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조선시대 대표 성시인 한양을 대상으로 하는 운문문학과 그림을 살펴보고, 그를 통해 장편 가사 <한양가>에 드러난 성시문학으로서의 특성을 규명함으로써, 현대 도시 문화로 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105394
2013
Korean
한양가 ; 도시 ; 성시 ; 성시전도 ; 태평성시도 ; 대중성 ; Hanyang-ga(漢陽歌) ; City ; Walled City(城市) ; Seongsijeondo(城市全圖) ; Teapyongsongsido(太平城市圖) ; Popularity
KCI등재
학술저널
139-168(30쪽)
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조선시대 대표 성시인 한양을 대상으로 하는 운문문학과 그림을 살펴보고, 그를 통해 장편 가사 <한양가>에 드러난 성시문학으로서의 특성을 규명함으로써, 현대 도시 문화로 이...
본고는 조선시대 대표 성시인 한양을 대상으로 하는 운문문학과 그림을 살펴보고, 그를 통해 장편 가사 <한양가>에 드러난 성시문학으로서의 특성을 규명함으로써, 현대 도시 문화로 이어지는 길목을 확인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우선 한양 천도 직후 조선 전기의 작품에 주목했는데, 문학에서는 성시를 구성하는 구체적인 장소를 언급하고 그 구성원을 `民`으로서 인식하기 시작한 것을 확인했고, 그림에서는 아직 기존의 팔경도와 같은 산수화의 권역에 놓여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어서 조선 후기의 작품에서는 <태평성시도>와 같은 그림을 통해서 매우 활기 있는 진정한 성시의 면모를 확인할 수 있었고, 문학에서는 民을 벗어난 개개의 人이 섬세한 감성을 드러내거나 역동적인 성시의 풍경을 드러냄으로써 한층 발전한 모습을 드러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런데 그 이후 탄생한 <한양가>는 풍부한 물화를 자랑하는 떠들썩한 시장의 모습을 통해 조선후기 성시문화의 전통을 잇는 듯 하면서도 오히려 조선 전기 작품에서 확인할 수 있었던 한양에 대한 풍수지리적 길지로서의 자부심이나 혹은 왕실 중심의 행사 등에 치중하고 있어서 18세기 작품들의 경향과는 다른 양상을 보였다. 이에 관해 본고에서는 구한말 기울어가는 국운 앞에서 조선왕조의 흥성을 바라는 민중의 바람이 역설적으로 표출된 것으로 파악하여 대중적 차별성이라는 측면에서 <한양가>의 특성을 규명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at searching for the identity of "Hanyang-ga(漢陽歌)" among the same group works which contain poetry and picture about walled big city `Hanyang(medieval name of Seoul)` during the Joseon dynasty. Hanyang-ga which made in 1844 as th...
This paper aims at searching for the identity of "Hanyang-ga(漢陽歌)" among the same group works which contain poetry and picture about walled big city `Hanyang(medieval name of Seoul)` during the Joseon dynasty. Hanyang-ga which made in 1844 as the form of traditional full-length Korean song Gasa,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poem about flourish big space Hanyang. During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works concerned with Hanyang was concentrated on the hope about new city or on the impressive spot which remind the typical natural scenic beauty poetry. And the works in that period started to display new tendency that is about a material and a people in the space of capital city. After the 18 century, works about walled city Hanyang was grown explosively quantitatively as well as qualitatively. And that kinds of works started to show the real life in crowded place and insinuated how flourish Hanyang is. For example the poem "Seongsijeondo(城市全圖)" and the picture "Teapyongsongsido(太平城市圖)" are try to depicts the all things in the big city. These works embrace the seasonal customs, many things in fair, the culture of commoner and the heartless group in the city. Hanyang-ga succeed to the 18 century`s works though, it doesn`t put the point to the city people or flourish fair. This poet try to embody the Joseon dynasty`s splendor rather than life in the city by the material things. Technically Hanyang-ga share the same inclination with the 18 century`s works about walled city. But it also give a good deal of space to depict the thrive city though, it doesn`t based on the sincere city life. Instead of all, Hanyang-ga reflect the popularity which drive from the public who want to check out the culture power of Hanyang among the unstable political situation of 19 century.
