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정원, "총체적 언어접근법에서 본 초등학교 국어 교육과정과 교과서 내용 구성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25 (25): 316-344, 1998
2 유승연, "총체적 언어접근법에 대한 한국과 미국의 유아교사의 신념에 대한 비교 연구" 21 (21): 201-214, 2000
3 문향숙, "총체적 언어교육 프로그램이 청각장애 유아의 문해능력 발달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1995
4 정숙경, "지식습득에 대한 교사 신념 분석: 객관주의 대 구성주의." 26 : 105-127, 1998
5 "제7차 초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 해설"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98
6 교육부,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97
7 김애자, "자모-음절식 지도법과 단어식 지도법을 중심으로 한 유아 읽기연구"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1990
8 조정숙, "유치원의 문자언어 교육 실태에 관한 연구" 1 (1): 113-138, 1997
9 "유치원 교사들의 문해습득에 대한 신념 및 실천 분석." 26 : 69-103, 2001
10 박혜경, "유아를 위한 총체적 언어교육 접근법의 효과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1
1 김정원, "총체적 언어접근법에서 본 초등학교 국어 교육과정과 교과서 내용 구성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25 (25): 316-344, 1998
2 유승연, "총체적 언어접근법에 대한 한국과 미국의 유아교사의 신념에 대한 비교 연구" 21 (21): 201-214, 2000
3 문향숙, "총체적 언어교육 프로그램이 청각장애 유아의 문해능력 발달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1995
4 정숙경, "지식습득에 대한 교사 신념 분석: 객관주의 대 구성주의." 26 : 105-127, 1998
5 "제7차 초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 해설"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98
6 교육부,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97
7 김애자, "자모-음절식 지도법과 단어식 지도법을 중심으로 한 유아 읽기연구"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1990
8 조정숙, "유치원의 문자언어 교육 실태에 관한 연구" 1 (1): 113-138, 1997
9 "유치원 교사들의 문해습득에 대한 신념 및 실천 분석." 26 : 69-103, 2001
10 박혜경, "유아를 위한 총체적 언어교육 접근법의 효과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1
11 Freeman, "Whole language for second language learners" Heinemann 1992
12 Goodman, "What's whole in whole language? Portsmouth" Heinemann 1986
13 Liberman, "Underlying assumption and their implications for reading instruction" 1991
14 In L, "The voice of rationality in a sociocultural approach to mind Instructional implications and application of sociohistorical psych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1-125, 1990
15 Lowther, "Teacher and technologist beliefs about educational technology" 73-87, 1994
16 Chall, J. S., "Some thoughts on reading research: Revisiting the first-grade studies." 34 (34): 8-10, 1999
17 Driscoll, M. P., "Psychology of learning for instruction (2nd ed.)" Allyn & Bacon. 2000
18 Sullivan, "Perspectives on the future of educational technology" 97-110, 1993
19 Cambourne, "Natural learning and the aquisition of literacy in the classroom" Ltd 1988
20 Cambridge, "Mind in society" Harvard University Press 1978
21 Gibson, "Learning to read" 1066-1072, 1975
22 Bigge, M. L.,, "Learning theories for teachers (6th ed.)." Addison Wesley Longman, Inc. 1999
23 Calfee, "Kindergarten through twelfth grad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93-298, 1973
24 Dyson, "Individual differences in emerging writing Advances in writing research" 1 : 54-126, 1985
25 Weaver, "From socio-psycholinguistics to whole language" Heinemann 1988
26 Barnhart, "Forms of writing and rereading from writing" 63-79, 1989
27 Bloom, "Form and function in emerging grammars" MIT Press 1972
28 Harris, "Evaluation of curriculum to support literacy growth in young children" 333-348, 1986
29 Seefeldt, C.,, "Early childhood education: An introduction (4th ed.)." Merrill/Prentice Hall 1998
30 Wortham, S. C., "Early childhood curriculum: Developmental bases for learning and teaching." Merrill/Prentice Hall 1998
31 Stanchfield, "Development of prereading skills in an experimental kindergarten program" 699-707, 1971
32 Spiegel,L.D, "Blending whole language and systematic direct instruction" 46 (46): 38-44, 1992
33 Au, K. H.,, "Balanced literacy instruction: A teacher's resource book." Christopher-Gordon Publisher, Inc. 1997
34 Hannafin, R. D.,, "An exploratory study of teachers' views of knowledge acquisition." 49-56, 1995
35 Hopkin, M., "A framework for literacy." 52-56, 1995
36 Fowler, "A developmental learning strategy for early reading in a laboratory nursery school" 106-132, 1971
37 정미경, "5세 유아를 위한 읽기지도방법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21-37, 19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