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英烈琴相國集』을 중심으로 본 조선후기 가계기록류의 『高麗史』 이해와 해명 방식 = An Understanding and Explanation on the Family Records in the Late Joseon Dynasty of『Goryeo-sa』 focusing on 『Yeongryeol-geum-sangguk-jip』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6002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Geum Ui, who played an active part in the age of the Goryeo military regime, was a problematic person in terms of the virtue ‘Chastity and Righteousness’ of the Joseon Dynasty. However, the descendants, who tried to bring honor to their families and confirm the time-honouredness of their families through family records, could not conceal Geum Ui who served as a high ranking official in the Goryeo Dynasty. Thus, they needed an excuse for him. The disgrace of Geum Ui had to be removed in order to bring honor to Bonghwa Geum clan.
      The descendants asked Ahn Jeongbok, a writer of 『Dongsagangmok』, to write the preface of 『Yeongryeol-geum- sangguk-jip』 and made an excuse for them through Ahn Jeongbok’s writing. Ahn Jeongbok had a critical view on the existing 『Goryeo-sa (“the History of Goryeo”)』, lacking in personal criticism. Therefore, he was the right person to deny the acts of Geum Ui recorded in 『Goryeo- sa』. In the preface, Ahn Jeongbok evaluated 『Goryeo-sa』 as filthy history and criticized the existing writing of history by mentioning Yi Hwang to support his view. Based on the writing of Jinhwa, the contents of 『Bohanjip』, and the poem of Kim In-kyung, Ahn Jeongbok, who emphasized historical investigation, revealed that the public estimation of Geum Ui having been a greedy person and a flatterer to Choi Chung-heon was wrong.
      However, the writing of Jin Hwa, which contained his poems and act records, lacked in credibility because they were made to excuse the acts of Jin Hwa. Geum Ui’s couplets with Hwang Bo-gwan, his disciple who was sent into exile with Geum Ui’s accusation, showed quite a time gap between the exile and banquet. In the process where Hwangbo Gwan returned to office and served as a governmental official, he needed to reconcile with Geum Ui and have his support. Thus, Hwangbo Gwan exchanged poems with Geum Ui in banquets notwithstanding his exile. Kim In-gyeong, who was the uncle of Hwangbo Gwan, served as a high ranking official in the reign of King Gojong and wrote a poem that mourned the death of Geum Ui. This show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Kim In-gyeong・Hwangbo Gwan and Geum Ui improved.
      번역하기

      Geum Ui, who played an active part in the age of the Goryeo military regime, was a problematic person in terms of the virtue ‘Chastity and Righteousness’ of the Joseon Dynasty. However, the descendants, who tried to bring honor to their families a...

