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농민들의 저항과 마을 지식의 재구성 = 경북 영양군 H마을 풍력발전 반대운동의 민속지적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67357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영양군에 소재한 한 마을에서의 풍력발전단지 개발 과정과 그에 따른 주민들의 대응방식을 다루고 있다. 특히 초점을 맞췄던 것은 주민들에 의해 저항의 수단과 논리로 채택된 마을 지식의 형태와 의미들이다. H마을 풍력발전 단지 조성 사업은 시작당시부터 주민 동의나 의견 수렴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 또한 주민들의 생존권과 재산권이 제대로 보장되지 않았기 때문에, 사회적 갈등이 폭발한 가능성이 매우 높았다.
      인허가기관이자 관리·감독기관인 영양군, 산림청, 환경청 등을 대상으로 한 주민들의 투쟁과정에서, 그들이 의제화했던 것은 `안전`과 `환경`의 문제이다. 풍력회사나 군청과 같은 개발 주체들의 개발 논리를 뒷받침 한 것이, 바로 〈전략환경평가서〉로 대표되는, 소위 전문가 집단이나 해당관청에 의해 생산·승인된 마을 시공간에 대한 지식들이다. 각종 통계와 전문 용어로 이뤄진 마을과 주산에 대한 지식은, 그들의 개발 행위를 정당화시켜주는 역할을 수행해 왔다.
      반면 주민들은 오랜 세월을 통한 경험적 지식의 형태로 마을 및 주산의 생태나 환경적 특성을 이해하고 있었다. 그리고 이 싸움의 과정에서 주민들의 마을 생태나 환경에 대한 지식은 저항의 핵심적인 논리와 수단으로 활용되어졌다. 특히 이 글을 통해 `환경 정치`와 풍력발전을 둘러싼 사회적 담론의 영역에서 마을 생태나 환경에 대한 주민들의 지식이 어떤 방식으로 부각되었으며, 이를 활용해 주민들이 승리할 수 있는 결정적 계기가 되었음을 보여주었다.
      번역하기

      이 글은 영양군에 소재한 한 마을에서의 풍력발전단지 개발 과정과 그에 따른 주민들의 대응방식을 다루고 있다. 특히 초점을 맞췄던 것은 주민들에 의해 저항의 수단과 논리로 채택된 마을...

      이 글은 영양군에 소재한 한 마을에서의 풍력발전단지 개발 과정과 그에 따른 주민들의 대응방식을 다루고 있다. 특히 초점을 맞췄던 것은 주민들에 의해 저항의 수단과 논리로 채택된 마을 지식의 형태와 의미들이다. H마을 풍력발전 단지 조성 사업은 시작당시부터 주민 동의나 의견 수렴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 또한 주민들의 생존권과 재산권이 제대로 보장되지 않았기 때문에, 사회적 갈등이 폭발한 가능성이 매우 높았다.
      인허가기관이자 관리·감독기관인 영양군, 산림청, 환경청 등을 대상으로 한 주민들의 투쟁과정에서, 그들이 의제화했던 것은 `안전`과 `환경`의 문제이다. 풍력회사나 군청과 같은 개발 주체들의 개발 논리를 뒷받침 한 것이, 바로 〈전략환경평가서〉로 대표되는, 소위 전문가 집단이나 해당관청에 의해 생산·승인된 마을 시공간에 대한 지식들이다. 각종 통계와 전문 용어로 이뤄진 마을과 주산에 대한 지식은, 그들의 개발 행위를 정당화시켜주는 역할을 수행해 왔다.
      반면 주민들은 오랜 세월을 통한 경험적 지식의 형태로 마을 및 주산의 생태나 환경적 특성을 이해하고 있었다. 그리고 이 싸움의 과정에서 주민들의 마을 생태나 환경에 대한 지식은 저항의 핵심적인 논리와 수단으로 활용되어졌다. 특히 이 글을 통해 `환경 정치`와 풍력발전을 둘러싼 사회적 담론의 영역에서 마을 생태나 환경에 대한 주민들의 지식이 어떤 방식으로 부각되었으며, 이를 활용해 주민들이 승리할 수 있는 결정적 계기가 되었음을 보여주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has examined the process of developing a wind farm in a village located in Yeongyang-gun, Gyeongbuk and the residents` response accordingly. In particularly, the study has focused on the forms and meanings of village knowledge adopted as a means and rationale for the resistance of the residents. What residents raised issue with during the process of their struggling against the wind farm development and conflict with the related administrative agencies were `safety` and `environment`. It is the knowledge about village represented by the 〈Strategic Environmental Assessment〉 created and approved by the so-called expert groups or villages produced and approved by the relevant local authorities that back up the development rationale of key players such as wind farm corporations and Gun Office. The knowledge about a village and its residents mostly described by a variety of statistics and technical jargons has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justifying the development initiatives and activities. On the other hand, the village residents have a deep understanding of the ecological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their village in the form of empirical knowledge accumulated through many years. This practical knowledge of village ecology and environment has been used as a key logic and means of resistance in the course of this conflict. In particular, this study has shown that the knowledge about the ecology and environment of the village has dramatically emerged as a crucial variable in the social discourse as to `environmental politics` and wind power generation and is able to turn things around in residents` favor and ultimate victory.
      번역하기

