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朝鮮時代 史書의 權漢功에 대한 서술과 『一齋先生實紀』의 편찬 = Description of Gwon Hangong in Historical Books of Joseon Dynasty and Publication of ‘Iljeseonsaengsilgi(一齋先生實紀)’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6002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Gwon Hangong is a leading member of the Andong Gwon family. He lived during the period of the Yuan intervention in Goryeo, passed the state examination and went on to become the highest- ranking official, jeongseung, and his offsprings thrived. He was much favored by King Chungseon, and he involved in enthroning Shimwang Goh to replace King Chungsuk. For this act, he was included in the list of disloyal officials in ‘Goryeosa’ published in the early period of Joseon Dynasty. His reputation continued to deteriorate in subsequent historical books including ‘Dongguktonggam (東國通鑑)’, ‘Yeosajegang(麗史提綱)’ and ‘Dongsagangmok(東史綱目).’ He used to be a celebrated figure in the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period, but by the late Joseon period, he was seen as a distinctly disloyal official of Goryeo Dynasty.
      Gwon Hangong’s offsprings suffered most from this change in reputation. Particularly, as genealogy became established as a basis for clan rules, the importance of direct ancestors grew, and Gwon Hangong’s offsprings could not be proud of him even though he was at the center of the family clan as jungsijo(中始祖). To overcome criticism in major historical books of Joseon Dynasty and negative public opinion, they published ‘Iljaeseonsaengilgo’ and ‘Iljaeseonsaengsilgi’, hoping to restore honor of Gwon Hangong. These books introduced poems and proses written by Gwon Hangong to emphasize that he was an outstanding writer, and contained his many triumphant achievements to show that he was a distinguished man. His shameful actions that were criticized in Joseon historical books were omitted, or they were strongly refuted or explanations were given. However, these efforts had only limited effect since Gwon Hangong’s bad behaviors are indelibly recorded in ‘Goryeosa’ and ‘Goryeosajeolyo’.
      번역하기

      Gwon Hangong is a leading member of the Andong Gwon family. He lived during the period of the Yuan intervention in Goryeo, passed the state examination and went on to become the highest- ranking official, jeongseung, and his offsprings thrived. He was...

      Gwon Hangong is a leading member of the Andong Gwon family. He lived during the period of the Yuan intervention in Goryeo, passed the state examination and went on to become the highest- ranking official, jeongseung, and his offsprings thrived. He was much favored by King Chungseon, and he involved in enthroning Shimwang Goh to replace King Chungsuk. For this act, he was included in the list of disloyal officials in ‘Goryeosa’ published in the early period of Joseon Dynasty. His reputation continued to deteriorate in subsequent historical books including ‘Dongguktonggam (東國通鑑)’, ‘Yeosajegang(麗史提綱)’ and ‘Dongsagangmok(東史綱目).’ He used to be a celebrated figure in the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period, but by the late Joseon period, he was seen as a distinctly disloyal official of Goryeo Dynasty.
      Gwon Hangong’s offsprings suffered most from this change in reputation. Particularly, as genealogy became established as a basis for clan rules, the importance of direct ancestors grew, and Gwon Hangong’s offsprings could not be proud of him even though he was at the center of the family clan as jungsijo(中始祖). To overcome criticism in major historical books of Joseon Dynasty and negative public opinion, they published ‘Iljaeseonsaengilgo’ and ‘Iljaeseonsaengsilgi’, hoping to restore honor of Gwon Hangong. These books introduced poems and proses written by Gwon Hangong to emphasize that he was an outstanding writer, and contained his many triumphant achievements to show that he was a distinguished man. His shameful actions that were criticized in Joseon historical books were omitted, or they were strongly refuted or explanations were given. However, these efforts had only limited effect since Gwon Hangong’s bad behaviors are indelibly recorded in ‘Goryeosa’ and ‘Goryeosajeolyo’.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원간섭기에 살았던 권한공은 과거 급제 후 최고위 관직인 정승에 올랐고, 그 자손이 번창하여 안동권씨를 대표하는 인물의 하나가 되었다. 그런데 충숙왕을 대신하여 심왕 고를 옹립하는 일을 도모해서 조선초 『고려사』 편찬시에 간신전에 포함되었다. 이후 『東國通鑑』, 『麗史提綱』, 『東史綱目』 등 새로운 역사서가 나올 때마다 그에 대한 평가는 더욱 가혹해져갔다. 여말선초만 해도 ‘명사’의 반열에 들었던 권한공은 조선후기에는 ‘고려시대를 대표하는 간신’이 되어버렸던 것이다. 이러한 변화로 인해 가장 고통받는 사람들은 권한공의 후손들이었다. 조선후기에 종법질서가 확립됨에 따라 직계 조상이 중요해졌는데, 그들은 종족의 중심이 되는 中始祖인 권한공을 떳떳하게 내세울 수 없었다. 이에 그들은 조선시대 주요 사서의 사론과 세평을 극복하고 권한공의 명예 회복을 위해 『일재선생일고』와 『일재선생실기』를 편찬하였다. 이 책에서는 권한공이 지은 시와 문장을 모아 그가 뛰어난 문장가임을 강조하였고, 그의 행적 가운데 자랑스러운 것들을 많이 실어 위대한 인물임을 알리고자 하였다. 반면에 조선시대 사서에서 비난을 받았던 부끄러운 일들은 기록하지 않았으며 때로는 적극적으로 그것을 반박하거나 해명하였다. 그러나 『고려사』와 『고려사절요』에 들어있는 권한공의 나쁜 행적은 영원히 지워질 수 없었기 때문에 권한공 후손들의 노력은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었다.
      번역하기

