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영유아 자녀를 둔 결혼이주여성의 온라인 건강정보 요구 분석 = Needs analysis in online health information of married immigrant women with infant and preschool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0497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use of online health information and information needs of married immigrant women with infant and preschooler, which is to identify their barriers and influencing factors in access and utilization of online health information. The subjects are 163 married immigrant women with a child under 6 years old and they have used mainly the internet or smartphone to obtain health information. However, they do not assess the quality of information carefully. In addition, the difficulty of information selection, poor Korean language skills, the difficulty of understanding medical jargon, and cultural differences are recognized as major barriers to access and use online health information. For married immigrant women, it is necessary to provide information considering language problems and cultural differences and to support information retrieval strategy and health literacy. Besides, online health information should be provided under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which is different in information needs and use, such as age, economic level, child age, Korean language skills, supporter for parenting, and country of origin. Also, it should be confirmed problems of online health information contents and delivery methods because of the inconsistency between needs, ease of searching, and practical help. Based on these results, it's necessary to develop a strategy for reducing the barriers and improving the utilization ability of online health information to help multicultural families in caring for their childre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use of online health information and information needs of married immigrant women with infant and preschooler, which is to identify their barriers and influencing factors in access and utilization of on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use of online health information and information needs of married immigrant women with infant and preschooler, which is to identify their barriers and influencing factors in access and utilization of online health information. The subjects are 163 married immigrant women with a child under 6 years old and they have used mainly the internet or smartphone to obtain health information. However, they do not assess the quality of information carefully. In addition, the difficulty of information selection, poor Korean language skills, the difficulty of understanding medical jargon, and cultural differences are recognized as major barriers to access and use online health information. For married immigrant women, it is necessary to provide information considering language problems and cultural differences and to support information retrieval strategy and health literacy. Besides, online health information should be provided under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which is different in information needs and use, such as age, economic level, child age, Korean language skills, supporter for parenting, and country of origin. Also, it should be confirmed problems of online health information contents and delivery methods because of the inconsistency between needs, ease of searching, and practical help. Based on these results, it's necessary to develop a strategy for reducing the barriers and improving the utilization ability of online health information to help multicultural families in caring for their childre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영유아 자녀를 둔 결혼이주여성의 온라인 건강정보 이용 실태를 조사하고 정보 요구를 분석하여 건강정보 접근과 활용의 장애요인과 영향요인을 확인함으로써 실제적 도움이 되는 온라인 건강정보를 제공하고자 시행하였다. 결혼이주여성은 자녀양육을 위한 건강정보를 얻기 위해 인터넷이나 스마트폰을 가장 많이 이용하고 있으나 정보출처의 미확인, 비전문가로부터의 정보 획득 등 정보의 질 평가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다. 또한 정보선택의 어려움과 미흡한 한국어능력, 어려운 전문용어, 모국문화와의 차이가 온라인 건강정보 접근과 활용의 주요 장애요인이었다.
      결혼이주여성은 질병관리, 신체성장, 영양관리에서 높은 정보 요구를 보였으나 요구도와 찾기 쉬운 정보, 도움이 되는 정보가 일치하지 않아 건강정보의 내용과 전달방식에 대한 실제적 평가를 통해 원인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필요가 있다. 또한 온라인 건강정보 이용정도와 요구도에 차이를 보인 연령, 가족풍요도, 자녀연령, 한국어능력, 양육지지자, 출신국가와 같은 특성을 고려하여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이에 추후 다문화가족에게 자녀양육을 돕기 위한 온라인 건강정보 제공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정보이용의 장애요인을 감소시키고 활용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마련이 필요하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영유아 자녀를 둔 결혼이주여성의 온라인 건강정보 이용 실태를 조사하고 정보 요구를 분석하여 건강정보 접근과 활용의 장애요인과 영향요인을 확인함으로써 실제적 도움이 되...

