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공공의 주택지원을 받지 못하는 싱글맘 가족에 대하여 그들의 주거수준 향상을 위한 방안으로 쉐어하우스에 대하여 논의한다. 일본 사례 연구를 통해 싱글맘 가족 쉐어하우스는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780747
2021
-
595
KCI등재
학술저널
45-59(15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공공의 주택지원을 받지 못하는 싱글맘 가족에 대하여 그들의 주거수준 향상을 위한 방안으로 쉐어하우스에 대하여 논의한다. 일본 사례 연구를 통해 싱글맘 가족 쉐어하우스는 ...
이 연구는 공공의 주택지원을 받지 못하는 싱글맘 가족에 대하여 그들의 주거수준 향상을 위한 방안으로 쉐어하우스에 대하여 논의한다. 일본 사례 연구를 통해 싱글맘 가족 쉐어하우스는 공간과 노동력 쉐어를 통해 주거비 절감과 상호 돌봄이 이루어지고 있는 운영상의 특징을 도출하였다. 또, 싱글맘 가족에게 필요한 보육원이나 일자리를 제공하는 상업시설이 쉐어하우스 건물에서 함께 운영되고 있었다. 위 특징을 바탕으로 한국 싱글맘 가족의 쉐어하우스 입주의사와 희망하는 주거지원서비스를 분석하였다. 가장 선호하는 주거지원은 ‘주거비와 생활비의 경감’, ‘자녀의 방과 후 돌봄서비스’였다. 첫째 자녀의 연령이 10대 후반으로 갈 수록 ‘정보교환 및 상호지지관계 형성’을, 첫째 자녀의 연령이 어릴수록 ‘가사지원서비스’를 선택하였다. 희망하는 주거지원서비스는 가족의 생애주기에 따라 달라지고 있었다. 분석결과를 통해 싱글맘 가족 쉐어하우스를 도입할 경우 고려해야 할 사항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먼저, 쉐어를 통해 주거비를 절감하지만 주거 수준은 저하되지 않는 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 다음으로, 입주자간 커뮤니티를 통해 가사 및 돌봄을 상호협력하는 방안이 도입되어야 한다. 외부인력을 통한 가사 및 돌봄은 주거비를 향상시키므로 입주자간 상호협력과 절충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주거서비스를 발굴하여 쉐어하우스의 입주율을 높이면서도 싱글맘 가족의 복지도 실현할 수 있는 모델 개발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discusses shared housing as an option for single-mother families who are not subject to any public housing support to raise their housing standards. Based on a study done in Japan, shared houses for single-mother families had operational ch...
This study discusses shared housing as an option for single-mother families who are not subject to any public housing support to raise their housing standards. Based on a study done in Japan, shared houses for single-mother families had operational characteristics with a drop in housing cost and mutual care through sharing of space and labor. Besides, commercial facilities that provide jobs for single mothers and nursery schools for children were in the same building as the shared housing. An analysis surveyed the intent of single mothers moving into the shared house and their desire for housing support services. The most desired living assistance was a reduction in housing and living costs, followed by childcare service after school. For single mothers with their first child closer to their late teens, information exchange and forming mutual support relationship, and single mothers with younger children picked house chores support service. The housing supports the surveyed families wanted varied depending on the lifecycle of the family. Based on the analysis, the study proposed a method to implement shared housing for single mothers. First, a measure to reduce housing costs but not to lower living standards must be introduced. Second, a measure for cooperation in house chores and care via a resident community must be introduced. An outside force does any house chores and care services would raise the living cost, which means it must be compensated through cooperation among residents. Lastly, various types of shared house model which includes various support services must be developed to raise the move-in rate of shared housing and realize single-mother families welfare.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정신, "한부모가족의 생활지원 주거대안 - 코하우징을 중심으로" 가정과삶의질학회 22 (22): 129-139, 2004
2 여성가족부, "한부모가족 지원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2019
3 김진수, "한부모가구를 위한 집합주거의 기본계획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7 (7): 83-90, 2009
4 이한나, "한부모 가족의 주거이력에 관한 연구 -한부모 형성과정의 주거경험을 중심으로-" 한국주거환경학회 17 (17): 67-81, 2019
5 김승희, "한부모 가족 형성과정에서 주거상태 변화와 주거이동 유형에 관한 연구" 대한부동산학회 36 (36): 167-187, 2018
6 이한나, "한부모 가족 형성과정에서 점유형태 변화와 시기별 특성 분석" 한국주거환경학회 16 (16): 41-55, 2018
7 조민정, "일본 오사카시 모자생활지원시설의 공간이용 및 운영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67) : 145-156, 2019
8 김학주, "유자녀가구 유형별 빈곤의 사회경제적 특성연구: 남성한부모가구, 여성한부모가구, 양부모가구간 비교분석" 한국인구학회 29 (29): 73-87, 2006
9 ⽇⾼紗彩, "母⼦世帯向けシェアハウスの建築計画的特徴と暮らしからみたその評価" (99) : 84-89, 2017
10 葛西リサ, "母⼦世帯向けシェアハウスの全国動向-運営主体の実体と建物、家賃と付帯サービスの⽅法" (103) : 177-186, 2018
1 최정신, "한부모가족의 생활지원 주거대안 - 코하우징을 중심으로" 가정과삶의질학회 22 (22): 129-139, 2004
2 여성가족부, "한부모가족 지원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2019
3 김진수, "한부모가구를 위한 집합주거의 기본계획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7 (7): 83-90, 2009
4 이한나, "한부모 가족의 주거이력에 관한 연구 -한부모 형성과정의 주거경험을 중심으로-" 한국주거환경학회 17 (17): 67-81, 2019
5 김승희, "한부모 가족 형성과정에서 주거상태 변화와 주거이동 유형에 관한 연구" 대한부동산학회 36 (36): 167-187, 2018
6 이한나, "한부모 가족 형성과정에서 점유형태 변화와 시기별 특성 분석" 한국주거환경학회 16 (16): 41-55, 2018
7 조민정, "일본 오사카시 모자생활지원시설의 공간이용 및 운영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67) : 145-156, 2019
8 김학주, "유자녀가구 유형별 빈곤의 사회경제적 특성연구: 남성한부모가구, 여성한부모가구, 양부모가구간 비교분석" 한국인구학회 29 (29): 73-87, 2006
9 ⽇⾼紗彩, "母⼦世帯向けシェアハウスの建築計画的特徴と暮らしからみたその評価" (99) : 84-89, 2017
10 葛西リサ, "母⼦世帯向けシェアハウスの全国動向-運営主体の実体と建物、家賃と付帯サービスの⽅法" (103) : 177-186, 2018
11 葛西リサ, "住まい+ケアを考える-シングルマザー向けシェアハウスの多様なカタチ" 海道清信 2018
12 葛西リサ, "ケア相互補完型集住への潜在的ニーズの把握と普及に向けた課題-地域に住み続けるためのケアと住まいの⼀体的供給の可能性" (42) : 191-202, 2016
13 Mincer, J., "Family Migration Decisions" 86 (86): 749-773, 1978
14 여성가족부, "2018년한부모가족 실태조사" 2018
용인시 역세권 아파트 매매가격 결정요인 분석 : 분당선과 신분당선을 중심으로
지역축제와 귀농 · 귀촌의사증가 관계성에 대한 연구 : 평창군 지역축제를 중심으로
유형별 도시공원 접근성이 주택 가격에 미치는 영향 : 산지형 도시공원과 평지형 도시공원을 중심으로
혁신도시 근접도시의 주거환경만족 : 전북혁신도시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 | 0.8 | 0.8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7 | 0.86 | 0.868 | 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