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미국의 상장 은행을 표본으로 공정가치로 측정된 자산과 감사보수간의 관계를 검증합니다. 공정가치평가를 한 자산을 감사하기가 매우 힘들다는 주장(Bratten et al., 2013)에 기반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94799
-
2014년
Korean
감사보수 ; Fair value measurements ; Audit fees ; 공정가치 측정치 ; FAS 157 ; ASC 820 ; 은행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미국의 상장 은행을 표본으로 공정가치로 측정된 자산과 감사보수간의 관계를 검증합니다. 공정가치평가를 한 자산을 감사하기가 매우 힘들다는 주장(Bratten et al., 2013)에 기반하...
이 연구는 미국의 상장 은행을 표본으로 공정가치로 측정된 자산과 감사보수간의 관계를 검증합니다. 공정가치평가를 한 자산을 감사하기가 매우 힘들다는 주장(Bratten et al., 2013)에 기반하여 연구진은 감사보수가 은행의 공정가치평가자산이 많을 수록 증가하는지, 그리고 이러한 관계가 추후 검증하기 어려운 레벨 3 투입요소가 많은 경우 더 그러한지 검증하였습니다. 연구진은 또한 금융업을 전문으로 하는 감사인의 경우 공정가치평가자산에 대해 더 많은 감사보수를 받는지 그렇지 않은지에 대해서도 연구하였습니다. 우리는 이러한 연구주제가 학계, 실무자, 그리고 규제기관에게 다음과 같은 이유로 적시성 있고 흥미롭다고 생각합니다. Bell and Griffin (2012, 148)이 언급한대로, 최근 미국과 전세계의 회계및 감사준칙 제정자들은 공정가치회계를 지지하는 여러 공식적 문서를 발표했습니다. Maksymov et al. (2012, 1)이 지적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공정가치가 오늘날의 재무보고 환경에서 중요하기는 하지만, 공정가치와 관련한 감사에 대한 연구는 극히 드문” 현황입니다. 특히 우리가 아는 한도내에서는 은행의 공정가치자산이 다른 자산과 달리 감사보수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나 금융전문 감사인이 감사보수와 공정가치자산간의 관계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가 아직 없는 실정입니다.
다른 산업의 피감사인에 대한 감사보수와 유사하게, 은행에 대한 감사보수는 감사비용과 현재의 재무재표를 감사함에 따라 생길 수있는 미래의 기대손실과 양의 상관관계를 가질 것입니다. 감사인의 비용과 기대손실이 보통 관측될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감사보수는 보수를 유발하는 요인인 피감사인의 크기, 위험, 복잡성등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입니다(Hay et al. 2006). 경제학 이론과 선행실증연구 모두 감사보수가 기저의 감사비용에 대한 혜안을 제공함을 보여줍니다. 감사비용 유발요인 (그리고 그에 따른 감사보수)는 피감사법인의 자산 및 부채의성격에 따른 차이와 피감사법인이 속한 산업의 영업차이에 따라 다릅니다. 규제기구와 실무진의 문서, 그리고 학자들이 제공한 일부 증거는 은행의 공정가치 자산이 특히 감사하기가 어려우며 그중에서도 level 3투입요소와 관련한 감사가 어렵다고 합니다. 이는 공정가치로 평가되는 은행의 자산이 많을수록 감사보수가 증가할 것이라는 것을 암시하며, 특히 그러한 정도는 level3투입요소의 증가에 따라 더 그럴것입니다. 그럼에도 감사보수연구는Fan and Wong (2005)의 연구에서 보듯 보통 금융기관을 제외하는 것이 보통입니다. 이러한 연구관행때문에 우리는 놀랍게도 금융기관과 관련된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association between audit fees and fair-valued assets for the sample of public U.S. bank holding companies. Motivated by claims that fair-valued assets are unusually difficult to audit (Bratten et al., 2013), we explore whether...
This study examines the association between audit fees and fair-valued assets for the sample of public U.S. bank holding companies. Motivated by claims that fair-valued assets are unusually difficult to audit (Bratten et al., 2013), we explore whether audit fees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proportion of bank assets that are fair-valued, and whether this relation is more evident for the least verifiable (Level 3) fair-valued assets. We also investigate whether auditors who are bank industry specialists charge more or less than other auditors to audit banks and, in particular, to audit fair-valued bank assets. We believe that these questions are timely and interesting to academics, practitioners and regulators for several reasons. Bell and Griffin (2012, 148) note that “In recent years, accounting and auditing standard-setters in the U.S. and abroad have issued a number of authoritative pronouncements that, collectively, indicate institutional embracement of FVA [fair value accounting].” Maksymov et al. (2012, 1) point out that “… despite the importance of fair value in today’s financial reporting environment, relatively little research has addressed auditing fair values.” In particular, we are not aware of any published evidence indicating whether banks’ fair-valued ass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