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익산지역 백제 건축유적에서 보이는 새로운 토목·건축 기술 = New public works·construction techniques shown ㄴarchitectural sites of Baekje dynasty in Iksa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92115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ing Muwang constructed Mireuksa temple, Jeseoksa temple and Wanggungni Historical Site in Iksan in the early 7th century. The capital of Baekje at the time was Buyeo but King Muwang had such a great interest in Iksan that he ordered large scale public works·construction work to be performed in the area.
      In Iksan, new public works·construction techniques that have not been found in Buyeo appeared. New public works·construction techniques had a considerable influence on unified Silla after Baekje fell. We can get a sense of full vitality of master artisans of Baekje through above mentioned historical sites.
      Construction of site in both directions found in Wanggungni Historical Site seems to be public works technique which is unique to Baekje and made good use of steep slope. Technique of the soil and stone are mixed observed in reinforcing facility in east and west stone pagoda of Mireuksa temple is new public works technique which comes close to solid soil in reinforcing facility.
      A hollow and gyeolgugidan(結構基壇) in Gidanseok observed in the main building of Mireuksa temple site is shown in Gameunsa Temple site built in unified Silla. High cornerstone and Jeoksim facility(積心施設) are observed in Gwanghallu built in Joseon dynasty and historical site in Dongdaemun Stadium.
      Some construction techniques observed in Iksan seem to have imported from Tang Dynasty. However, most public works·construction seem to have been created by Baekje's development. It appears that a study of buildings of Baekje in Iksan will reveal various public works·construction techniques.
      번역하기

      King Muwang constructed Mireuksa temple, Jeseoksa temple and Wanggungni Historical Site in Iksan in the early 7th century. The capital of Baekje at the time was Buyeo but King Muwang had such a great interest in Iksan that he ordered large scale publi...

      King Muwang constructed Mireuksa temple, Jeseoksa temple and Wanggungni Historical Site in Iksan in the early 7th century. The capital of Baekje at the time was Buyeo but King Muwang had such a great interest in Iksan that he ordered large scale public works·construction work to be performed in the area.
      In Iksan, new public works·construction techniques that have not been found in Buyeo appeared. New public works·construction techniques had a considerable influence on unified Silla after Baekje fell. We can get a sense of full vitality of master artisans of Baekje through above mentioned historical sites.
      Construction of site in both directions found in Wanggungni Historical Site seems to be public works technique which is unique to Baekje and made good use of steep slope. Technique of the soil and stone are mixed observed in reinforcing facility in east and west stone pagoda of Mireuksa temple is new public works technique which comes close to solid soil in reinforcing facility.
      A hollow and gyeolgugidan(結構基壇) in Gidanseok observed in the main building of Mireuksa temple site is shown in Gameunsa Temple site built in unified Silla. High cornerstone and Jeoksim facility(積心施設) are observed in Gwanghallu built in Joseon dynasty and historical site in Dongdaemun Stadium.
      Some construction techniques observed in Iksan seem to have imported from Tang Dynasty. However, most public works·construction seem to have been created by Baekje's development. It appears that a study of buildings of Baekje in Iksan will reveal various public works·construction techniqu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왕은 7세기 초반 익산지역에 미륵사와 제석사, 왕궁리유적 등을 조성하였다. 물론 당시의 왕도는 부여였지만 무왕은 대규모 토목·건축사업을 일으킬 정도로 익산지역에 지극 정성을 보였다.
      익산지역에서는 부여지역에서 볼 수 없는 새로운 토목·건축 기술이 출현하였다. 그리고 이들 기술력은 백제 멸망 후 통일신라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곤 하였다. 비록 나라는 멸망하였지만 백제 장인들의 꿋꿋한 생명력을 엿볼 수 있게 하는 고고자료의 한 부분이라 할 수 있다.
      왕궁리유적에서 확인된 양 방향에서의 대지 조성은 급경사면을 효율적으로 이용한 백제 특유의 토목공법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미륵사지 동탑지와 서탑 축기부에서 관찰된 공법은 축기부 판축토에 버금가는 새로운 토목기술임을 파악할 수 있다.
      미륵사지 금당지에서 관찰되는 기단석 내부의 空洞化나 결구기단 등은 통일신라기의 감은사지에서도 찾아지고 있다. 또한 고주형 초석과 적심시설 등은 조선시기의 광한루나 동대문 운동장 부지 유적 등에서 살펴지기도 한다.
      익산지역에서 관찰되는 일부 건축기술은 당에서 유입된 것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토목·건축 기술은 백제의 내재적 발전을 통해 창안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향후 익산지역에서의 백제 건축물 조사에 따라 좀 더 다양한 토목·건축기술이 등장할 것이라 생각된다.
      번역하기

      왕은 7세기 초반 익산지역에 미륵사와 제석사, 왕궁리유적 등을 조성하였다. 물론 당시의 왕도는 부여였지만 무왕은 대규모 토목·건축사업을 일으킬 정도로 익산지역에 지극 정성을 보였�...

