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문병우, "포도에서 봉지의 종류, 처리시기 및 식물성오일 처리가 열과와탄저병 발생에 미치는 영향" (사)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17 (17): 134-149, 2008
2 임태헌, "포도나무 (Vitis vinifero L.) 지상부로부터 분리한항진균성 활성물질의 특성규명" 한국농약과학회 11 (11): 82-86, 2007
3 권수민, "잔디 병해 방제를 위한 항균성 약용식물의 탐색" 한국잔디학회 24 (24): 176-181, 2010
4 윤영범, "야콘(Smallanthus sonchifolius H. Robinson) 추출물의 제초, 살균 및 살충활성 효과" 한국잡초학회 32 (32): 98-106, 2012
5 고성욱, "알로에(Aloe arborescens M.)의 항진균성 검정을 통한 생물농약 가능성 탐색" 농업생명과학연구원 43 (43): 35-44, 2009
6 박종호, "식물추출물의 채소류 주요 해충에 대한 살충력 평가" 한국응용곤충학회 47 (47): 59-64, 2008
7 김종범, "식물유래 2차 대사물질의 병충해 및 잡초 방제효과" 한국응용생명화학회 48 (48): 1-15, 2005
8 최원식, "식물오일과 그 성분들의 살균활성" 한국농약과학회 10 (10): 201-209, 2006
9 조현지, "식물병원성 곰팡이에 대한 몇 가지 식물정유 및 주성분의 성장억제 효과" 한국생명과학회 14 (14): 1003-1008, 2004
10 유대식, "식물 병원성진균에 대한 도꼬마리 추출물의 항 진균활성" 한국생명과학회 15 (15): 692-695, 2005
1 문병우, "포도에서 봉지의 종류, 처리시기 및 식물성오일 처리가 열과와탄저병 발생에 미치는 영향" (사)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17 (17): 134-149, 2008
2 임태헌, "포도나무 (Vitis vinifero L.) 지상부로부터 분리한항진균성 활성물질의 특성규명" 한국농약과학회 11 (11): 82-86, 2007
3 권수민, "잔디 병해 방제를 위한 항균성 약용식물의 탐색" 한국잔디학회 24 (24): 176-181, 2010
4 윤영범, "야콘(Smallanthus sonchifolius H. Robinson) 추출물의 제초, 살균 및 살충활성 효과" 한국잡초학회 32 (32): 98-106, 2012
5 고성욱, "알로에(Aloe arborescens M.)의 항진균성 검정을 통한 생물농약 가능성 탐색" 농업생명과학연구원 43 (43): 35-44, 2009
6 박종호, "식물추출물의 채소류 주요 해충에 대한 살충력 평가" 한국응용곤충학회 47 (47): 59-64, 2008
7 김종범, "식물유래 2차 대사물질의 병충해 및 잡초 방제효과" 한국응용생명화학회 48 (48): 1-15, 2005
8 최원식, "식물오일과 그 성분들의 살균활성" 한국농약과학회 10 (10): 201-209, 2006
9 조현지, "식물병원성 곰팡이에 대한 몇 가지 식물정유 및 주성분의 성장억제 효과" 한국생명과학회 14 (14): 1003-1008, 2004
10 유대식, "식물 병원성진균에 대한 도꼬마리 추출물의 항 진균활성" 한국생명과학회 15 (15): 692-695, 2005
11 임상현, "삼지구엽초(Epimedium koreanum Nakai) 로부터 살초활성물질 methyl-p-hydroxybenzoate의 분리" 한국잡초학회 27 (27): 235-240, 2007
12 김건우, "살초 및 살균활성물질 함유 국내 자원식물의 탐색" 한국잡초학회 27 (27): 285-295, 2007
13 최이진, "배추좀나방(Plutella xylostella)에 대한 식물추출물의 살충력 평가" 한국자원식물학회 26 (26): 19-25, 2013
14 이동운, "몇 가지 한약재 추출물이 곤충병원성선충과 누에 및 먼지벌레에 미치는 영향" 한국응용곤충학회 48 (48): 335-345, 2009
15 황인천, "멀구슬과 고삼을 원료로 한 식물추출물의 주요해충과 천적에 대한 독성평가" 한국응용곤충학회 48 (48): 87-94, 2009
16 김미혜, "맨드라미, 비트, 홍갓 색소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균 효과"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7 (27): 719-729, 2012
17 윤미영, "당귀로부터 분리한 decursinol angelate의 밀 붉은녹병에 대한 항균활성" 한국식물병리학회 17 (17): 25-31, 2011
18 김건우, "국내 자생식물의 살초활성" 한국잡초학회 29 (29): 194-203, 2009
19 김건우, "국내 자생식물 추출물의 살초 및 살균활성" 한국잡초학회 25 (25): 221-232, 2005
20 송치현, "고추 탄저병균에 대한 옻나무 추출물의 항진균 효과" 한국환경농학회 31 (31): 60-67, 2012
21 Lee DH, "What is the problem disease of grape?-ripe rot, brown leaf spot, downy mildew, bird’s eye rot, powdery mildew" 8 : 101-109, 1987
