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전라북도 장애인 평생교육 지원 및 평생계획 요구 분석: 장애발생 시기에 따른 비교 = Needs Analysis of Lifelong Education Support and Planning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n Jeollabukdo: A Comparison by Disability Onse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3750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urvey was to analyze the need for lifelong education support and planning among adults with disabilities in Jeollabukdo according to individuals’ disability onset (congenital vs. acquired) and to suggest policy directions for lifelong education. A researcher-developed survey tool was used. For the data analysis, frequency analysis and cross-tabulation analysis via chi-square test were applied. A total of 296 adults with disabilities responded; 73.6% had congenital disabilities, and 26.4% had acquired disabilities. In terms of lifelong education support need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 < .01) in the demand for literacy and information education between the disability onset status of those with congenital and those with acquired disabilities. Both groups highly preferred to attend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ions that were specialized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nd programs that were geared towards specific types and degrees of disabilities. Additionally, adults with disabilities shared a need for lifelong education planning as well as residential, financial, legal, leisure and cultural planning; yet, they generally demonstrated a lack of preparation in those planning areas. Policy proposals for lifelong education for adults with disabilities in Jeollabukdo were discuss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urvey was to analyze the need for lifelong education support and planning among adults with disabilities in Jeollabukdo according to individuals’ disability onset (congenital vs. acquired) and to suggest policy directions for li...

      The purpose of this survey was to analyze the need for lifelong education support and planning among adults with disabilities in Jeollabukdo according to individuals’ disability onset (congenital vs. acquired) and to suggest policy directions for lifelong education. A researcher-developed survey tool was used. For the data analysis, frequency analysis and cross-tabulation analysis via chi-square test were applied. A total of 296 adults with disabilities responded; 73.6% had congenital disabilities, and 26.4% had acquired disabilities. In terms of lifelong education support need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 < .01) in the demand for literacy and information education between the disability onset status of those with congenital and those with acquired disabilities. Both groups highly preferred to attend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ions that were specialized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nd programs that were geared towards specific types and degrees of disabilities. Additionally, adults with disabilities shared a need for lifelong education planning as well as residential, financial, legal, leisure and cultural planning; yet, they generally demonstrated a lack of preparation in those planning areas. Policy proposals for lifelong education for adults with disabilities in Jeollabukdo were discuss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전라북도 장애성인의 평생교육 지원 및 평생계획에 대한 요구를 대상자의 장애발생 시기(선천적 대 후천적)별로 비교하여 분석하고, 평생교육 지원에 대한 정책적 방향을 제언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진이 개발한 조사지를 활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자료분석을 위하여 빈도분석, 교차분석 및 카이제곱검정 분석 방법을 적용하였다. 조사 결과, 총 296명의 장애성인이 응답하였고, 장애 유형별 분포로는 지적장애인, 지체장애 및 뇌변병장애인, 자폐성장애인 등의 순으로 많았다. 장애를 입은 시기는 선천적인 경우가 73.6%, 후천적인 경우가 26.4%이었다. 중요한 평생교육 지원 요구를 살펴보면, 참여하고 싶은 평생교육 프로그램 중 문해교육 및 정보화 교육에 대한 요구는 참여한 대상자들의 장애발생 시기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두 집단 모두 장애인 평생교육기관에 참여하고 싶어 하는 요구가 현저히 높았으며, 평생교육원 프로그램이 운영될 시 장애유형 및 장애정도 등에 따라서 구분되어 운영되기를 선호하였다. 장애성인의 평생계획 요구를 장애발생 시기(선천적 대 후천적)에 따라 분석한 결과, 주거계획, 재정계획, 법적계획, 여가와 문화계획 모두에서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준비도는 낮게 평가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설문조사의 주요 결과를 바탕으로 전라북도 장애인 평생교육을 위한 정책적 제언이 논의되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전라북도 장애성인의 평생교육 지원 및 평생계획에 대한 요구를 대상자의 장애발생 시기(선천적 대 후천적)별로 비교하여 분석하고, 평생교육 지원에 대한 정책적 방향을 ...

      본 연구의 목적은 전라북도 장애성인의 평생교육 지원 및 평생계획에 대한 요구를 대상자의 장애발생 시기(선천적 대 후천적)별로 비교하여 분석하고, 평생교육 지원에 대한 정책적 방향을 제언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진이 개발한 조사지를 활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자료분석을 위하여 빈도분석, 교차분석 및 카이제곱검정 분석 방법을 적용하였다. 조사 결과, 총 296명의 장애성인이 응답하였고, 장애 유형별 분포로는 지적장애인, 지체장애 및 뇌변병장애인, 자폐성장애인 등의 순으로 많았다. 장애를 입은 시기는 선천적인 경우가 73.6%, 후천적인 경우가 26.4%이었다. 중요한 평생교육 지원 요구를 살펴보면, 참여하고 싶은 평생교육 프로그램 중 문해교육 및 정보화 교육에 대한 요구는 참여한 대상자들의 장애발생 시기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두 집단 모두 장애인 평생교육기관에 참여하고 싶어 하는 요구가 현저히 높았으며, 평생교육원 프로그램이 운영될 시 장애유형 및 장애정도 등에 따라서 구분되어 운영되기를 선호하였다. 장애성인의 평생계획 요구를 장애발생 시기(선천적 대 후천적)에 따라 분석한 결과, 주거계획, 재정계획, 법적계획, 여가와 문화계획 모두에서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준비도는 낮게 평가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설문조사의 주요 결과를 바탕으로 전라북도 장애인 평생교육을 위한 정책적 제언이 논의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교육개발원, "학습국가로의 도약, 평생교육이 해법이다" 2004