      This study has examined the process of developing a wind farm in a village located in Yeongyang-gun, Gyeongbuk and the residents` response accordingly. In particularly, the study has focused on the forms and meanings of village knowledge adopted as a ...

      This study has examined the process of developing a wind farm in a village located in Yeongyang-gun, Gyeongbuk and the residents` response accordingly. In particularly, the study has focused on the forms and meanings of village knowledge adopted as a means and rationale for the resistance of the residents. What residents raised issue with during the process of their struggling against the wind farm development and conflict with the related administrative agencies were `safety` and `environment`. It is the knowledge about village represented by the 〈Strategic Environmental Assessment〉 created and approved by the so-called expert groups or villages produced and approved by the relevant local authorities that back up the development rationale of key players such as wind farm corporations and Gun Office. The knowledge about a village and its residents mostly described by a variety of statistics and technical jargons has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justifying the development initiatives and activities. On the other hand, the village residents have a deep understanding of the ecological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their village in the form of empirical knowledge accumulated through many years. This practical knowledge of village ecology and environment has been used as a key logic and means of resistance in the course of this conflict. In particular, this study has shown that the knowledge about the ecology and environment of the village has dramatically emerged as a crucial variable in the social discourse as to `environmental politics` and wind power generation and is able to turn things around in residents` favor and ultimate victor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마을 지식의 의미와 가치
      • 2. 풍력발전 단지 조성과 사회적 갈등의 심화
      • 3. 주민의 대응과 마을 지식
      • 4. 요약과 전망
      • [국문초록]
      • 1. 마을 지식의 의미와 가치
      • 2. 풍력발전 단지 조성과 사회적 갈등의 심화
      • 3. 주민의 대응과 마을 지식
      • 4. 요약과 전망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환경일보 2017년 10월 19일"

      2 이순자, "한국에서 재생에너지의 한계점 및 개선사항 - 풍력발전을 중심으로 -" 비교법학연구소 15 : 1-32, 2015

      3 한재각, "한국 풍력발전과 주민갈등 연구 : 제주 난산 및 경북 영양 풍력단지 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환경사회학회 2016

      4 "한겨레신문 2017년 10월 19일"

      5 "프레시안 2017년 10월 19일"

      6 최현, "제주의 바람: 공동자원론적 관리 방식" 탐라문화연구원 (46) : 97-126, 2014

      7 김동주, "제주도 바람의 사회적 변형과 그 함의: 자원화와 공유화" 한국환경사회학회 16 (16): 163-204, 2012

      8 국회사무처, "제351회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회의록 제 4호"

      9 김동주, "자연의 수탈과 풍력발전: 제주도 바람의 사유화, 상품화, 자본화" 한국환경사회학회 19 (19): 213-256, 2015

      10 이순자, "육상 풍력발전시설 개발에 있어서 공공성 강화 방안― 제주특별법상 풍력자원의 공공적 관리제도 검토를 중심으로 ―" 비교법학연구소 42 : 309-345, 2014

      1 "환경일보 2017년 10월 19일"

