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동기, "현대사박물관, 어떻게 만들 것인가?―‘독일연방공화국역사의 집’과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의 건립 과정 비교" 역사문제연구소 (96) : 243-279, 2011
2 데이비드 하비 David Harvey, "포스트 모더니티의 조건 The Condition of Postmodernity" 한울 1994
3 롤랑 바르트 Roland Barthes, "텍스트의 즐거움" 동문선 1997
4 김기봉, "탈근대 지식인으로서 역사가" 호서사학회 (51) : 219-240, 2008
5 사토 유키에, "집합적 기억과 공간 그리고 도래하는 당사자" 문학들·심미안 (54) : 2018
6 김백영, "지배와 공간-식민지도시 경성과 제국 일본" 문학과지성사 2009
7 유경남, "지금, 광주에서 5·18을 말한다는 것 - 세대 간 역사와 기억의 차이에 대한 단상" 문학들·심미안 (55) : 2019
8 강수택, "지그문트 바우먼의 탈근대적 지식인론"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5 (25): 2001
9 권귀숙, "제주 4ㆍ3의 사회적 기억" 한국사회학회 35 (35): 2001
10 김태현, "장소성에 기반한 기록집(記錄集) 구성에 관한 연구 : 『노무현 대통령의 지붕 낮은 집』(2019)을 중심으로" 한국기록학회 (60) : 123-159, 2019
1 이동기, "현대사박물관, 어떻게 만들 것인가?―‘독일연방공화국역사의 집’과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의 건립 과정 비교" 역사문제연구소 (96) : 243-279, 2011
2 데이비드 하비 David Harvey, "포스트 모더니티의 조건 The Condition of Postmodernity" 한울 1994
3 롤랑 바르트 Roland Barthes, "텍스트의 즐거움" 동문선 1997
4 김기봉, "탈근대 지식인으로서 역사가" 호서사학회 (51) : 219-240, 2008
5 사토 유키에, "집합적 기억과 공간 그리고 도래하는 당사자" 문학들·심미안 (54) : 2018
6 김백영, "지배와 공간-식민지도시 경성과 제국 일본" 문학과지성사 2009
7 유경남, "지금, 광주에서 5·18을 말한다는 것 - 세대 간 역사와 기억의 차이에 대한 단상" 문학들·심미안 (55) : 2019
8 강수택, "지그문트 바우먼의 탈근대적 지식인론"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5 (25): 2001
9 권귀숙, "제주 4ㆍ3의 사회적 기억" 한국사회학회 35 (35): 2001
10 김태현, "장소성에 기반한 기록집(記錄集) 구성에 관한 연구 : 『노무현 대통령의 지붕 낮은 집』(2019)을 중심으로" 한국기록학회 (60) : 123-159, 2019
11 테사 모리스-스즈키 Tessa Morris-Suzuki, "우리 안의 과거 – media, memory, history 과거는 미디어를 통해 어떻게 기억되고 역사화 되는가?" 휴머니스트 2006
12 김영범, "알박스의 기억사회학 연구" 대구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6 (6): 1999
13 남미숙, "아키비스트의 역할을 중심으로 본 사회적 기억"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7
14 나인호, "시민을 위한 역사교육으로서 독일의 공공역사(Public history)" 역사교육학회 (69) : 73-100, 2018
15 주은우, "시각과 현대성" 한나래 2003
16 마틴 제이 Martin Jay, "시각과 시각성" 경성대학교출판부 2012
17 조나단 크래리 Jonathan Crary, "시각과 시각성" 경성대학교출판부 2012
18 설혜심, "소비의 역사-지금껏 아무도 주목하지 않은 '소비하는인간'의 역사" 휴머니스트 2017
19 권귀숙, "세대간 기억 전수- 4‧3의 기억을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38 (38): 53-80, 2004
20 박윤옥, "서구정체성 형성 과정에 관한 고찰 - 19세기 만국박람회 및 박물관을 중심으로 -"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39) : 95-113, 2019
21 이재희, "삼풍백화점 붕괴 20년… 잊혀진 ‘희생자 추모비’"
22 박구용, "부정의 역사철학 – 역사상실에 맞선 철학적 도전" 도서출판 길 2012
23 이다혜, "발터 벤야민의 산보객 Flaneur 개념 분석 - 『아케이드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도시사학회 (1) : 2009