      원간섭기에 살았던 권한공은 과거 급제 후 최고위 관직인 정승에 올랐고, 그 자손이 번창하여 안동권씨를 대표하는 인물의 하나가 되었다. 그런데 충숙왕을 대신하여 심왕 고를 옹립하는 일...

      원간섭기에 살았던 권한공은 과거 급제 후 최고위 관직인 정승에 올랐고, 그 자손이 번창하여 안동권씨를 대표하는 인물의 하나가 되었다. 그런데 충숙왕을 대신하여 심왕 고를 옹립하는 일을 도모해서 조선초 『고려사』 편찬시에 간신전에 포함되었다. 이후 『東國通鑑』, 『麗史提綱』, 『東史綱目』 등 새로운 역사서가 나올 때마다 그에 대한 평가는 더욱 가혹해져갔다. 여말선초만 해도 ‘명사’의 반열에 들었던 권한공은 조선후기에는 ‘고려시대를 대표하는 간신’이 되어버렸던 것이다. 이러한 변화로 인해 가장 고통받는 사람들은 권한공의 후손들이었다. 조선후기에 종법질서가 확립됨에 따라 직계 조상이 중요해졌는데, 그들은 종족의 중심이 되는 中始祖인 권한공을 떳떳하게 내세울 수 없었다. 이에 그들은 조선시대 주요 사서의 사론과 세평을 극복하고 권한공의 명예 회복을 위해 『일재선생일고』와 『일재선생실기』를 편찬하였다. 이 책에서는 권한공이 지은 시와 문장을 모아 그가 뛰어난 문장가임을 강조하였고, 그의 행적 가운데 자랑스러운 것들을 많이 실어 위대한 인물임을 알리고자 하였다. 반면에 조선시대 사서에서 비난을 받았던 부끄러운 일들은 기록하지 않았으며 때로는 적극적으로 그것을 반박하거나 해명하였다. 그러나 『고려사』와 『고려사절요』에 들어있는 권한공의 나쁜 행적은 영원히 지워질 수 없었기 때문에 권한공 후손들의 노력은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邊太燮, "「高麗史」의 硏究" 三英社 1982

      2 장동익, "李齊賢, 權漢功 그리고 朱德潤 - 高麗後期 性理學 受容期의 人物에 대한 새로운 理解 -" 퇴계연구소 (49) : 1-44, 2011

