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생활습관의 변화와 식생활의 서구화로 인해서 허혈성 심질환의 주요 위험인자인 비만과 고지혈증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 본 연구는 12개월 동안 체질량지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40012002
2003
Korean
총콜레스테롤 ; 체질량지수 ; 운동 ; 흡연 ; 음주 ; Cholesterol ; Body Mass Index(BMI) ; Exercise ; Smoking ; Alcohol intake
510.000
학술저널
200-207(8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생활습관의 변화와 식생활의 서구화로 인해서 허혈성 심질환의 주요 위험인자인 비만과 고지혈증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 본 연구는 12개월 동안 체질량지수...
목적 :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생활습관의 변화와 식생활의 서구화로 인해서 허혈성 심질환의 주요 위험인자인 비만과 고지혈증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 본 연구는 12개월 동안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 변화와 생활습관(운동, 흡연, 음주)에 따른 총콜레스데롤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1997년 6월부터 2000년 6월까지 포항 소재 일개 대학병원 건강증진센터를 방문한 검진자 중 임상적으로 건강하고, 12개월 간격으로 검진을 받았던 20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 중 77예는 12개월 간격으로 2회 이상 검진을 받았다. 의무기록을 검토하여 체질량지수 변화와 생활습관에 따른 총콜레스테롤치 변화를 조사하였다.
결과 : 204예에서 12개월 동안 체질량지수가 증가한 106예의 혈청 총콜레스테롤치의 변화는 7.75±24.91 ㎎/dl 증가하였고, 체질량지수가 감소하거나 변화가 없는 98예의 혈청 총콜레스테롤치의 변화는 -1.97±26.74 ㎎/dl 감소하였다(p<0.05). 생활습관에 따른 혈청 총콜레스테롤치의 변화는 규칙적인 운동을 하는 55예는 -4.44±22.51 ㎎/dl 감소하였고, 운동을 하지 않는 149예는 5.86±26.97 ㎎/dl 증가하였다(p<0.05). 그러나, 흡연 습관과 음주 습관에 따른 혈청 총콜레스테롤치의 변화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결론 : 12개월 동안의 혈청 총콜레스테롤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임상양상의 변화 중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체질량지수의 변화이었고, 그 다음은 운동이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 In recent years, the incidence of obesity and hypercholesterolemia that were major risk factors of ischemic heart disease increased among Koreans because of lifestyle change and westernized dietary patter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
Background: In recent years, the incidence of obesity and hypercholesterolemia that were major risk factors of ischemic heart disease increased among Koreans because of lifestyle change and westernized dietary patter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Body Mass Index(BMI) change and lifestyle on change of serum total cholesterol level at an interval of 12 months.
Methods: The subjects were 127 adults who had visited the Health Promotion Center of Dongguk University Pohang Hospital from June 1997 to June 2000. The study subjects were clinically healthy and followed up at intervals of 12 months. We reviewed medical records of total 204 cases including 77 cases that visited two consecutive years.
Results: Changes in serum total cholesterol at an interval of 12 months were follows ; 7.75±24.91㎎/dl in Increased BMI group(106 case), -1.97±26.74㎎/dl in Decreased or no-changed BMI group(98 case)(p<0.05) ; -4.44±22.51㎎/dl in Exercise group(55 case), 5.86±26.97㎎/dl in Non-exercise group(149 case)(p<0.05) ;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erum total cholesterol levels change according to smoking and alcohol intake. The change of BMI was most strongly correlated with that of serum total cholesterol levels change except previous total cholesterol level.
Conclusions: Body weight reduction and maintenance had an favorable effect on change of serum total cholesterol at an interval of 12 months. Regular exercise had an favorable effect as well.
Facilitative glucose transporters and their possible modulation