24 남덕현, "발터 벤야민의 대도시 고고학- 베를린 에세이를 중심으로 -" 인문학연구원 112 : 63-94, 2018
25 도미니크 풀로 Dominique Poulot, "박물관의 탄생 MUSEE ET MUSEOLOGIE" 돌베개 2014
26 전진성, "박물관의 탄생" 살림 2004
27 박홍원, "미디어와 민주주의"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9) : 2005
28 박진빈, "미국 퍼블릭 히스토리와 원주민(Native American)의 역사" 한국서양사학회 (139) : 76-99, 2018
29 이진경, "문화정치학의 영토들" 그린비 2007
30 박종연,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기록관리체계 검토" 한국 기록과 정보·문화학회 (8) : 69-102, 2019
31 김태현,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상설전시실 공간 재배치를 위한 전시체계 연구" 대한민국역사박물관 2017
32 김택현, "다시, 서발턴은 누구/무엇인가?" 역사학회 (200) : 637-663, 2008
33 윤은하, "노근리 사건의 사회적 기억과 기록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 16 (16): 57-79, 2016
34 권귀숙, "기억의 재구성 과정-후체험 세대의 4‧3-" 한국사회학회 38 (38): 107-130, 2004
35 알라이다 아스만 Aleida Assmann, "기억의 공간-문화적 기억의형식과 변천" 그린비 2011
36 박경섭, "기억에서 기념비로, 운동에서 역사로: 옛 전남도청 복원 과정에서 드러나는5・18의 물신화와 성화(聖化)에 대하여" 5.18연구소 18 (18): 45-96, 2018
37 심광현, "근대화/탈근대화의 이중과제와 사회운동의 새로운 전망" 문화과학사 (22) : 2000
38 강내희, "근대적 제도로서의 박물관 성찰과 한국박물관 운영의민주화" 문화과학사 (40) : 2004
39 이승훈, "근대와 공공성 딜레마 - 개념과 사상을 중심으로" 민주사회정책연구원 (13) : 13-45, 2008
40 강수택, "근대, 탈근대, 지식인" 한국사회학회 34 : 2000
41 강옥초, "그람시와 ‘서발턴’ 개념" 역사교육연구회 (82) : 2002
42 바네사 R. 슈와르츠 Vanessa R. Schwartz, "구경꾼의 탄생: 세기말파리, 시각문화의 폭발" 마티 2006
43 김윤태, "교양인을 위한 세계사 - 산업혁명부터 이라크 전쟁까지24개 테마로 세계를 읽는다!" 책과함께 2007
44 조나단 크래리 Jonathan Crary, "관찰자의 기술 – 19세기의 시각과근대성" 문화과학사 1998
45 박홍원, "공론장의 이론적 진화 : 다원적 민주주의에 대한 함의"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 (20): 179-229, 2012
46 노명환, "공론장으로서 기록보존소의 역할: 그 역사와 현황, 패러다임 변화와 미래 발전방향 -역사학에 주는 시사점을 중심으로-" 한국서양사학회 (110) : 97-121, 2011
47 이동기, "공공역사: 개념, 역사, 전망" 한국독일사학회 (31) : 119-142, 2016
48 강용수, "공공성의 철학과 문화 창조" 서양근대철학회 12 : 2018
49 김대건, "공공성 유형화와 유형 간 이해관계자와의 협력 및 조직효과성의 차이 분석 - 공적성, 공동체성, 공공성 개념을 중심으로 -" 충북연구원 30 (30): 63-85, 2019
50 박상욱, "‘퍼블릭 히스토리(Public History)’에서 ‘역사문화(Geschichtskultur)’로 -독일 ‘퍼블릭 히스토리’의 작용 메카니즘으로서 ‘역사문화’-" 한국서양사학회 (139) : 11-40, 2018
51 김기봉, "‘역사란 무엇인가’를 넘어서" 푸른역사 2000
52 진태원, "‘서발턴’은 정치 주체가 될 수 있는가?"
53 이동기,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사업 비판과 정책 대안" 역사문제연구소 (99) : 284-313, 2012
54 유경남, "5.18 기억투쟁의 ‘복원’ - 연속과 단절 사이에서" 기념재단 2018
55 독립기념관, "2014년 전시 컨퍼런스: 독립기념관 제3차 상설전시관 교체보완을 위한 새로운 접근"
56 노명환, "19세기 독일의 역사주의 실증사학과 기록관리 제도의 정립:랑케, 지벨 그리고 레만과 출처주의/ 원질서 원칙" 한국기록학회 (14) : 359-388, 2006
57 메모리[人] 서울프로젝트 기억수집가, "1995년 서울, 삼풍 - 사회적 기억을 위한 삼풍백화점 참사 기록" 동아시아출판사 2016
58 김택현, "'서발턴의 역사(Subaltern History)'와 제3세계의 역사주체로서의 서발턴" 역사교육연구회 (72) :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