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이 무엇인가”하는 물음은 인간의 본질에 관한 물음이다. 이 물음은 반드시 형이상학적 사유를 통해 해결해야 된다. 전통적 형이상학은 고정된 형이상학적 사유인데, “인간이 무엇...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970650
2013
-
100
KCI등재
학술저널
1-15(15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인간이 무엇인가”하는 물음은 인간의 본질에 관한 물음이다. 이 물음은 반드시 형이상학적 사유를 통해 해결해야 된다. 전통적 형이상학은 고정된 형이상학적 사유인데, “인간이 무엇...
“인간이 무엇인가”하는 물음은 인간의 본질에 관한 물음이다. 이 물음은 반드시 형이상학적 사유를 통해 해결해야 된다. 전통적 형이상학은 고정된 형이상학적 사유인데, “인간이 무엇인가”라는 물음을 “인간은 어떤 사물[物]인가”라는 물음으로 이해하여 답한 다. 그러므로 이런 단계의 사유에서는 인간의 근본성, 독특성, 우수성을 제대로 드러내지 못한다. 형이상학적 입장에서 보자면 인간 존재는 낮은 것에서 높은 것으로 나아가는 여섯 가지 본질 단계를 가진다. 즉 개별특수, 개별일반, 단체일반, 인류일반, 생명일반, 자연일반이 바로 그것들이다. 형식으로 보자면 존재는 개별과 일반의 통일체이며, 인간 존재는 사람 개인(개별특수, 개별 일반, 단체일반) 과 사람 일반(인류일반, 생명일반, 자연일반)의 통일체이다. 이러한 시각에서 볼 때 비로소 “인간이 무엇인가”라는 문제는 제대로 해명될 수 있다.
통합심리학의 사상한의 관점으로 본 아빌라의 성녀 데레사의 생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