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회복효과에 기반한 배터리 사용 시간 연장 기법 = Battery Lifetime Enhancement Based on Recovery Effec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12399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proposes a battery lifetime enhancement method based on the nonlinear discharge charisteristics called recovery effect. In general, the stored energy in a battery is considered in the prediction of battery lifetime. However, due to the chem...

      This paper proposes a battery lifetime enhancement method based on the nonlinear discharge charisteristics called recovery effect. In general, the stored energy in a battery is considered in the prediction of battery lifetime. However, due to the chemical reaction in a battery, more energy can be drawn from a battery when it is not continuously but intermittently discharged, which is called recovery effect. In the proposed method, several battery cells are alternately discharged, and some battery cells rest while maintaining the system power supply. This makes recovery effect of battery cells, which extends battery lifetime. In the experiment, battery lifetime increases about 7% in the alternating discharge of two battery cells, when compared with conventional parallel discharg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배터리의 비선형적 방전 특성인 회복효과를 사용하여 배터리의 사용 시간을 연장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일반적으로 배터리의 사용 시간을 예측할 때에는 배터리 내부에 저장...

      본 논문에서는 배터리의 비선형적 방전 특성인 회복효과를 사용하여 배터리의 사용 시간을 연장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일반적으로 배터리의 사용 시간을 예측할 때에는 배터리 내부에 저장된 에너지가 일정하다고 가정하지만, 실제로는 배터리 내부의 화학 반응 때문에 배터리를 계속 방전시키지 않고 중간에 쉬는 시간을 만들어주면 더 많은 에너지를 끌어낼 수 있는데 이를 회복효과라 한다. 제안하는 기법에서는 다수의 배터리 셀을 교대로 방전시킴으로서 기기의 전력 공급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배터리 셀 일부를 쉬게 하여 회복효과를 발생시키고, 이에 따라 배터리의 사용 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다. 실험 결과, 2개의 배터리 셀을 기존처럼 병렬 연결하여 방전시키는 것에 비해 배터리 셀을 교대로 방전시키면 배터리 사용시간이 약 7% 증가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용주, "회복효과를 이용한 배터리 사용시간 연장기술" 대한전자공학회 48 (48): 33-38, 2011

      2 박철규, "배터리 용량측정을 위한 고해상도 Integrating Sigma-Delta ADC 설계" 한국전기전자학회 16 (16): 28-33, 2012

      3 임창종, "고 효율 저 리플 전압 특성을 갖는 모바일용 동기 형 벅 컨버터" 한국전기전자학회 15 (15): 319-323, 2011

      4 F. Qin, "Battery Recovery Aware Sensor Networks" 203-211, 2009

      5 R. Rao, "Battery Models for Energy Aware System Design" 36 : 1019-1030, 2003

      6 T. Martin, "Balancing Batteries, Power, and Performance: System Issues in CPU Speed-Setting for Mobile Computing" Carnegie Mellon University 1999

      7 M. Doyle, "Analysis of Capacity-Rate Data for Lithium Batteries Using Simplified Models of the Discharge Process" 27 (27): 846-856, 1997

      8 J. Nam, "A Study on Cell Equalizing of Secondary Battery" 143-145, 2006

      1 장용주, "회복효과를 이용한 배터리 사용시간 연장기술" 대한전자공학회 48 (48): 33-38, 2011

      2 박철규, "배터리 용량측정을 위한 고해상도 Integrating Sigma-Delta ADC 설계" 한국전기전자학회 16 (16): 28-33, 2012

      3 임창종, "고 효율 저 리플 전압 특성을 갖는 모바일용 동기 형 벅 컨버터" 한국전기전자학회 15 (15): 319-323, 2011

      4 F. Qin, "Battery Recovery Aware Sensor Networks" 203-211, 2009

      5 R. Rao, "Battery Models for Energy Aware System Design" 36 : 1019-1030, 2003

      6 T. Martin, "Balancing Batteries, Power, and Performance: System Issues in CPU Speed-Setting for Mobile Computing" Carnegie Mellon University 1999

      7 M. Doyle, "Analysis of Capacity-Rate Data for Lithium Batteries Using Simplified Models of the Discharge Process" 27 (27): 846-856, 1997

      8 J. Nam, "A Study on Cell Equalizing of Secondary Battery" 143-145,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0-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KCI등재후보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10-1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IKEEE KCI등재후보
      2005-05-30 학술지등록 한글명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후보
      2005-03-25 학회명변경 한글명 : (사) 한국전기전자학회 -> 한국전기전자학회
      영문명 : 미등록 -> Institute of Korean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 0.3 0.2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4 0.22 0.262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