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중앙아시아에 전승되고 있는 산포수 출신 고려인의 민족영웅인 홍범도 서사담의 전승양상을 밝히고, 현대적 영웅담의 서사구조를 탐색하였다. 〈일지〉를 통해 본 홍범도의 생...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673578
2018
Korean
홍범도 서사담 ; 산포수 ; 현대영웅담 ; 영웅 ; 인간성 ; 중앙아시아 고려인 ; Hong Beomdo folktales ; mountain hunter ; folktales of modern heroes ; hero ; humanity ; Goryeoin in Central Asia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105-136(32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중앙아시아에 전승되고 있는 산포수 출신 고려인의 민족영웅인 홍범도 서사담의 전승양상을 밝히고, 현대적 영웅담의 서사구조를 탐색하였다. 〈일지〉를 통해 본 홍범도의 생...
본 연구는 중앙아시아에 전승되고 있는 산포수 출신 고려인의 민족영웅인 홍범도 서사담의 전승양상을 밝히고, 현대적 영웅담의 서사구조를 탐색하였다.
〈일지〉를 통해 본 홍범도의 생애는 1869년 평양의 미천한 집에서 태어나서 부모님이 일찍 돌아가시고, 금강산 신계사에서 1년간 수련하며 민족의식과 반일감정을 배웠다. 그는 의병활동 중에 패배한 적이 거의 없는 탁월한 업적을 남긴 평민출신의 의병대장이었다. 봉오동과 청산리 전투 후 러시아에 들어가 협동농장을 주도하다가, 1937년 카자흐스탄 크즐오르다로 강제 이주 당하여 1943년 최후를 맞이하였다.
홍범도 서사담에 나타난 영웅적 모습에는 3가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첫째, 홍범도의 인간성을 보여준다. 무식하지만 정직하고 맡은 일을 소신껏 처리하는 무서운 인물이다. 둘째, 의병활동과 관련된 탁월한 민족적 영웅의 능력을 보여준다. 셋째, 탁월한 능력에도 이주한 민족적 한계로 비극적인 존재임을 보여준다.
홍범도 서사담은 고려인들이 그를 영웅으로 인식하며 전승하고 있어, 현대적 영웅서사담이라 할 수 있다. 현대적 영웅서사담의 구조적 특징은 기존의 신화적이나 민중적, 비극적 영웅담 구조와 달리 전체적인 일생담들이 전승되지 않거나 인과적 관련성을 가지지 못하고 있다. 탄생담이나 성장담이 거의 전승되지 않고, 오직 활동담 중심으로 전승되고 있다. 이를 구조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황만금, 김만삼 등 다른 사회주의 계열 영웅담을 고찰해야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revealed the tradition of folktales of Hong Beom do, a Goryeoin ethnic hero from a mountain hunter, handed down to Gentral Asia, and explored the narrative structure of modern hero folktales. In the life of Hong Beom do as seen through ...
This study revealed the tradition of folktales of Hong Beom do, a Goryeoin ethnic hero from a mountain hunter, handed down to Gentral Asia, and explored the narrative structure of modern hero folktales.
In the life of Hong Beom do as seen through 〈Ilji 일지〉, he was born in 1869 in a humble home in Pyeongyang, where his parents died early, trained at Shingye temple in the Geumgangsan for one year, and learned about national consciousness and anti Japanese sentiments. He was a captain of the righteous army from the common people who left outstanding achievements without being defeated by the enemies during the righteous army service. After the battles of Bongohdong and Cheongsanri, he entered Russia and led a cooperative farm, and lie was forced to move to Kyzylorda, Kazakhstan in 1937 and came to the end in 1943.
The tradition type of Hong Beom do folktales shows, first, the humanity of Hong Beom do. He was shown to be ignorant but honest and a horrible person who conducted what he had to do. Second, he showed the outstanding heroic ability related to the righteous army service. Third, it was shown that lie was a tragic existence with a national limitation that he had to migrate in spite of his excellent ability.
Hong Beom do’s folktales, which Goryeoins handed down regarding him as a hero, can be said to be folktales of modern heroes.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modern hero folktales, unlike the structure of existing hero folktales, are not inherited or causally related with the lifetime folktales, and are handed down only with activity folktales. To embody the structure, it is necessary to explore folktales of other socialist heroes such as Hwang Man geum and Kim Man sam, etc.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신용하, "홍범도 의병부대의 항일무장투쟁" 1 : 1986
2 송우혜, "최근의 홍범도 연구, 오류, 허점 많다" 3 (3): 1988
3 "증보한국구비문학대계 (우즈베키스탄편), (카자흐스탄편)"
4 이문웅, "중앙아시아 한인사회의 민족예술활동" 서강대 동아연구소 2 : 1983
5 이복규, "중앙아시아 고려인의 구전설화" 집문당 2008
6 강현모, "중앙아시아 고려인설화 현지조사"
7 박영석, "재만 한인 독립운동사 연구" 일조각 1988
8 김세일, "장편소설 홍범도(1-3권)" 신문학사 1989
9 홍범도, "자필이력서와 자서전"
10 강현모, "우즈벡 고려인의 구비설화 전승양상과 의미-전승방식을 중심으로-" 비교민속학회 (45) : 351-379, 2011
1 신용하, "홍범도 의병부대의 항일무장투쟁" 1 : 1986
2 송우혜, "최근의 홍범도 연구, 오류, 허점 많다" 3 (3): 1988
3 "증보한국구비문학대계 (우즈베키스탄편), (카자흐스탄편)"
4 이문웅, "중앙아시아 한인사회의 민족예술활동" 서강대 동아연구소 2 : 1983
5 이복규, "중앙아시아 고려인의 구전설화" 집문당 2008
6 강현모, "중앙아시아 고려인설화 현지조사"
7 박영석, "재만 한인 독립운동사 연구" 일조각 1988
8 김세일, "장편소설 홍범도(1-3권)" 신문학사 1989
9 홍범도, "자필이력서와 자서전"
10 강현모, "우즈벡 고려인의 구비설화 전승양상과 의미-전승방식을 중심으로-" 비교민속학회 (45) : 351-379, 2011
11 강현모, "우즈벡 고려인 영웅, 김병화 서사담 연구" 한국언어문학회 (93) : 111-133, 2015
12 김균태, "우즈베키스탄 고려인의 이주와 삶" 굴누림 2015
13 김세일, "역사기록소설 홍범도(5편)" 제3문학사 1990
14 윤정헌, "역사기록소설 「홍범도」 연구" 8 : 2001
15 신용하, "독립군의 청산리 독립전쟁의 연구" 을유문화사 1985
16 강진구, "구소련권 고려인 문학에 나타난 역사 복원 욕망 연구 - 김세일의 장편소설 ?홍범도?를 중심으로" 민족문학사학회 25 : 302-329, 2004
17 박명진, "고려인 희곡 문학의 정체성과 역사성 - 연성용 희곡을 중심으로 -" 한국극예술학회 (19) : 171-217, 2004
18 장세윤, "‘홍범도 일지’를 통해 본 홍범도의 생애와 항일무장투쟁" 5 : 1991
19 반병률, "‘홍범도 일기’ 판본 검토와 쟁점" 31 : 2008
민중적 시각으로 본 문화콘텐츠의 권력구조적 불평등 양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