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손정모, "한반도 남부 해안에 분포하는 주상절리의 형성 메커니즘" 조선대학교 2016
2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줄포․위도․하왕등도도폭 지질조사보고서(1:50,000)" 한국지질자원연구원 81-, 2013
3 안건상, "전라남도 신안군 증도에 분포하는 주상절리의 특징" 한국도서(섬)학회 27 (27): 157-173, 2015
4 정형은, "전라남도 순천․여수지역 안산암에서 발달된 주상절리" 75-76, 2014
5 손정모, "전라남도 고흥지역에 분포하는 주상절리에 관한 연구" 한국지구과학회 37 (37): 332-345, 2016
6 안건상, "우리나라 주상절리에 대한 연구 전략" 한국지구과학회 35 (35): 501-517, 2014
7 최석원, "변산반도 죽막리에 분포하는 페퍼라이트 산출상태와 생성모델" 297-308, 2001
8 조민호, "변산반도 국립공원 내 산성화산암에 발달하는 주상절리의 특징" 조선대학교 2017
9 조규성, "변산반도 격포 적벽강 일대 야외지질 학습자료 개발 및 적용" 한국지구과학회 33 (33): 658-671, 2012
10 전승수, "백악기 격포리층(전라북도 부안군): 호저 급경사 삼각주 퇴적층" 31 (31): 215-236, 1995
1 손정모, "한반도 남부 해안에 분포하는 주상절리의 형성 메커니즘" 조선대학교 2016
2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줄포․위도․하왕등도도폭 지질조사보고서(1:50,000)" 한국지질자원연구원 81-, 2013
3 안건상, "전라남도 신안군 증도에 분포하는 주상절리의 특징" 한국도서(섬)학회 27 (27): 157-173, 2015
4 정형은, "전라남도 순천․여수지역 안산암에서 발달된 주상절리" 75-76, 2014
5 손정모, "전라남도 고흥지역에 분포하는 주상절리에 관한 연구" 한국지구과학회 37 (37): 332-345, 2016
6 안건상, "우리나라 주상절리에 대한 연구 전략" 한국지구과학회 35 (35): 501-517, 2014
7 최석원, "변산반도 죽막리에 분포하는 페퍼라이트 산출상태와 생성모델" 297-308, 2001
8 조민호, "변산반도 국립공원 내 산성화산암에 발달하는 주상절리의 특징" 조선대학교 2017
9 조규성, "변산반도 격포 적벽강 일대 야외지질 학습자료 개발 및 적용" 한국지구과학회 33 (33): 658-671, 2012
10 전승수, "백악기 격포리층(전라북도 부안군): 호저 급경사 삼각주 퇴적층" 31 (31): 215-236, 1995
11 안건상, "남한에서 주상절리의 분포와 암석학적 특성" 한국암석학회 23 (23): 45-59, 2014
12 김승범, "국 남서부 격포리층(백악기)의 퇴적과정과 퇴적환경" 서울대학교 2000
13 손정모, "고흥지역 주상절리의 분포와 형태" 69-71, 2014
14 최원영, "거제도 동부에 분포하는 주상절리의 형태 및 암석학적 특징" 77-, 2014
15 Hetényi, G., "Scales of Columnar Jointing in Igneous Rocks: Field Measurements and Controlling Factors" 74 (74): 457-482, 2012
16 Huxley, T. H., "Physiography: An Introduction to the Study of Nature" MacMillan and Co. 205-216, 1881
17 Goehring, L, "On the Scaling and Ordering of Columnar Joints" University of Toronto 2008
18 French, J. W., "II. The Fracture of Homogeneous Media" 17 (17): 50-68, 1922
19 Goehring, L,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the Scaling of Columnar Joints" 74 (74): 036115-,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