참고문헌 (Reference)
1 남정희, "「한양가」에 나타난 공간의 의미 탐색" 한국언어문학교육학회 26 : 239-270, 2012
2 최강현, "향토 한양가의 이본을살핌" 배달말학회 8 : 1983
3 김보경, "한양가의 형상화 양상 고찰" 동아대학교 동아어문학회 13 : 2001
4 최래욱, "한양가의 작자의식" 우리문학연구회 3 : 1978
5 서종문, "한양가와 한양오백년가" 집문당 2 : 1992
6 홍흥구, "한양가와 예술사의 한 단면" 계명어문학회 5 : 1990
7 최강현, "한양가에 나타난 이조풍물고" 고대문화편집위원회 3 : 1961
8 강명관, "한양가" 신구문화사 2008
9 송신용, "한양가" 정음사 1949
10 박기석, "한양 도시문화의 공간적 배경과 문학연구"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17) : 287-307, 2009
1 남정희, "「한양가」에 나타난 공간의 의미 탐색" 한국언어문학교육학회 26 : 239-270, 2012
2 최강현, "향토 한양가의 이본을살핌" 배달말학회 8 : 1983
3 김보경, "한양가의 형상화 양상 고찰" 동아대학교 동아어문학회 13 : 2001
4 최래욱, "한양가의 작자의식" 우리문학연구회 3 : 1978
5 서종문, "한양가와 한양오백년가" 집문당 2 : 1992
6 홍흥구, "한양가와 예술사의 한 단면" 계명어문학회 5 : 1990
7 최강현, "한양가에 나타난 이조풍물고" 고대문화편집위원회 3 : 1961
8 강명관, "한양가" 신구문화사 2008
9 송신용, "한양가" 정음사 1949
10 박기석, "한양 도시문화의 공간적 배경과 문학연구"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17) : 287-307, 2009
11 김명순, "조선후기 한시의민풍수용 연구" 보고사 2005
12 정인숙, "조선후기 시가에 나타난 도시적 삶의 양상과 그 의미" 한국어문학회 (103) : 281-313, 2009
13 김희경, "조선후기 성시풍속도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3
14 강명관, "조선후기 서울과 한시의 변화" 민족문학사학회 6 : 1994
15 고동환, "조선시대 서울 도시사" 태학사 2007
16 부길만, "조선시대 방각본 출판 연구" 서울출판 미디어 2003
17 이석호, "조선세시기" 동문선 1991
18 박제가, "정유각집" 돌베개 2010
19 유만공, "우리 세시풍속의 노래" 집문당 1993
20 최강현, "왕조한양가의 이본에 대하여" 국어국문학회 32 : 1966
21 심경호, "신도읍 한양, In 한국사 기행" 범우사 1994
22 정양완, "서울을읊은 한시에 대하여" 서울특별시시사편찬위원회 47 : 1989
23 김지용, "삼도부와 한양가 그리고 한양오백년가" 명문당 2011
24 임형택, "문화현상으로 본19세기" 역사비평사 35 : 1996
25 이민희, "마지막 서적중개상 송신용(宋申用) 연구" 보고사 2009
26 이수미,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태평성시도> 병풍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27 최강현, "가사문학 이본의 처리와 주석 대상 작품의 확정 방안 - 한양가를예로하여" 동국대학교한국문학연구소 26 : 2002
28 이석래, "風俗歌詞集: 漢陽歌․農家月令歌" 신구문화사 1974
29 姜彛天, "重庵稿"
30 박성의, "農家月令歌․漢陽歌" 예그린출판사 1978
31 朴齊家, "貞蕤閣集"
32 朴趾源, "燕巖集"
33 鄭圻喆, "漢陽歌 硏究 : 作者 意識을 中心으로" 한남대학교 1986
34 崔康賢, "漢陽歌 硏究" 고려대학교 1965
35 漢山居士, "漢陽歌"
36 이혜순, "漢詩에 나타난 서울의 형상, In 문학 작품에 나타난 서울의 형상" 한샘출판사 1994
37 林虞生, "淸明上河圖 的特色是什么?, In 古代藝術三百題" 上海古 籍出版社 1989
38 張澤端, "淸明上河圖"
39 柳晩恭, "歲時風謠"
40 "樂章歌詞"
41 李彦瑱, "松穆館燼餘稿"
42 洪錫謨, "東國歲時記"
43 "山市晴嵐圖, 16세기 전반, 비단에 수묵, 96×42"
44 周宝珠, "宋朝定都東京開封的歷史必然性, In <淸明上河圖>与淸明上河學" 河南大學出版社 1997
45 "太平城市圖, 조선후기, 비단에 채색, 8폭 각113.6×49.1cm"
46 안대회, "城市全圖詩와 18세기 서울의 풍경" 한국고전문학회 35 (35): 213-249, 2009
47 鄭道傳, "三峰集"
48 김은희, "<한양가>의 존재양상과 그 의미" 반교어문학회 (26) : 279-307, 2009
49 김보경, "<고씨본 한양가> 연구" 동아대학교 2002
50 정인숙, "19세기∼20세기 초 시가를 통해 본 서울의 인식과 근대도시의 의미지향" 한국문학치료학회 20 : 165-193, 2011
51 김은주, ""漢陽歌"에 나타난 服飾考察 : 陵行과 科擧次時를 中心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1984
TV드라마 <내 딸 서영이> : 결연구조와 사랑의 스펙트럼 - `겹사돈 구조에서 전환하는 삼각혼 구조`의 창출을 중심으로 -
트라우마적 정서 치유를 위한 시 텍스트 공명 기제의 효율적 활용 방안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8 | 0.48 | 0.5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 | 0.61 | 1.231 | 0.3 |
세계일주로 배우는 국가와 도시(Learning State and City by traveling around the world)
K-MOOC 대구대학교 김정렬세계일주로 배우는 국가와 도시(Learning State and City by traveling around the world)
K-MOOC 대구대학교 김정렬세계일주로 배우는 국가와 도시(Learning State and City by traveling around the world)
K-MOOC 대구대학교 김정렬세계일주로 배우는 국가와 도시(Learning State and City by traveling around the world)
K-MOOC 대구대학교 김정렬생태도시의 푸른 혁명(21)
광주여자대학교 최인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