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권력-지식관계에 중점을 둔 푸코의 계보학적 관점을 적용하여 일본 사회복지학 형성의 특성을 규명하는 것이다. 즉 일본의 사회복지학이 연구자들의 개인 경험과 사회복...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478647
2009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29-153(25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권력-지식관계에 중점을 둔 푸코의 계보학적 관점을 적용하여 일본 사회복지학 형성의 특성을 규명하는 것이다. 즉 일본의 사회복지학이 연구자들의 개인 경험과 사회복...
이 연구의 목적은 권력-지식관계에 중점을 둔 푸코의 계보학적 관점을 적용하여 일본 사회복지학 형성의 특성을 규명하는 것이다. 즉 일본의 사회복지학이 연구자들의 개인 경험과 사회복지 관련 사회상황에서 권력-지식관계가 작용하여 형성된 과정에서 드러난 특성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에서 대표 연구자로 인정받은 일본 사회복지학 연구자 26명의 저술 40권을 원자료 삼아 분석에 필요한 기본 자료를 만들었다. 이렇게 만든 기본 자료로부터 671개 개념을 추출하여 연구자의 개인적 경험, 사회복지 관련 사회적 상황, 사회복지학 형성 3개 영역으로 나누어 범주화해각 영역의 특성을 개괄하여 살펴보았다.
아울러 이 범주화를 통해 일본 사회복지학 형성의 계보학적 특성으로, 1) 연구자 개인의 경험과 사회복지학의 이분법적 형성, 2) 선교사 활동과 사회복지 전개, 3) 사회복지 본질 찾기와 연구자계보 형성, 4) 전쟁 수행 및 경제의 부침과 사회복지의 굴곡, 5) 사회복지 확대와 사회복지학의 비대화를 이끌어내 해석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formation of Japanese Social Welfare Studies based on Michel Foucault's Genealogical perspective related with power-knowledge relationships. Namely, this study reveals that Japanese Social Welfare Studies has been built ...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formation of Japanese Social Welfare Studies based on Michel Foucault's Genealogical perspective related with power-knowledge relationships. Namely, this study reveals that Japanese Social Welfare Studies has been built through interactions of power-knowledge relationships in the context of scholars' individual experience and social circumstances.
For the study, 40 literary works of Japanese Social Welfare Studies written by 26 authors have been selected to construct the resourceful main data. From the main data, 671 concepts have been abstracted and shortly introduced in 3 parts: authors' individual experiences, social circumstances related with Social Welfare Studies, and composed contents of Social Welfare Studies.
The resulted Genealogy of Japanese Social Welfare Studies from the categorization is emerged and analyzed as follows: 1) scholars' individual experience and dichotomous formation of Social Welfare Studies, 2) missionary's activities and development of social welfare, 3) searching essence of social welfare and formation of scholars' genealogy, 4) prosecution of wars including ups and downs of economy and social welfare, and 5) expansion of social welfare and enlarging of Social Welfare studies.
목차 (Table of Contents)
사회복지학에서의 실행연구(Action research) 적용과 유용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