      Geum Ui, who played an active part in the age of the Goryeo military regime, was a problematic person in terms of the virtue ‘Chastity and Righteousness’ of the Joseon Dynasty. However, the descendants, who tried to bring honor to their families and confirm the time-honouredness of their families through family records, could not conceal Geum Ui who served as a high ranking official in the Goryeo Dynasty. Thus, they needed an excuse for him. The disgrace of Geum Ui had to be removed in order to bring honor to Bonghwa Geum clan.
      The descendants asked Ahn Jeongbok, a writer of 『Dongsagangmok』, to write the preface of 『Yeongryeol-geum- sangguk-jip』 and made an excuse for them through Ahn Jeongbok’s writing. Ahn Jeongbok had a critical view on the existing 『Goryeo-sa (“the History of Goryeo”)』, lacking in personal criticism. Therefore, he was the right person to deny the acts of Geum Ui recorded in 『Goryeo- sa』. In the preface, Ahn Jeongbok evaluated 『Goryeo-sa』 as filthy history and criticized the existing writing of history by mentioning Yi Hwang to support his view. Based on the writing of Jinhwa, the contents of 『Bohanjip』, and the poem of Kim In-kyung, Ahn Jeongbok, who emphasized historical investigation, revealed that the public estimation of Geum Ui having been a greedy person and a flatterer to Choi Chung-heon was wrong.
      However, the writing of Jin Hwa, which contained his poems and act records, lacked in credibility because they were made to excuse the acts of Jin Hwa. Geum Ui’s couplets with Hwang Bo-gwan, his disciple who was sent into exile with Geum Ui’s accusation, showed quite a time gap between the exile and banquet. In the process where Hwangbo Gwan returned to office and served as a governmental official, he needed to reconcile with Geum Ui and have his support. Thus, Hwangbo Gwan exchanged poems with Geum Ui in banquets notwithstanding his exile. Kim In-gyeong, who was the uncle of Hwangbo Gwan, served as a high ranking official in the reign of King Gojong and wrote a poem that mourned the death of Geum Ui. This show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Kim In-gyeong・Hwangbo Gwan and Geum Ui improv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조선후기의 가계기록류는 종법의식의 강화 속에서 가문의 世系를 정리하고 그들의 자료를 수집하여 해당 가문의 현창을 목적으로 만들어졌다. 이때 『高麗史』와 같은 역사서에서 확인되는 고위직의 조상은 가문의 역사와 영광을 드러낼 수 있는 좋은 존재였다. 그러나 諸臣傳이 아니라 嬖幸・姦臣・叛逆傳에 立傳되어 있다거나 조선시대의 관점에서 부정적인 활동이 기록되어 있다면 이는 자랑이 아니라 흠결이 될 수 있었다. 가계기록류는 가문의 유구함을 보여주기 위해 이러한 하자가 있는 조상을 포기하지 못했고 그들의 활동에 대한 변명이나 미화를 시도했다. 『高麗史』의 공정성을 부정하는 시각, 『高麗史』 찬자인 정인지나 정도전에 대한 비난, 구체적인 세평에 대한 변명 등이 있었으며 자신들의 주장을 安鼎福・李滉・李廷龜・金宗直 등과 같은 명망있는 인물의 언급으로 뒷받침하면서 자신들의 주장에 근거로 삼기도 했다. 『英烈琴相國集』의 방식도 다른 가계기록의 서술 방향과 유사했다. 『東史綱目』의 저자인 안정복에게 서문을 부탁하고 그의 글을 통해 금의에 대한 ‘伸寃’을 시도했다. 안정복은 기존의 『高麗史』에 대해 褒貶 등이 부족하다는 비판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었던 인물이었던 만큼 『高麗史』에 기록된 금의의 행적을 부정해줄 수 있는 합당한 사람이었다. 안정복은 『英烈琴相國集』의 서문을 통해, 『高麗史』를 穢史라고 평가하고 이황의 언급을 인용해서 기존의 역사 서술을 비난하며 자신의 견해를 뒷받침했다. 또한 고증을 중요시했던 안정복은 陳澕의 筆記, 『補閑集』의 내용, 김인경의 시를 근거로 금의가 탐욕스러웠으며 최충헌에게 아부한 자라는 세평이 잘못된 것임을 드러내었다. 그러나 진화의 필기는 實紀類로 역시 진화의 행적에 대한 변명을 위해 만들어진 자료였기 때문에 신빙성이 떨어진다. 금의의 고발로 유배를 갔던 그의 문생 皇甫瓘과의 聯句는 유배와 연회가 시간적인 간격이 꽤 있었다는 점을 들어 두 가지 일이 모두 있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 황보관이 복직하고 관료생활을 계속하는 과정에서 금의와의 화해와 지지가 필요했으므로 유배에도 불구하고 연회에서 금의와 시를 주고받을 수 있었다고 설명해 보았다. 황보관의 숙부인 김인경이 고종 때 고위직의 관료였을 뿐 아니라 그가 금의의 죽음을 슬퍼하는 시를 지었던 것에서도 김인경・황보관과 금의의 관계가 봉합되었다고 이해되었다.
      번역하기

      조선후기의 가계기록류는 종법의식의 강화 속에서 가문의 世系를 정리하고 그들의 자료를 수집하여 해당 가문의 현창을 목적으로 만들어졌다. 이때 『高麗史』와 같은 역사서에서 확인되...