      2 이순자, "한국에서 재생에너지의 한계점 및 개선사항 - 풍력발전을 중심으로 -" 비교법학연구소 15 : 1-32, 2015

      3 한재각, "한국 풍력발전과 주민갈등 연구 : 제주 난산 및 경북 영양 풍력단지 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환경사회학회 2016

      4 "한겨레신문 2017년 10월 19일"

      5 "프레시안 2017년 10월 19일"

      6 최현, "제주의 바람: 공동자원론적 관리 방식" 탐라문화연구원 (46) : 97-126, 2014

      7 김동주, "제주도 바람의 사회적 변형과 그 함의: 자원화와 공유화" 한국환경사회학회 16 (16): 163-204, 2012

      8 국회사무처, "제351회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회의록 제 4호"

      9 김동주, "자연의 수탈과 풍력발전: 제주도 바람의 사유화, 상품화, 자본화" 한국환경사회학회 19 (19): 213-256, 2015

      10 이순자, "육상 풍력발전시설 개발에 있어서 공공성 강화 방안― 제주특별법상 풍력자원의 공공적 관리제도 검토를 중심으로 ―" 비교법학연구소 42 : 309-345, 2014

      11 울리히 벡, "위험사회–새로운 근대(성)을 향하여" 새물결 2006

      12 "오마이뉴스 2017년 10월 19일"

      13 영양에코파워, "영양군 영양읍 양구리 풍력발전단지 계획(안) 군계획시설 결정(변경) 및 실시설계(변경)에 따른 전략환경영향평가서(변경협의)"

      14 피터 L 버거, "실재의 사회적 재구성: 지식사회학 논고" 문학과지성사 2013

      15 염미경, "신재생에너지시설입지에대한지역주민들의태도 -풍력발전단지 입지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소 24 : 181-221, 2009

      16 박순열, "새만금개발을 둘러싼 사회적 갈등의 구조와 특징" 한국환경사회학회 11 (11): 133-166, 2007

      17 구도완, "새만금 사업의 사회적 영향 ― 2006년 끝물막이 공사 이후를 중심으로" 한국환경사회학회 15 (15): 39-80, 2011

      18 함한희, "새만금 사업으로 파괴되는 마을 공동체와 주민의 삶" 환경과생명 28 : 2001

      19 한상진, "밀양 송전탑 주민 및 현대자동차 비정규직 노동자의 희생과 연대를 통한 정의로운 지속가능성의 지향" 비판사회학회 (105) : 201-227, 2015

      20 이진교, "마을사회의 위기와 의례적 대응 - 풍력발전 반대 ‘산신제’에 대한 민속지적 연구 -" 민속학연구소 (35) : 209-244, 2017

      21 김준, "대형 간척사업이 지역주민의 삶에 미치는 영향-새만금사업을 중심으로" 한국환경사회학회 11 (11): 285-316, 2007

      22 "대구지방환경청 보도자료"

      23 정수진, "농촌관광과 민속학 연구 재고-이천 자채방아 마을 사례로부터-" 실천민속학회 13 : 95-122, 2009

      24 이상돈 의원실, "국립생태원 AWP 영양풍력발전 전략환경영향평가 조작 확인 보도자료"

      25 제임스 C. 스캇, "국가처럼 보기: 국가는 왜 계획에 실패하는가" 에코라이브러리 2010

      26 김영, "구술생애사 기록을 통해 본 사회운동참여의 맥락: 밀양765kV송전탑건설반대운동에 참여한 여성주민들의 구술생애사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기록학회 (44) : 101-151, 2015

      27 하상군, "공공 갈등의 합리적 관리를 위한 방안 연구: 밀양 송전탑 건설의 갈등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원 21 (21): 81-108, 2014

      28 구혜경, "개발에 의한 생업환경(生業環境)의 변화와 공동체신앙의 적응 -계화도를 중심으로-" 실천민속학회 19 : 93-124, 2012

      29 James, Ferguson, "The Anthropology of Politics" Blackwell 2002

      30 Robert, Chamber, "Power and Participatory Development: Theory and practice" Intermediate Technology Publications 1995

      31 함한희, "Human Life in Saemangeum after Reclamation"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13 (13): 313-326, 2010

      32 국회사무처, "2017년 국정감사 환경노동위원회 회의록"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6 0.56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