22 Cha BJ, "The present knowledge of farmers on pests and chemical control in grapevine culture" 4 : 38-43, 2000
23 Kim HC, "The antifungal activity of chemical substances from Artemisia annua" 24 : 137-140, 2001
24 Jeon YO, "Screening of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plantain (Plantago asiatica L.) extract" 14 : 498-502, 1998
25 Daykin ME, "Ripe rot of muscadine grape caused by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and its control" 74 : 710-714, 1984
26 Hajek A, "Natural enemies-an introduction to biological control" Cambridge Uinv. Press 2003
27 홍성기, "Morphological Variations, Genetic Diversity and Pathogenicity of Colletotrichum species Causing Grape Ripe Rot in Korea" 한국식물병리학회 24 (24): 269-278, 2008
28 Jung MY, "Inhibitory effect of crude sap from Celosia cristata leaves on pepper mild mottle virus infection" 17 : 218-, 2006
29 Souza EL, "Inhibitory action of some essential oils and phytochemicals on the growth of various moulds isolated from foods" 48 : 245-250, 2005
30 Islam MT, "In vivo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Rhizobium vitis and the induction of defense-related genes in grapevines (Vitis spp.) by hairy vetch and ryegrass extracts" 7 : 133-141, 2014
31 장명환, "In Vitro Evaluation System for Varietal Resistance against Ripe Rot Caused by Colletotrichum acutatum in Grapevines" 한국원예학회 52 (52): 52-57, 2011
32 Daykin ME, "Histopathology of ripe rot caused by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on muscadine grape" 74 : 1339-1341, 1984
33 Ahn SY, "Expression of genes related to flavonoid and stilbene synthesis by signaling chemicals and Botrytis cinerea in grapevines" 8 (8): 748-767, 2014
34 Kim SH, "Et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chemical control of ripe rot in grape cultivar Campbell Early" 7 : 140-144, 2001
35 Nam SY, "Effects of lime and silica fertilizer application on grape cracking" 38 : 410-415, 1996
36 Arx JA, "Die arten der gattung Colletotrichum cda" 29 : 413-468, 1957
37 Gupta VK, "Antimicrobial activity of Spondias pinnata resin" 4 : 1656-1661, 2010
38 Doh ES, "Antifungal activity of Anemarrhena asphodeloides, Coptis japonica and Phellodendron amurense extracts against phytophthora blight" 10 : 351-359, 1997
39 Ryu SY, "Antifungal activities of coumarins isolated from Angelica dahurica against plant pathogenic fungi" 5 : 26-35, 2001
40 Islam MT, "Accumulation of stilbene compounds and induction of related gene expression by hairy vetch and ryegrass extracts in grape berries" 69 : 1693-1700,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