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에서는 소설 속 삽입 민요가 어떻게 존재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당대의 현실을 사실적으로 그려내었다고 평가받는 이기영과 강경애의 소설을 분석했다. 이를 통해 대상 소설 속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673579
2018
Korean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137-173(37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에서는 소설 속 삽입 민요가 어떻게 존재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당대의 현실을 사실적으로 그려내었다고 평가받는 이기영과 강경애의 소설을 분석했다. 이를 통해 대상 소설 속 ...
이 글에서는 소설 속 삽입 민요가 어떻게 존재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당대의 현실을 사실적으로 그려내었다고 평가받는 이기영과 강경애의 소설을 분석했다. 이를 통해 대상 소설 속 삽입민요의 기능범주별 수록양상과 함께 소설 내에서의 기능을 살펴볼 수 있었다.
수록된 민요는 농산노동요, 임산노동요, 공산노동요, 토건노동요, 광산노동요, 통과의식요, 자연물유희요, 가창유희요의 여덟 개 상위 범주에 하위〈모심는소리〉,〈논삶는소리〉,〈논매는소리〉,〈밭매는소리〉,〈도리깨질하는소리〉,〈나무끌어내리는소리〉,〈풀베는소리〉,〈절구방아찧는소리〉,〈세척용수품는소리〉,〈운상하는소리〉,〈노름하는소리〉,〈방아깨비부리는소리〉,〈개똥벌레잡는소리〉,〈잠자리잡는소리〉,〈예인곡향유하는소리〉등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삶의 현장에서 불린 민요들이 소설 속에서도 다양하게 등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소설 삽입민요의 기능은 다음의 세 가지로 정리해 볼 수 있었다. 상황에 대한 세부 묘사적 기능, 불합리한 현실을 비판하기 위한 도구적 기능, 등장인물의 심리를 표출하는 기능이 그것이다. 무엇보다 현실의 불합리를 줄여가며 삶의 진보를 이루는데 기여하는 민요가 소설 속에서도 유사하게 기능하고 있음이 특징적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nalyzed novels by Lee Gi-Yeong and Kang Kyeong-Ae who have been evaluated as realistically describing the reality of the time, in order to understand how folk songs inserted in novels were existing. On top of the aspect of containing folk ...
This paper analyzed novels by Lee Gi-Yeong and Kang Kyeong-Ae who have been evaluated as realistically describing the reality of the time, in order to understand how folk songs inserted in novels were existing. On top of the aspect of containing folk songs inserted in the subject novels in each functional category, the functions in the novels were examined.
The contained folk songs included eight upper-categories such as farming work song, forest work song, industrial work song, civil work song, mine work song, passage ritual song, natural object play song, and singing play song, and sub-categories like 〈Sound of planting rice plants〉, 〈Sound of plowing a rice field〉, 〈Sound of weeding a rice paddy〉,〈Sound of weeding a field〉, 〈Sound of flailing〉, 〈Sound of dragging down wood〉, 〈Sound of cutting grass〉, 〈Sound of pestling〉, 〈Sound of spraying water for cleaning〉, 〈Sound of carrying a bier〉, 〈Sound of gambling〉, 〈Sound of handling a long-headed grasshopper〉, 〈Sound of catching fireflies〉, 〈Sound of catching dragonflies〉, and 〈Sound of enjoying Yeingok〉. It shows that folk songs enjoyed at field of life were diversely appeared in novels.
