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위암에서 종양 크기의 임상적 의의 = Contents : Clinical significance of tumor size in Gastric cancer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배경 및 목적 : 현재까지 위암의 예후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인자는 종양의 침윤 깊이와 림프절 전이여부 이지만 이밖에 종양크기가 예후를 결정한다는 보고가 있다. 또한 최근 조기위암에서 내시경적 절제술의 빈도가 증가하고 있는데, 이에 대한 적응 증을 결정하는데 종양 크기가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위암에서 종양 크기의 예후적 중요성 및 림프절 전이와의 관련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2년부터 2002년까지 고려대학교 병원에서 근치절제술을 시행 받은 위암 1기에서 3기까지의 92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다변량 위험도 비교분석의 결과로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종양 크기의 기준 값을 구하였고 이를 기준으로 두 군으로 나누어 임상병리학적 인자와의 관련성 및 예후적 의의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또한 림프절 전이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종양 크기의 기준 값을 ROC curve 를 사용하여 전체 및 각 종양 병기(pT)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결과 : 다 변량 위험도 분석상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종양 크기의 기준 값은 7 cm 이었으며 이를 기준으로 두 군으로 나누어 임상 병리학적 특성을 비교한 결과 종양의 위치, 침윤 깊이, 림프절 전이 및 세포 분화도 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다 변량 생존 분석 결과 나이, 침윤 깊이, 종양 크기 및 림프절 전이가 독립적으로 유의한 예후인자였다. 종양크기와 림프절 전이와의 관련성에서는 전체 환자군 및 종양 병기 1기(pT1), 3기(pT3)에서 유의하였으며, 이를 결정하는 기준 값은 전체 환자군 3.3 cm, 종양 병기 1기 1.5 cm, 종양 병기 3기 6 cm이었다. 결론 : 위암에서 종양 크기는 의미 있는 예후 인자이며 림프절 전이 여부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인자이다. 따라서 조기위암에서 내시경적 절제술 시행 여부 및 진행성 위암에서 향후 치료 방침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참고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배경 및 목적 : 현재까지 위암의 예후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인자는 종양의 침윤 깊이와 림프절 전이여부 이지만 이밖에 종양크기가 예후를 결정한다는 보고가 있다. 또한 최근 조기위암...

      배경 및 목적 : 현재까지 위암의 예후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인자는 종양의 침윤 깊이와 림프절 전이여부 이지만 이밖에 종양크기가 예후를 결정한다는 보고가 있다. 또한 최근 조기위암에서 내시경적 절제술의 빈도가 증가하고 있는데, 이에 대한 적응 증을 결정하는데 종양 크기가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위암에서 종양 크기의 예후적 중요성 및 림프절 전이와의 관련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2년부터 2002년까지 고려대학교 병원에서 근치절제술을 시행 받은 위암 1기에서 3기까지의 92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다변량 위험도 비교분석의 결과로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종양 크기의 기준 값을 구하였고 이를 기준으로 두 군으로 나누어 임상병리학적 인자와의 관련성 및 예후적 의의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또한 림프절 전이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종양 크기의 기준 값을 ROC curve 를 사용하여 전체 및 각 종양 병기(pT)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결과 : 다 변량 위험도 분석상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종양 크기의 기준 값은 7 cm 이었으며 이를 기준으로 두 군으로 나누어 임상 병리학적 특성을 비교한 결과 종양의 위치, 침윤 깊이, 림프절 전이 및 세포 분화도 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다 변량 생존 분석 결과 나이, 침윤 깊이, 종양 크기 및 림프절 전이가 독립적으로 유의한 예후인자였다. 종양크기와 림프절 전이와의 관련성에서는 전체 환자군 및 종양 병기 1기(pT1), 3기(pT3)에서 유의하였으며, 이를 결정하는 기준 값은 전체 환자군 3.3 cm, 종양 병기 1기 1.5 cm, 종양 병기 3기 6 cm이었다. 결론 : 위암에서 종양 크기는 의미 있는 예후 인자이며 림프절 전이 여부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인자이다. 따라서 조기위암에서 내시경적 절제술 시행 여부 및 진행성 위암에서 향후 치료 방침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참고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the tumor size on survival of gastric cancer patients who underwent curative resection and to evaluate relationships between tumor size and lymph node metastasis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studied 928 gastric cancer patients who underwent curative resection at Korea University Medical Center from 1992 to 2002. The cut-off value of tumor size was decied as the smallest value that showed significantly survival difference by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The clinicopathological factors associated with tumor size were analyzed by using univatiate and multivariate analyses. And ROC curves were applied to measure cut-off value of tumor size that impact on lymph node metastasis. Results: In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 the cut-off value of tumor size was 7cm that impact on prognosis. The tumor location, depth of invasion, lymph node metastasis, and cell differenciatio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tumor size. The Age, depth of invasion, tumor size and lymph node metastasis were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s by using multivariate analyses. In Releavance between the tumor size and lymph node metastasi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stage I, III, and whole patients group. And the each cut-off values were 1.5cm, 6cm, and 3.3cm Conclusion: Tumor size was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 and important predictive value for lymph node metastasis in gastric cancer. So tumor size will useful parameter to perform EMR in early gastric cancer or to plan further management of advanced gastric cancer.
      번역하기

      Purpos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the tumor size on survival of gastric cancer patients who underwent curative resection and to evaluate relationships between tumor size and lymph node metastasis Materials and Met...

      Purpos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the tumor size on survival of gastric cancer patients who underwent curative resection and to evaluate relationships between tumor size and lymph node metastasis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studied 928 gastric cancer patients who underwent curative resection at Korea University Medical Center from 1992 to 2002. The cut-off value of tumor size was decied as the smallest value that showed significantly survival difference by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The clinicopathological factors associated with tumor size were analyzed by using univatiate and multivariate analyses. And ROC curves were applied to measure cut-off value of tumor size that impact on lymph node metastasis. Results: In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 the cut-off value of tumor size was 7cm that impact on prognosis. The tumor location, depth of invasion, lymph node metastasis, and cell differenciatio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tumor size. The Age, depth of invasion, tumor size and lymph node metastasis were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s by using multivariate analyses. In Releavance between the tumor size and lymph node metastasi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stage I, III, and whole patients group. And the each cut-off values were 1.5cm, 6cm, and 3.3cm Conclusion: Tumor size was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 and important predictive value for lymph node metastasis in gastric cancer. So tumor size will useful parameter to perform EMR in early gastric cancer or to plan further management of advanced gastric cancer.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