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아동학대 신고에 관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경험과 인식을 파악하고 비교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서울과 경기도에 소재한 일반학교 7개교에 재직 중인 110명과 특수학...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2563133
2010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55-74(20쪽)
1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본 연구는 아동학대 신고에 관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경험과 인식을 파악하고 비교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서울과 경기도에 소재한 일반학교 7개교에 재직 중인 110명과 특수학...
본 연구는 아동학대 신고에 관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경험과 인식을 파악하고 비교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서울과 경기도에 소재한 일반학교 7개교에 재직 중인 110명과 특수학교 4개교에 재직 중인 8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해서 186명에게서 수집한 내용을 분석했다. 분석은 SPSS 13.0 version을 활용해서 빈도분석, 분산분석과 x2, independent sample t-test 및 ANOVA를 실시했다. 그 결과, 아동학대 사례경험에는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차이가 없었으나 신고경험은 일반교사가 특수교사 보다 높게 나타났다. 아동학대 관련 교육에 참여한 경험은 일반교사와 특수교사 모두 별로 없었으나 교육에 참여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들은 전반적으로 교육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학대에 관한 지식과 자신감은 교육경험이 있는 특수교사가 교육경험이 없는 일반교사보다 높았으며, 사례경험이 없는 특수교사는 사례경험이 없는 일반교사보다 지식수준이 높았으며, 사례경험이 있는 특수교사는 사례경험이 있는 일반교사보다 자신감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학대 관련 교육에 참여할 의향은 교육경험의 유무와 사례경험의 유무에 관계없이 일반교사와 특수교사 모두에게서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가 아동학대를 신고하는데 도움이 되는 실천적 제언을 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about child abuse report of teachers of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and with disabilities. For this purpose, 110 teachers of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and 83 teachers of children with d...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about child abuse report of teachers of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and with disabilities. For this purpose, 110 teachers of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and 83 teac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were surveyed and then analysis answers from 186 teachers. The answers were analysed by frequency, descriptive. x2,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ANOVA through SPSS 13.0. As a result, there is no difference about experiences to child abuse between teachers of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and with disabilities. But reporting experiences were more high teac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an teachers of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There is no difference about experiences to child abuse education between teachers of children without and with disabilities. And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education to child abuse are satisfied with education. Teachers of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who participated in child abuse education have more knowledge and confidence than teac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who didn't participated in child abuse education. Teac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who experience child abuse case have more knowledge than teachers of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The former have more confidence than the latter. Finally, every teachers hav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education to child abuse in spite of experiences about education and child abuse case. Based on these results, practical strategies needed to help report the child abuse for teachers of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and with disabilities were suggested.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한, "특수학교 교사의 아동학대에 관한 인식 연구" 한국지체부자유아교육학회 48 : 1-13, 2006
2 한국특수교육총연합회, "전국특수교육요람"
3 보건복지가족부·중앙아동보호전문기관, "전국아동학대 현황 보고서" 2003
4 보건복지가족부·중앙아동보호전문기관, "전국아동학대 현황 보고서" 2002
5 이시연, "아동학대에 대한 신고의무자의 인식조사 연구"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2000
6 박명숙, "아동학대 유발요인으로서 장애아동부모의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51 : 311-327, 2002
