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2022년 태풍 힌남노로 인해 발생한 경상북도 경주시 토함산의 산지토사재해를 모니터링하고 위험 지역을 분석하여 효과적인 방재 대책을 마련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에는 PlanetSco...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518959
2024
-
Remote sensing ; Satellite image ; Aerial photography ; Landslide ; Disaster monitoring ; 원격탐사 ; 위성영상 ; 항공사진 ; 산사태 ; 재해 모니터링
400
KCI등재,SCOPUS,ESCI
학술저널
1305-1314(10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2022년 태풍 힌남노로 인해 발생한 경상북도 경주시 토함산의 산지토사재해를 모니터링하고 위험 지역을 분석하여 효과적인 방재 대책을 마련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에는 PlanetSco...
본 연구는 2022년 태풍 힌남노로 인해 발생한 경상북도 경주시 토함산의 산지토사재해를 모니터링하고 위험 지역을 분석하여 효과적인 방재 대책을 마련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에는 PlanetScope 및 Sentinel 위성영상과 국토지리정보원의 항공 정사영상, 드론 영상을 포함한 원격탐사 자료(remote sensing data, RSD)를 활용했다. 시계열 영상을 통해 재해 전후 변화와 피해 양상을 파악하였으며, 분석 결과 산지토사재해는 계곡부를 따라 하류로 집중되는 경향이 강했으며, 일부 사례는 계곡 시점 및 계곡 외부에서 독립적으로 발생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위험 지역을 (a) 계곡을 따라 발생한 경우, (b) 계곡부 시점에서 발생한 경우, (c) 계곡 외부에서 발생한 경우로 구분하고 각 유형에 적합한 맞춤형 방재 방안을 제안했다. 특히 토함산 주변의 문화재 및 민가에 대한 보호 필요성과 이러한 모니터링 결과가 국가 재난 관리 체계 구축에 기여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본 연구 결과는 산지토사재해의 예방 및 복구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UNet 기반 딥러닝 모델의 배치 크기 변화에 따른 영상 분할 성능비교 분석
ECOSTRESS를 활용한 도시 내 하위지구 단위 열 취약성 평가: 부산광역시와 대구광역시를 대상으로
고해상도 광학영상 복원을 위한 딥러닝 기반 SAR-광학 영상 변환 모델 비교
Generation of Simulated Satellite Images for the CAS500-4 by Inverse Orthorectif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