"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4 (24): 17-43, 2015
36 "국가법령정보센터 홈페이지"
37 민웅기, "관광자의 소비문화와 관광목적지 이미지의 담론 연구 - 관광지의 장소 마케팅을 위한 탐색적 논의 -" 관광연구소 21 (21): 61-82, 2009
38 안성식, "관광산업에 있어서 음식요인이 관광지 만족 및 관광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3 (23): 63-86, 2011
39 이영주, "강원도 음식관광 활성화 방안 연구" 강원발전연구원 1-275, 2008
40 정헌희, "[EBS 한국기행] 맛의 방주 발자취를 따라 ‘울릉도, 섬말나리를 아시나요?’"
41 Hjalager, A. M., "Tourism and Gastronomy" Routledge 35-49, 2003
42 Hall, C. M., "Rural Wine and Food Tourism Cluster and Network Development" 26 : 149-164, 2005
43 Boyne, S., "Policy, Support and Promotion for Food-related Tourism Initiatives : A Marketing Approach to Regional Development" 14 (14): 131-154, 2003
44 Kim, W. B., "Plant Regeneration From Bulb Explants of Allium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Makino" 23 (23): 123-127, 1996
45 Tikkanen, I., "Maslow's Hierarchy and Food Tourism in Finland: Five Cases" 109 (109): 721-734, 2007
46 Geyzena, A., "Innovative Traditions in Swiftly. Transforming Foodscapes: an Exploratory Essay" 25 : 47-52, 2012
47 Choi, S. T., "Growth Environment and Nutritional Evaluation of Native Allium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in Ulrung Island" 36 (36): 502-509, 1993
48 Gaztelumendi, I., "Global Trends in Food Tourism" WTO World Tourism Organization 1-25, 2012
49 UNWTO, "Global Report on Food Tourism" World Tourism Organizatio 1-68, 2012
50 Diaconescu, D. M., "Gastronomic Tourism–Option for the Development of Local Communities" 8 (8): 42-43, 2013
51 Getz, D., "Foodies and Food Tourism" Goodfellow Publishers 11-256, 2014
52 Sims, R., "Food, Place and Authenticity: Local Food and the Sustainable Tourism Experience" 17 (17): 321-336, 2009
53 Hall, C. M., "Food Tourism Around the World" Routledge 13-36, 2004
54 Mitchell, R., "Food Tourism Around the World" Routledge 72-92, 2004
55 Nestle, M., "Food Politics: How the Food Industry Influences Nutrition and Health(Vol.3)" Univ of California Press 12-534, 2013
56 EBS, "EBS <한국기행>에서는 맛의 방주 제2부 ‘울릉도, 섬말나리를 아시나요?’"
57 Choi, S. T., "Dormancy Physiology, Softening Culture and Evaluation of Nutrition Value in the Ulrung-native Allium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36 (36): 495-501, 1993
58 Dittmer, P. R., "Dimensions of the Hospitality Industry" John Wiley and Sons 12-418, 2001
59 Long, L. M., "Culinary tourism: A folkloristic perspective on eating and otherness" 55 (55): 181-204, 1998
60 Williams, M. J., "Aquaculture and Sustainable Food Security in the Developing World, Sustainable Aquaculture" John Wiley & Sons, Inc 15-51, 1997
61 박혜진, "An Authentic and Narrative Approach to Introduce Ulleung Island to International Audience"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62 Ottenbacher, M., "A Case Study of a Culinary Tourism Campaign in Germany: Implication for Strategy Making and Successful Implementation" 37 (37): 3-28, 2013
새만금 간척지 곰솔과 졸참나무 수림대의 초기 수고 생장 모형 추정
협력적 계획 접근법에 따른 독도관리시책의 발전방향 고찰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2 | 0.42 | 0.4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4 | 0.43 | 0.573 | 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