7 허남순, "아동학대 신고의무자들의 아동학대에 대한 인식과 신고행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53 : 209-230, 2003
8 이재연, "보육교사의 아동학대에 대한 인식 및 발견경험에 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8 : 1-18, 2002
9 정채옥, "보육교사의 아동학대에 관한 인식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회 30 : 298-325, 2002
10 김소연․윤혜미, "보육교사의 아동학대 인식과 신고의무에 대한 태도" 7 (7): 121-140, 2003
1 김영한, "특수학교 교사의 아동학대에 관한 인식 연구" 한국지체부자유아교육학회 48 : 1-13, 2006
2 한국특수교육총연합회, "전국특수교육요람"
3 보건복지가족부·중앙아동보호전문기관, "전국아동학대 현황 보고서" 2003
4 보건복지가족부·중앙아동보호전문기관, "전국아동학대 현황 보고서" 2002
5 이시연, "아동학대에 대한 신고의무자의 인식조사 연구"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2000
6 박명숙, "아동학대 유발요인으로서 장애아동부모의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51 : 311-327, 2002
7 허남순, "아동학대 신고의무자들의 아동학대에 대한 인식과 신고행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53 : 209-230, 2003
8 이재연, "보육교사의 아동학대에 대한 인식 및 발견경험에 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8 : 1-18, 2002
9 정채옥, "보육교사의 아동학대에 관한 인식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회 30 : 298-325, 2002
10 김소연․윤혜미, "보육교사의 아동학대 인식과 신고의무에 대한 태도" 7 (7): 121-140, 2003
11 정원주, "보육교사의 아동학대 신고행동 의도 배제원인 분석"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7) : 133-152, 2009
12 김진선, "간호사의 아동학대 신고의도 영향요인" 아동간호학회 11 (11): 211-220, 2005
13 Hansen, D., "The Influence of Case and Professional Variables on the Identification and Reporting of Child Maltreatment: A Study of Licensed Psychologists and Certified Masters Social Workers" 12 (12): 313-332, 1997
14 King, G., "The Effects of Sociodemographic Variables, Training, and Attitudes on the Lifetime Reporting Practices of Mandated Reporters" 3 (3): 276-283, 1998
15 Goebbels, A., "Teachers' Reporting of Suspected Child Abuse and Neglect: Behavior and Determinants" 23 (23): 941-951, 2008
16 Kenny, C., "Teachers' Attitudes toward and Knowledge of Child Maltreatment" 28 (28): 1311-1319, 2004
17 Kesner, J., "Teachers as Mandated Reporters of Child Maltreatment: Comparison with Legal, Medical and Social Services Reporters" 24 (24): 222-231, 2002
18 Webster, S., "Overreporting and Underreporting of Child Abuse: Teachers' Use of Professional Discretion" 29 (29): 1281-1296, 2005
19 Russell, H., "Mandatory Notification Training for Suspected Child Abuse and Neglect in South Australian Schools" 25 (25): 1603-1625, 2001
20 Hawkins, R, "Mandatory Notification Training for Suspected Child Abuse and Neglect in South Australian Schools" 25 (25): 1603-1625, 2001
21 Orelove, F., "Maltreatment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raining Needs for a Collaborative Response" 24 (24): 185-194, 2000
22 Ammerman, T., "Maltreatment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National Committee to Prevent Child Abuse 1993
23 Sullivan, P., "Maltreatment and Disabilities: A Population-Based Epidemiological Study" 24 (24): 1257-1273, 2000
24 Petisilia, J., "Invisible Victims: Violence against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27 : 9-12, 2000
25 Sobsey, D., "Gender Differences in Abused Children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21 (21): 707-720, 1997
26 Feng, Y., "Factors Associated with Nurses' Intention to Report Child Abuse: A National Survey of Taiwanese Nurses"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2003
27 Collings, S., "Development,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Child Sexual Abuse Myth Scales" 12 (12): 665-674, 1997
28 Walsh, K., "Critical Factors in Teachers' Detecting and Reporting Child Abuse and Neglect: Implications for Practice" Queensland University of Technology 2005
29 Kenny, C., "Compliance with Mandated Child Abuse Reporting: Comparing Physicians and Teachers" 34 (34): 9-23, 2002
30 Kenny, C., "Child Abuse Reporting: Teachers' Perceived Deterrents" 25 (25): 81-92, 2001
31 Hazzard, A, "A Note on the Knowledge and Attitudes of Professional Groups Toward Child Abuse" 14 : 219-223, 1986
노년기 사회적 관계망의 구조적, 기능적 측면과 주관적 삶의 질의 관계
학술지 이력
|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 2016-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 2016 | 1.32 | 1.32 | 1.56 |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 1.52 | 1.52 | 2.001 | 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