      조선후기의 가계기록류는 종법의식의 강화 속에서 가문의 世系를 정리하고 그들의 자료를 수집하여 해당 가문의 현창을 목적으로 만들어졌다. 이때 『高麗史』와 같은 역사서에서 확인되는 고위직의 조상은 가문의 역사와 영광을 드러낼 수 있는 좋은 존재였다. 그러나 諸臣傳이 아니라 嬖幸・姦臣・叛逆傳에 立傳되어 있다거나 조선시대의 관점에서 부정적인 활동이 기록되어 있다면 이는 자랑이 아니라 흠결이 될 수 있었다. 가계기록류는 가문의 유구함을 보여주기 위해 이러한 하자가 있는 조상을 포기하지 못했고 그들의 활동에 대한 변명이나 미화를 시도했다. 『高麗史』의 공정성을 부정하는 시각, 『高麗史』 찬자인 정인지나 정도전에 대한 비난, 구체적인 세평에 대한 변명 등이 있었으며 자신들의 주장을 安鼎福・李滉・李廷龜・金宗直 등과 같은 명망있는 인물의 언급으로 뒷받침하면서 자신들의 주장에 근거로 삼기도 했다. 『英烈琴相國集』의 방식도 다른 가계기록의 서술 방향과 유사했다. 『東史綱目』의 저자인 안정복에게 서문을 부탁하고 그의 글을 통해 금의에 대한 ‘伸寃’을 시도했다. 안정복은 기존의 『高麗史』에 대해 褒貶 등이 부족하다는 비판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었던 인물이었던 만큼 『高麗史』에 기록된 금의의 행적을 부정해줄 수 있는 합당한 사람이었다. 안정복은 『英烈琴相國集』의 서문을 통해, 『高麗史』를 穢史라고 평가하고 이황의 언급을 인용해서 기존의 역사 서술을 비난하며 자신의 견해를 뒷받침했다. 또한 고증을 중요시했던 안정복은 陳澕의 筆記, 『補閑集』의 내용, 김인경의 시를 근거로 금의가 탐욕스러웠으며 최충헌에게 아부한 자라는 세평이 잘못된 것임을 드러내었다. 그러나 진화의 필기는 實紀類로 역시 진화의 행적에 대한 변명을 위해 만들어진 자료였기 때문에 신빙성이 떨어진다. 금의의 고발로 유배를 갔던 그의 문생 皇甫瓘과의 聯句는 유배와 연회가 시간적인 간격이 꽤 있었다는 점을 들어 두 가지 일이 모두 있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 황보관이 복직하고 관료생활을 계속하는 과정에서 금의와의 화해와 지지가 필요했으므로 유배에도 불구하고 연회에서 금의와 시를 주고받을 수 있었다고 설명해 보았다. 황보관의 숙부인 김인경이 고종 때 고위직의 관료였을 뿐 아니라 그가 금의의 죽음을 슬퍼하는 시를 지었던 것에서도 김인경・황보관과 금의의 관계가 봉합되었다고 이해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항수, "이익과 안정복의 고려 말 역사 서술에 대한 논의와 『동사강목』" 진단학회 (117) : 99-118, 2013

      2 김용선, "이규보 연보"

      3 박종기, "안정복, 고려사를 공부하다" 고즈윈 2006

      4 金龍善, "高麗墓誌銘集成" 한림대출판부 2012

      5 "高麗史節要"

      6 "高麗史"

      7 姜世求, "順菴安鼎福의 高麗認識" 14 : 2000

      8 "順庵先生文集"

      9 "陽坡先生實紀"

      10 洪聖杓, "陳澕小攷-「梅湖遺稿」의 分析을 중심으로-" 18 (18): 1990

      1 신항수, "이익과 안정복의 고려 말 역사 서술에 대한 논의와 『동사강목』" 진단학회 (117) : 99-118, 2013

      2 김용선, "이규보 연보"

      3 박종기, "안정복, 고려사를 공부하다" 고즈윈 2006

      4 金龍善, "高麗墓誌銘集成" 한림대출판부 2012

      5 "高麗史節要"

      6 "高麗史"

      7 姜世求, "順菴安鼎福의 高麗認識" 14 : 2000

      8 "順庵先生文集"

      9 "陽坡先生實紀"

      10 洪聖杓, "陳澕小攷-「梅湖遺稿」의 分析을 중심으로-" 18 (18): 1990

      11 "退溪先生文集攷證"

      12 "退溪先生文集"

      13 "補閑集"

      14 "英烈琴相國集"

      15 "秋溪家乘"

      16 "牧隱詩藁"

      17 "淸州韓氏世家"

      18 "櫟翁稗說"

      19 "梅湖遺稿"

      20 "東文選"

      21 "東國李相國集"

      22 "東史綱目"

      23 "文襄公實紀"

      24 姜世求, "安鼎福의 歷史理論展開와 그 性格" 93 : 2001

      25 "天東象緯考"

      26 "一齋先生實紀"

      27 박인호, "<휘찬여사> 「열전」에 나타난 홍여하의 역사인식" 한국학중앙연구원 (31) : 148-178, 2014

      28 이수건, "16세기 한국 고문서 연구" 아카넷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2-06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for the Studies of Korean History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9-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for the Studies of Korean History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8 1.28 1.1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7 0.89 2.254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