      왕은 7세기 초반 익산지역에 미륵사와 제석사, 왕궁리유적 등을 조성하였다. 물론 당시의 왕도는 부여였지만 무왕은 대규모 토목·건축사업을 일으킬 정도로 익산지역에 지극 정성을 보였다.
      익산지역에서는 부여지역에서 볼 수 없는 새로운 토목·건축 기술이 출현하였다. 그리고 이들 기술력은 백제 멸망 후 통일신라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곤 하였다. 비록 나라는 멸망하였지만 백제 장인들의 꿋꿋한 생명력을 엿볼 수 있게 하는 고고자료의 한 부분이라 할 수 있다.
      왕궁리유적에서 확인된 양 방향에서의 대지 조성은 급경사면을 효율적으로 이용한 백제 특유의 토목공법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미륵사지 동탑지와 서탑 축기부에서 관찰된 공법은 축기부 판축토에 버금가는 새로운 토목기술임을 파악할 수 있다.
      미륵사지 금당지에서 관찰되는 기단석 내부의 空洞化나 결구기단 등은 통일신라기의 감은사지에서도 찾아지고 있다. 또한 고주형 초석과 적심시설 등은 조선시기의 광한루나 동대문 운동장 부지 유적 등에서 살펴지기도 한다.
      익산지역에서 관찰되는 일부 건축기술은 당에서 유입된 것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토목·건축 기술은 백제의 내재적 발전을 통해 창안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향후 익산지역에서의 백제 건축물 조사에 따라 좀 더 다양한 토목·건축기술이 등장할 것이라 생각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國立扶餘博物館·扶餘郡, "陵寺 -圖面·圖版-"

      2 김왕직, "알기쉬운 한국건축 용어사전" 동녘 2012

      3 조원창, "백제의 토목건축" 서경문화사 2011

      4 조원창, "백제의 토목건축" 서경문화사 2011

      5 조원창, "백제의 토목건축" 서경문화사 2011

      6 조원창, "백제의 토목건축" 서경문화사 2011

      7 조원창, "백제 사원유적 탐색" 서경문화사 2014

      8 전라북도익산지구문화유적지관리사업소, "미륵사지유물전시관"

      9 李裕群, "동아시아의 불교문화와 백제" 한얼문화유산연구원 2009

      10 조원창, "기와건물지의 조사와 해석" 서경문화사 2012

      1 國立扶餘博物館·扶餘郡, "陵寺 -圖面·圖版-"

      2 김왕직, "알기쉬운 한국건축 용어사전" 동녘 2012

      3 조원창, "백제의 토목건축" 서경문화사 2011

      4 조원창, "백제의 토목건축" 서경문화사 2011

      5 조원창, "백제의 토목건축" 서경문화사 2011

      6 조원창, "백제의 토목건축" 서경문화사 2011

      7 조원창, "백제 사원유적 탐색" 서경문화사 2014

      8 전라북도익산지구문화유적지관리사업소, "미륵사지유물전시관"

      9 李裕群, "동아시아의 불교문화와 백제" 한얼문화유산연구원 2009

      10 조원창, "기와건물지의 조사와 해석" 서경문화사 2012

      11 조원창, "기와건물지의 조사와 해석" 서경문화사 2012

      12 조원창, "고려사지와 건축고고" 서경문화사 2016

      13 조원창, "고려사지와 건축고고" 서경문화사 2016

      14 文化財管理局 경주사적관리사무소, "高仙寺址發掘調査報告書" 1977

      15 文物出版社, "西漢禮制建築遺址" 2003

      16 國立慶州文化財硏究所, "芬皇寺 發掘調査報告書 Ⅰ(本文)" 2005

      17 金善基, "益山 金馬渚의 百濟文化" 서경문화사 2012

      18 國立扶餘文化財硏究所, "益山 王宮里 發掘中間報告 Ⅳ" 2002

      19 김주성, "百濟文化史大系 硏究叢書 5 泗沘都邑期의 百濟" 충청남도 역사문화연구원 2007

      20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王興寺址 Ⅲ 木塔址 金堂址 發掘調査 報告書" 2009

      21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王宮里 發掘中間報告 Ⅷ" 2012

      22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扶餘 定林寺址 發掘調査報告書" 2011

      23 國立慶州文化財硏究所, "慶州 天官寺址 發掘調査報告書" 2004

      24 國立慶州文化財硏究所, "感恩寺 發掘調査報告書" 1997

      25 국립문화재연구소, "彌勒寺址 石塔 기단부 발굴조사 보고서" 2012

      26 國立扶餘文化財硏究所, "彌勒寺 遺蹟發掘調査報告書Ⅱ(圖版編)" 1996

      27 文化財管理局 文化財硏究所, "彌勒寺 遺蹟發掘調査報告書Ⅰ" 1989

      28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帝釋寺址 발굴조사보고서Ⅰ" 2011

      29 中國大百科全書出版社, "北魏洛陽永寧寺" 1996

      30 文物出版社, "2004 中國重要考古發現"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