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인터랙티브 아트 체험 과정에서 관람자의 서사적 몰입을 유도하기 위해 현존하는 캐릭터’의 유용성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과정은 물리적 현존감을 중심으로 진행...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988089
2024
Korean
004
학술저널
1099-1104(6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인터랙티브 아트 체험 과정에서 관람자의 서사적 몰입을 유도하기 위해 현존하는 캐릭터’의 유용성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과정은 물리적 현존감을 중심으로 진행...
본 연구는 인터랙티브 아트 체험 과정에서 관람자의 서사적 몰입을 유도하기 위해 현존하는 캐릭터’의 유용성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과정은 물리적 현존감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는 기존 연구를 보완하여 인터랙티브 아트에서 상호작용성과 서사성의 조화를 이루는 스토리텔링 구조 구축에 필요하다. 이를 위해 사회적 현존감과 사회적 사실주의, 대체 현실 게임에 관한 선행 연구를 통해 현존하는 캐릭터의 개념을 새롭게 제시한다. 이후 대체 현실의 개념을 적용한 현대 미술과 대체 현실 게임 작품 사례를 분석하여 인터랙티브 아트 스토리텔링에서 현존하는 캐릭터의 활용 방향을 제시하고자 했다.
목차 (Table of Contents)
뇌성마비 환자의 지속가능한 재활운동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UX 디자인 : 조력자와의 협업 관계를 중심으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만성 요통의 관리 경험 연구: 인지행동치료와 재활운동의 복합적 적용 사례를 중심으로
비대면 진료 서비스 내 PHR 데이터 활용을 위한 가이드라인 제안 - 소아환자의 의료상담 중심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