The functions of folk songs inserted in navels could be summarized as three such as detailed descriptive function of situations, instrumental function for criticizing the irrational reality, and function to express characters’ psychology. Folk songs contributing to the progress of life by reducing the irrationality of reality are also similarly functioning in novels, which is the characteristic.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박관수, "홍천 지역 <곱새치기>의 유희 지향" 한국민요학회 34 : 67-86, 2012
2 유명희, "한국의 웃음문화(김유정 탄생 100주년 발표논문집)" 한국웃음문화학회 2008
3 "한국민요대전-충청남도편"
4 "한국민속대백과사전" 국립민속박물관
5 조동일, "한국문학강의" 길벗 1994
6 김동욱, "한국가요의 연구" 을유문화사 1961
7 강등학, "한국 민요의 존재양상과 판도" 민속원 2016
8 강등학, "한국 구비문학의 이해" 월인 2005
9 전경욱, "한국 가면극 그 역사와 원리" 열화당 1998
10 서대석, "판소리와 서사무가의 대비연구"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34 : 1979
1 박관수, "홍천 지역 <곱새치기>의 유희 지향" 한국민요학회 34 : 67-86, 2012
2 유명희, "한국의 웃음문화(김유정 탄생 100주년 발표논문집)" 한국웃음문화학회 2008
3 "한국민요대전-충청남도편"
4 "한국민속대백과사전" 국립민속박물관
5 조동일, "한국문학강의" 길벗 1994
6 김동욱, "한국가요의 연구" 을유문화사 1961
7 강등학, "한국 민요의 존재양상과 판도" 민속원 2016
8 강등학, "한국 구비문학의 이해" 월인 2005
9 전경욱, "한국 가면극 그 역사와 원리" 열화당 1998
10 서대석, "판소리와 서사무가의 대비연구"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34 : 1979
11 박지인, "판소리와 가면극의 상여소리 수용양상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7
12 한정미, "판소리사설의 민요수용양상과 연창자들의 민요수용에 대한 인식 -춘향가, 심청가, 흥부가를 중심으로-" 한국민속학회 35 : 233-251, 2002
13 이유진, "판소리 삽입민요의 존재양상과 차용경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6
14 이영식, "판소리 삽입가요 중 ‘언어유희성 노래’의 사설 구성양상" 한국민요학회 8 : 2000
15 朴官洙, "판소리 借用가요의 성격과 기능 연구"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1995
16 박진태, "탈놀이의 기원과 구조" 새문사 1990
17 김옙선, "조선후기 우화소설 <두껍전>의 구비문학적 특성"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4 : 2008
18 강등학, "정선 아라리의 연구" 집문당 1988
19 이영식, "장례요의 존재양상과 사설 연구" 강릉대학교 대학원 2007
20 이영식, "언어와 교육-매석김일병교수 정년퇴임기념논총" 박이정 2012
21 이기영, "신개지" 풀빛 1989
22 김대행, "시조․가사․무가․판소리․민요의 교섭 양상" 고려대 한국학연구소 7 : 1995
23 인권환, "수궁가의 설화적 구성과 사설의 양상" 고려대학교 국문학연구회 27 : 1987
24 조정래, "소설이란 무엇인가" 평민사 1991
25 이기영, "서화" 풀빛 1992
26 이기영, "봄" 풀빛 1989
27 최현재, "구활자본 고전소설 <藥山東臺>의 삽입가요 연구" 한국시가학회 41 : 229-255, 2016
28 이기영, "고향" 풀빛 1989
29 이상경, "강경애 전집" 소명출판 2002
30 정형호, "가면극에 나오는 가요의 수용 양상-봉산탈춤을 중심으로" 한국민요학회 6 : 1998
31 한창훈, "가면극 삽입가요의 기능과 성격" 16 : 2000
32 田耕旭, "春香傳 作品群 歌謠의 形成과 機能" 高麗大學校 大學院 1989
33 김태준, "『남원고사』의 삽입문예양식과 그 민중적 성격 -판소리계 소설에 보이는 문예양식의 섞임과 바뀜에 대하여-" 한국문학연구소 (12) : 169-185, 1989
34 강등학, "<모심는소리>와 <논매는소리>의 전국적 판도 및 농요의 권역에 관한 연구" 한국민속학회 38 : 15-91, 2003
민중적 시각으로 본 문화콘텐츠의 권력구조적 불평등 양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