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기 문해력 측정을 위한 2학년용 검사 도구 개발 = Development of Standardized Test Tools for 2<sup>nd</sup> Graders’ Early Literac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88425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at developing standardized test tools to assess second graders' early literacy by applying Korean children's features in the development of early literacy. The early literacy assessment consists of 4 subtests: syllable reading, phrase reading, reading fluency, and sentence dictation. The test was administered one on one on July and February of the next year with the same children following the same procedures. To collect data, researchers sampled about 200 students at 4 elementary schools, 2 from medium-sized cities and 2 from rural provinces. The schools were considered in the middle in terms of parents' socioeconomic status and children's academic abilities.
      Mean scores significantly changed between July and February. In particular, the mean change was noticeable in reading fluency. Stanine scores were provided in the four subtests. The raw scores in each interval differed between the two points, which supports the validity of the test tools in assessing development in second graders' early literacy.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be useful to identify struggling readers in their 2nd year of schools and to expedite their early intervention.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at developing standardized test tools to assess second graders' early literacy by applying Korean children's features in the development of early literacy. The early literacy assessment consists of 4 subtests: syllable reading, phrase ...

      This study aims at developing standardized test tools to assess second graders' early literacy by applying Korean children's features in the development of early literacy. The early literacy assessment consists of 4 subtests: syllable reading, phrase reading, reading fluency, and sentence dictation. The test was administered one on one on July and February of the next year with the same children following the same procedures. To collect data, researchers sampled about 200 students at 4 elementary schools, 2 from medium-sized cities and 2 from rural provinces. The schools were considered in the middle in terms of parents' socioeconomic status and children's academic abilities.
      Mean scores significantly changed between July and February. In particular, the mean change was noticeable in reading fluency. Stanine scores were provided in the four subtests. The raw scores in each interval differed between the two points, which supports the validity of the test tools in assessing development in second graders' early literacy.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be useful to identify struggling readers in their 2nd year of schools and to expedite their early interven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교육개발원, "한국 성인의 비문해 실태 조사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2

      2 엄훈, "학교 속의 문맹자들" 우리교육 2012

      3 김애화, "초등학생의 단어인지와 읽기유창성에 대한 예측변인 연구" 한국초등교육학회 24 (24): 277-303, 2011

      4 김애화, "초등학생의 단어인지 특성 연구: 단어인지 정확도과 유창성 발달 패턴 및오류 유형 분석" 한국특수교육학회 44 (44): 155-183, 2009

      5 엄훈, "초등학교 저학년 읽기 발달 양상 연구 -해부호화 능력을 중심으로-"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46) : 191-217, 2011

      6 정종성, "초등학교 입학 아동의 자모 인식, 단어 해독, 읽기 유창성 수행 수준 탐색" 한국초등교육학회 27 (27): 119-136, 2014

      7 정종성,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자모 인식, 단어 해독, 읽기 유창성 발달 양상 탐색" 한국초등교육학회 28 (28): 113-131, 2015

      8 엄훈, "초기 문해력 측정을 위한 간편 읽기 검사 개발" 한국독서학회 (40) : 259-277, 2016

      9 엄훈, "초기 문해력 교육의 현황과 과제"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63) : 83-109, 2017

      10 엄훈, "초기 문해력 교육을 위한 수준 평정 그림책의 활용" 교육공동체벗 2018

      1 한국교육개발원, "한국 성인의 비문해 실태 조사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2

      2 엄훈, "학교 속의 문맹자들" 우리교육 2012

      3 김애화, "초등학생의 단어인지와 읽기유창성에 대한 예측변인 연구" 한국초등교육학회 24 (24): 277-303, 2011

      4 김애화, "초등학생의 단어인지 특성 연구: 단어인지 정확도과 유창성 발달 패턴 및오류 유형 분석" 한국특수교육학회 44 (44): 155-183, 2009

      5 엄훈, "초등학교 저학년 읽기 발달 양상 연구 -해부호화 능력을 중심으로-"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46) : 191-217, 2011

      6 정종성, "초등학교 입학 아동의 자모 인식, 단어 해독, 읽기 유창성 수행 수준 탐색" 한국초등교육학회 27 (27): 119-136, 2014

      7 정종성,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자모 인식, 단어 해독, 읽기 유창성 발달 양상 탐색" 한국초등교육학회 28 (28): 113-131, 2015

      8 엄훈, "초기 문해력 측정을 위한 간편 읽기 검사 개발" 한국독서학회 (40) : 259-277, 2016

      9 엄훈, "초기 문해력 교육의 현황과 과제"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63) : 83-109, 2017

      10 엄훈, "초기 문해력 교육을 위한 수준 평정 그림책의 활용" 교육공동체벗 2018

      11 엄훈, "미국의 리딩 리커버리 프로그램 운영 실태에 대한 참여관찰적 연구" 한국독서학회 (36) : 39-67, 2015

      12 김미배, "낱말읽기에서의 초등학생 음운해독력 발달"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6 (16): 143-153, 2011

      13 Morphet, M. V., "When Should Children Begin to Read?" 31 (31): 496-503, 1931

      14 Stanovich, K. E., "Theoretical Models and Processes of Reading" International Reading Association 454-516, 2004

      15 Riley, J., "The Teaching of Reading: The Development of Literacy in the Early Years of School" Paul Chapman Publishing Ltd 1996

      16 Foorman, B. R., "The Role of Instruction in Learning to Read: Preventing Reading Failure in At-Risk Children" 90 (90): 37-55, 1998

      17 RRCNA, "Standards and Guidelines of Reading Recovery in the United States"

      18 Chall, J. S., "Stages of Reading Development" Harcourt Brace College Publishers 1996

      19 Clay, M. M., "Reading: The Patterning of Complex Behaviour" Heinemann 1967

      20 International Reading Association & 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Position Statement: Learning to Read and Write: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s for Young Children" International Reading Association & 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1998

      21 Fountas, I. C., "Leveled Books" Heinemann 2006

      22 Scarborough, H. S., "Handbook of Early Literacy Research (vol. 1)" 97-110, 2002

      23 Entwisle, D. R., "Entry into School: The beginning school transition and educational stratification in the United States" 19 (19): 401-423, 1993

      24 Pinnell, G. S., "Comparing instructional models for the literacy education of high-risk first graders" 29 : 9-39, 1994

      25 McKenna, M. C., "Assessment for reading instruction" Guilford Publications 2015

      26 Clay, M. M., "An Observation Survey of Early Literacy Achievement" Heinemann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9 0.99 1.1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8 1.18 1.509 0.2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