      2 차갑부, "평생교육의 이해" 학지사 2004

      3 김남진, "특수교육 학술지를 통해 본 장애인 평생교육 연구동향과 과제" 한국특수교육학회 41 (41): 215-234, 2007

      4 교육부, "특수교육 연차보고서" 교육부 2016

      5 김창호, "직업재활시설 이용 장애성인 부모의 평생학습에 대한 인식"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60 (60): 91-113, 2017

      6 이한얼, "지적장애인의 지원요구의 수준 및 요인 구조" 한국통합교육학회 6 (6): 245-264, 2011

      7 김윤태, "중증장애인을 위한평생교육원 설립에 관한 연구보고서" 전라북도 교육청 2009

      8 교육부, "제4차 특수교육발전 5개년 계획" 교육부 2013

      9 오현주, "장애인의 평생교육 경험과 그 의미"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10 김용욱, "장애인의 사회참여 확대를 위한 직업교육 중심의 평생교육 모델 개발에 대한 기초연구"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4 (54): 237-256, 2011

      1 한국교육개발원, "학습국가로의 도약, 평생교육이 해법이다" 2004

      2 차갑부, "평생교육의 이해" 학지사 2004

      3 김남진, "특수교육 학술지를 통해 본 장애인 평생교육 연구동향과 과제" 한국특수교육학회 41 (41): 215-234, 2007

      4 교육부, "특수교육 연차보고서" 교육부 2016

      5 김창호, "직업재활시설 이용 장애성인 부모의 평생학습에 대한 인식"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60 (60): 91-113, 2017

      6 이한얼, "지적장애인의 지원요구의 수준 및 요인 구조" 한국통합교육학회 6 (6): 245-264, 2011

      7 김윤태, "중증장애인을 위한평생교육원 설립에 관한 연구보고서" 전라북도 교육청 2009

      8 교육부, "제4차 특수교육발전 5개년 계획" 교육부 2013

      9 오현주, "장애인의 평생교육 경험과 그 의미"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10 김용욱, "장애인의 사회참여 확대를 위한 직업교육 중심의 평생교육 모델 개발에 대한 기초연구"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4 (54): 237-256, 2011

      11 정동영, "장애인과 평생교육 관계자의 요구분석을 통한 장애인 평생교육기관간 협력체제 구축방향 설정에 관한 연구" 한국성인교육학회 7 (7): 1-34, 2004

      12 김두영,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분류체계 개발 기초연구" 한국특수교육학회 48 (48): 245-271, 2013

      13 정경태, "장애성인 평생교육의 실태 및 지원 요구"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14 정인숙, "장애성인 평생교육 전문인력 수급방안 연구" 국립특수교육원 2013

      15 권세혁, "임업통계조사 통합 및 표본설계에 관한 연구" 산림청 2011

      16 이원남, "성인 발달장애자녀를 위한 부모의 평생계획 수립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3

      17 홍승희, "성인 발달장애인의 독립생활을 위한 평생교육 요구 조사" 인천대학교 행정대학원 2011

      18 김주영, "발달장애인 평생교육과정 구성에 관한 연구" 2 (2): 65-92, 2016

      19 강동선, "발달장애성인의 자립생활중심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효과" 창원대학교 대학원 2016

      20 강성구, "발달장애성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시민참여교육 편" 국립특수교육원 : 한국복지대학교 2014

      21 윤지현, "발달장애 자녀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 동기와 만족도에 대한 부모 인식 분석" 한국특수교육학회 51 (51): 129-151, 2016

      22 이주화, "독일 장애학생 직업교육의 제도와 현황" 국립특수교육원 17 (17): 3-23, 2010

      23 이효자, "대학에서의 교수․학습지원권에 대한 장애 대학생의 인식 조사 -시각․청각․지체장애 학생들을 중심으로-" 한국통합교육학회 6 (6): 25-43, 2011

      24 Moore, M. E., "The vocational well-being of workers with childhood onset of disability : Life satisfaction and perceived workplace discrimination" 79 (79): 681-698, 2011

      25 권회연, "FQoLS(Family Quality of Life Survey)에서 본 우리나라 장애인 가족의 삶의 질 연구 동향" 한국통합교육학회 9 (9): 103-133, 2014

      26 Emerson, E., "Becoming disabled : The association between disability onset in younger adults and subsequent changes in productive engagement, social support, financial hardship and subjective wellbeing" 7 (7): 448-456, 2014

      27 Park, E. Y., "An analysis of the digital literacy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n Korea : Verification of a moderating effect of gender, education and age" 38 (38): 404-411, 2014

      28 김성희, "2014년 장애인 실태조사"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

      29 국립특수교육원, "2014 특수교육 실태조사" 국립특수교육원 20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06-2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Inclusive Education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9 1.19 1.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9 1.07 1.395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