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금융발전과 경제성장에 관한 문헌적 고찰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40921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금융발전과 실물경제와의 관계를 연구한 문헌들에 대한 조사를 통해 금융발전이 실물경제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결과를 정리하고자 한다. 금융발전으로 인한 민간부...

      본 연구에서는 금융발전과 실물경제와의 관계를 연구한 문헌들에 대한 조사를 통해 금융발전이 실물경제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결과를 정리하고자 한다.
      금융발전으로 인한 민간부문에의 신용증가와 저축구성의 변화가 실물경제에 나쁜 영향을 줄 수도 있다는 일부 금융위기연구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이론적 및 실증적 연구는 금융발전이 투자증가와 높은 경제성장에 기여하는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금융발전의 경제성장에 대한 영향에 대한 많은 연구결과들은 금융시장의 상황과 실물경제의 부침이정(+)의 관계(정의 인과관계 포함)임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금융발전이 거시경제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나는 과정은 순탄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 금융발전은 단기적으로는 은행위기와 금융취약성을 유발하여 거시경제에 부정적인 효과를 줄 수 있으며, 장기적으로 금융시스템이 안정적인 기반을 갖췄을 때 거시경제에 긍정적인 효과로 작용한다. 주식시장이나 은행 등 금융부문의 발전은 기업의 성장을 촉진하는 데 매우 중요한 요인이었으며, 전통산업보다 첨단산업에 더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금융발전의 정도가 낮으면 저성장 경제가 나타날 가능성도 높게 나타났다.
      국가별 시계열분석의 결과, 고소득국가에서는 GDP중 비금융민간신용비율이 중간소득국가에서는 GDP중 비금융민간신용비율과 예금은행국내신용과 중앙은행국내자산 중 예금은행국내신용비율이, 저소득국가와 금융위기국가에서는 부분적으로 금융발전과 경제성장 사이에 부(-)의 관계가 나타나기도 하였다.
      한편, 분석대상이나 분석방법의 차이가 다른 분석결과를 나타내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takes broad literature survey of the overall contemporary literatur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inancial development and economic growth. Many papers says that the relation between the financial development and economic growth is strongl...

      This paper takes broad literature survey of the overall contemporary literatur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inancial development and economic growth. Many papers says that the relation between the financial development and economic growth is strongly positive.
      The study colligate the results of analyzes which factors induce corporate growth and what is the role of financial development in corporate growth(includ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financial development and economic growth).
      First, financial development is a very important factor in bringing about corporate growth. Second, the hypothesis that financial development accelerate the growth of companies can be identically proven both for high-tech industries or traditional industries. The financial development has a bigger effect on the corporate growth in case of high-tech companies rather than in traditional industries.
      Third, high-tech companies owes its accelerated growth more to the development of the stock market than to that of banks. Fourth, The financial development is crucial to corporate growth.
      These results from analysis provide some indication regarding how to design systems in a right direction. To begin with, Korea should push ahead with the further financial development to promote corporate growth. Not only banks in charge of efficiently allocating funds but also the stock market have to make an simultaneous growth.
      According to the time-series analyses for each countries from 1948 to 2002, we find private credit give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high-income countries and financial development indicators are partially negative correlated with each growth indicator on the low-income and monetary crisis countries.
      And, we can find that the object and the methods of analysis makes no difference in the resul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금융발전과 경제성장에 관한 제 이론
      • Ⅲ. 금융발전과 실물경제와의 실증적 문헌 고찰
      • Ⅵ. 결론
      • 요약
      • Ⅰ. 서론
      • Ⅱ. 금융발전과 경제성장에 관한 제 이론
      • Ⅲ. 금융발전과 실물경제와의 실증적 문헌 고찰
      • Ⅵ.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