      본 연구는 영유아 자녀를 둔 결혼이주여성의 온라인 건강정보 이용 실태를 조사하고 정보 요구를 분석하여 건강정보 접근과 활용의 장애요인과 영향요인을 확인함으로써 실제적 도움이 되는 온라인 건강정보를 제공하고자 시행하였다. 결혼이주여성은 자녀양육을 위한 건강정보를 얻기 위해 인터넷이나 스마트폰을 가장 많이 이용하고 있으나 정보출처의 미확인, 비전문가로부터의 정보 획득 등 정보의 질 평가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다. 또한 정보선택의 어려움과 미흡한 한국어능력, 어려운 전문용어, 모국문화와의 차이가 온라인 건강정보 접근과 활용의 주요 장애요인이었다.
      결혼이주여성은 질병관리, 신체성장, 영양관리에서 높은 정보 요구를 보였으나 요구도와 찾기 쉬운 정보, 도움이 되는 정보가 일치하지 않아 건강정보의 내용과 전달방식에 대한 실제적 평가를 통해 원인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필요가 있다. 또한 온라인 건강정보 이용정도와 요구도에 차이를 보인 연령, 가족풍요도, 자녀연령, 한국어능력, 양육지지자, 출신국가와 같은 특성을 고려하여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이에 추후 다문화가족에게 자녀양육을 돕기 위한 온라인 건강정보 제공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정보이용의 장애요인을 감소시키고 활용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마련이 필요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은민, "필리핀 결혼이주여성과 한국인 결혼여성의 자녀 양육 경험: 농촌을 중심으로" 한국인간발달학회 18 (18): 147-167, 2011

      2 행정자치부, "지방자치단체 외국인주민현황조사" 2015

      3 이동원, "자녀양육에 대한 국내 간호학분야 연구논문 분석" 한국아동간호학회 20 (20): 264-274, 2014

      4 백종화, "어머니의 인터넷 이용 실태 및 인터넷 이용이 양육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 20 (20): 135-145, 2002

      5 이병준, "상호문화역량 측정도구 개발 연구" 한국문화교육학회 12 (12): 39-60, 2017

      6 김혜련, "다문화가족 여성과 아동의 건강실태 및 건강서비스 지원방안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

      7 한경님,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의 자녀양육을 위한 부모교육에 대한 요구" 한국영유아보육학회 (73) : 171-190, 2012

      8 조화영, "국내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웹사이트와 임신·출산·육아 관련 인터넷 건강정보 평가"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2

      9 김영주, "결혼이주여성의 자녀 출산․양육 정책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젠더관점과 다문화관점을 중심으로" 한국인구학회 33 (33): 51-73, 2010

      10 김경미, "결혼이주여성의 인터넷 이용과 한국사회 적응" 6 : 15-24, 2012

      1 박은민, "필리핀 결혼이주여성과 한국인 결혼여성의 자녀 양육 경험: 농촌을 중심으로" 한국인간발달학회 18 (18): 147-167, 2011

      2 행정자치부, "지방자치단체 외국인주민현황조사" 2015

      3 이동원, "자녀양육에 대한 국내 간호학분야 연구논문 분석" 한국아동간호학회 20 (20): 264-274, 2014

      4 백종화, "어머니의 인터넷 이용 실태 및 인터넷 이용이 양육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 20 (20): 135-145, 2002

      5 이병준, "상호문화역량 측정도구 개발 연구" 한국문화교육학회 12 (12): 39-60, 2017

      6 김혜련, "다문화가족 여성과 아동의 건강실태 및 건강서비스 지원방안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

      7 한경님,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의 자녀양육을 위한 부모교육에 대한 요구" 한국영유아보육학회 (73) : 171-190, 2012

      8 조화영, "국내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웹사이트와 임신·출산·육아 관련 인터넷 건강정보 평가"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2

      9 김영주, "결혼이주여성의 자녀 출산․양육 정책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젠더관점과 다문화관점을 중심으로" 한국인구학회 33 (33): 51-73, 2010