      3 전경목, "한국족보의 특성과 동아시아에서의 위상" 계명대 출판부 2013

      4 정승모, "한국의 족보" 이화여대출판부 2010

      5 李樹健, "한국의 성씨와 족보" 서울대출판부 2003

      6 최양규, "한국 족보 발달사" 혜안 2011

      7 마크 에드워드 루이스, "하버드 중국사 당, 열린 세계 제국" 너머북스 2017

      8 정재훈, "조선전기 유교사상 연구" 태학사 2005

      9 이수건, "조선시대 생활사 2" 역사비평 2000

      10 박종기, "안정복, 고려사를 공부하다" 고즈윈 2006

      1 邊太燮, "「高麗史」의 硏究" 三英社 1982

      2 장동익, "李齊賢, 權漢功 그리고 朱德潤 - 高麗後期 性理學 受容期의 人物에 대한 새로운 理解 -" 퇴계연구소 (49) : 1-44, 2011

      3 전경목, "한국족보의 특성과 동아시아에서의 위상" 계명대 출판부 2013

      4 정승모, "한국의 족보" 이화여대출판부 2010

      5 李樹健, "한국의 성씨와 족보" 서울대출판부 2003

      6 최양규, "한국 족보 발달사" 혜안 2011

      7 마크 에드워드 루이스, "하버드 중국사 당, 열린 세계 제국" 너머북스 2017

      8 정재훈, "조선전기 유교사상 연구" 태학사 2005

      9 이수건, "조선시대 생활사 2" 역사비평 2000

      10 박종기, "안정복, 고려사를 공부하다" 고즈윈 2006

      11 박종기, "동사강목의 탄생" Humanist 2017

      12 박용운, "고려시기 역사의 몇가지 문제" 일지사 2010

      13 "麗史提綱"

      14 閔賢九, "高麗後期安東權氏家門의 展開-元干涉期의 政治的位相을 중심으로-" 5 : 1996

      15 "高麗史節要"

      16 "高麗史"

      17 李熙德, "高麗儒敎政治思想의 硏究-高麗時代天文・五行說과 孝思想을 中心으로-" 一潮閣 1984

      18 "韓氏世家"

      19 李萬烈, "韓國의 歷史認識(下)" 創作과批評社 1976

      20 李樹健, "韓國中世社會史硏究" 一潮閣 1984

      21 鄭求福, "韓國中世史學史硏究(Ⅱ)" 景仁文化社 2002

      22 "雷淵集"

      23 "錦谷集"

      24 "金佔畢齋集"

      25 "老峯集"

      26 "立齋遺稿"

      27 金慶洙, "治平要覽에 대한 연구" 21-22 : 1994

      28 李佑成, "治平要覽" 亞細亞文化社 1994

      29 "治平要覽"

      30 "永嘉世稿"

      31 "正祖實錄"

      32 장동익, "權漢功의 生涯와 行蹟" 대구사학회 104 : 61-98, 2011

      33 "東國通鑑"

      34 "東史綱目"

      35 韓永愚, "朝鮮前期史學史硏究" 서울대출판부 1981

      36 오항녕, "朝鮮初期性理學과 歷史學-기억의 복원, 좌표의 성찰-"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2007

      37 영조, "承政院日記"

      38 "惺所覆部考"

      39 "天東象緯考"

      40 權漢功, "國譯一齋先生實紀" 밴프레스 2003

      41 "四佳集"

      42 金塘澤, "元干涉下의 高麗政治史" 一潮閣 1998

      43 "一齋先生逸稿"

      44 "一齋先生實紀"

      45 박윤진, "『高麗史』 叛逆傳 立傳 기준과 고려말 조선초 ‘附元’ 인식" 고려사학회 (52) : 75-105, 2013

      46 李萬烈, "17・8世紀史書와 古代史認識" 10 : 1974

      47 李益柱, "14세기 전반 高麗・元關係와 政治勢力動向-忠肅王代의 瀋王擁立運動을 중심으로-" 9 : 200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2-06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for the Studies of Korean History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9-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for the Studies of Korean History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8 1.28 1.1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7 0.89 2.254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