      10 김경미, "결혼이주여성의 인터넷 이용과 한국사회 적응" 6 : 15-24, 2012

      11 이연옥, "결혼이주여성의 건강관련 정보에 대한 접근" 한국도서관·정보학회 46 (46): 171-199, 2015

      12 정의철, "결혼이주여성의 건강과 헬스커뮤니케이션: 이주와 커뮤니케이션의 영향을 중심으로" 9 : 77-111, 2013

      13 장덕현, "결혼이주여성 대상 건강정보 웹사이트 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 50 (50): 77-96, 2016

      14 설동훈, "결혼이민자의 정보격차 결정 요인 분석" 3-14, 2012

      15 손현미, "간호사의 문화적 역량에 대한 통합적 고찰" 한국문화교육학회 9 (9): 25-47, 2014

      16 Arora, A., "‘English leaflets are not meant for me’ : a qualitative approach to explore oral health literacy in Chinese mothers in Southwestern Sydney, Australia" 40 (40): 532-541, 2012

      17 Norman, C. D., "eHEALS: The eHealth literacy scale" 8 (8): 1-7, 2006

      18 Wen, L. M., "Who is NOT likely to access the Internet for health information? Findings from first-time mothers in southwest Sydney, Australia" 80 (80): 406-411, 2011

      19 Ablewhite, J., "The other side of the story–maternal perceptions of safety advice and information : a qualitative approach" 41 (41): 1106-1113, 2015

      20 Shaniece, C., "The Role of Health Information Sources in Decision-Making Among Hispanic Mothers During Their Children’s First 1000 Days of Life" 19 : 2536-2543, 2015

      21 Paek, H. J., "Social Cognitive Factors and Perceived Social Influences That Improve Aldolescent eHealth Literacy" 27 : 727-737, 2012

      22 Walsh, A. M., "Predictive modelling: parents’ decision making to use online child health information to increase their understanding and/or diagnose or treat their child’s health" 12 (12): 144-, 2012

      23 Shorey, S., "Maternal parental self‐efficacy in newborn care and social support needs in Singapore: a correlational study" 23 (23): 2272-2283, 2014

      24 Skranes, L. P., "Internet use among mothers of young children in Norway—a survey of Internet habits and perceived parental competence when caring for a sick child" 22 (22): 423-431, 2014

      25 Sebelefsky, C., "Internet health seeking behaviour of parents attending a general paediatric outpatient clinic : A cross-sectional observational study" 21 (21): 400-407, 2015

      26 Nicholl, H., "Internet Use by Parents of Children With Rare Conditions:Findings From a Study on Parents’ Web Information Needs" 19 (19): 1-14, 2017

      27 Currie, C. E., "Indicators of socioeconomic status for adolescents: the WHO Health Behaviour in School-aged Children Survey" 12 : 385-397, 1997

      28 Dexter, B., "How and Where Parents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Want to Receive Nutrition Information" 77 (77): 203-205, 2016

      29 Glanz, K., "Helath behavior and health education :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Jossey-Bass 2008

      30 Liliana Rojas-Guyler, "Health information seeking behaviors and preferences among Latino immigrants: The role of acculturation and functional health literacy" 48 (48): 10-18, 2016

      31 van der Gugten, A. C., "E-health and health care behaviour of parents of young children: a qualitative study" 34 (34): 135-142, 2016

      32 Park, H., "Cancer information-seeking behaviors and information needs among Korean Americans in the online community" 39 (39): 213-220, 2014

      33 Chae, J., "An 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information use and health orientation in Korean mothers : Focusing on the type of health information" 20 (20): 275-284, 2015

      34 정해숙, "2015년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 분석" 여성가족부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8-04-18 학회명변경 한글명 : 문화교육학회 -> 한국문화교육학회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Culture Education (KSCE) -> The Korean Society for Culture and Arts Education Studies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4 0.84 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2 1.01 1.133 0.3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